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용산구/정치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용산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용산구(선거구)
,
,
,
,
,


||


1. 선거구 정보
1.1. 구의회
2. 지역 특징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용산구 CI.svg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시의원구의원지역
국회의원용산구
구의원용산구 제1선거구용산 가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산 나원효로제1동, 원효로제2동, 용문동
용산 다한강로동, 이촌제1동, 이촌제2동
용산구 제2선거구용산 라후암동, 용산2가동, 이태원제2동
용산 마이태원제1동, 한남동, 서빙고동, 보광동


1.1. 구의회[편집]



파일:용산구 CI.svg용산구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7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6석
재적
13석




2. 지역 특징[편집]


서울에서 이른바 강남3구가 가장 보수적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강남3구 다음으로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 바로 용산구이다. 매 선거마다 강남구·서초구 다음으로 송파구와 서울 내 보수정당 득표율 3~4위를 다투고 있다. 용산구 내에 동부이촌동, 서빙고동, 이태원동, 한남동 등의 부촌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 하지만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그리고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거치면서 진보와 보수의 스윙스테이트 지역으로 바뀌었다. 이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이 구청장과 국회의원에 잇달아 당선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국회의원은 진영 그대로이지만, 용산구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을 달고도 국회의원 당선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최초의 사례이다.

이 지역의 동별 성향을 한 단어로 요약하면 한강로를 기준으로 서좌동우의 지형을 보여준다. 이는 용산기지가 용산구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바람에 발전이 기형적으로 이루어진 영향이 크다. 한강로동, 한남동, 서빙고동, 동부이촌동에서 특히 보수성향이 강하다.

국회의원의 경우에도 보수정당 후보가 지속적으로 당선되고 있으며, 16대의 설송웅도 보수정당 출신의 철새, 20대의 진영도 원래 새누리당에 있던 사람이다. 제헌 총선에서는 야당이 우세했지만 2대 총선3대 총선에서는 자유당 계열 정치인들이 용산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다. 용산 지역구가 당시 미군 부대 등으로 반공 성향이 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4대 총선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장기집권으로 야당인 민주당이 우세했고 5대 총선에서도 민주당이 우세했다. 6대 총선부터 8대 총선까지도 야권이 유리, 심지어 중선거구제로 이뤄진 9대 총선에서도 마포구와 합쳐져 민주당 2명이 모두 당선되었다. 그러나 10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박경원 후보가 중선거구제로 당선되고 11대 총선, 12대 총선에서도 중선거구제의 영향으로 민주정의당 봉두완 후보가 당선되기도 하였다. 13대 총선 이후로는 상단의 표에 나온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76,997표(52.3%)를 받아 문재인 후보의 69,572표(47.3%)를 5%p 정도 앞섰다. 총 스코어에서는 9:7로 박근혜 후보가 근소하게 앞섰다. 한강로동, 이촌1동과 서빙고동에서 박근혜 후보가 문재인 후보를 각각 1,856표, 4,579표, 2,711표 앞선 것이 주요했다. 문재인 후보는 청파동에서 2,142표차, 후암동에서 1,027표 차로 승리한 것 외에는 1,000표 이상 표차를 벌린 곳이 없었다. 나머지 동들은 전부 300~700여 표 차이로 승부가 갈렸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현역 의원인 진영이 박근혜 대통령과의 갈등으로 공천에서 컷오프되자 새누리당을 탈당하고 더불어민주당으로 입당하여 접전 끝에 황춘자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2017년에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자유한국당홍준표 후보에 15.5%차로 압승을 거뒀다. 문 후보는 서빙고동을 제외한 모든 행정동에서 승리했는데 딱 6표 차로 승리한 동부이촌동을 비롯해 한강로동과 이태원1동 등 기존의 보수 정당 강세 지역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미래통합당 권영세 후보가 불과 890표차로 신승하면서, 20대 총선 이후 4년 만에 보수 진영이 용산을 탈환했다. 기존의 민주당 우세 지역인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등에선 더불어민주당 강태웅 후보에게 밀렸으나, 부촌 지역인 한강로동, 이촌1동(동부이촌동), 서빙고동, 이태원1동, 한남동 다섯 군데에서 권영세 후보에게 몰표가 나오면서[1] 승리했다. 이로써 권영세 후보는 서울 강북 지역의 유일한 미래통합당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 선거에서 다소 특이한 점이 발견되었는데, 숙명여자대학교가 있는 청파동에서 여성의당이 3.02% (273 / 9,014표)를 받았다는 점이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특히 중산층 이상이 거주하는 아파트 표심이 대거 쏠리는 결과가 나왔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문재인 정부부동산 정책에 대한 심판이 이어졌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불과 60,063표를 받아 40%에도 미치지 못한 반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85,047표로 56.4%의 압도적인 득표를 기록해 두 후보간의 격차가 16.6%로 벌어졌다.[2] 이는 똑같이 양대 진영이 결집한 10년 전 18대 대선의 7,425표차 보다 세 배 이상, 비율로는 12.5%나 격차가 벌어진 것이다. 특히 부촌인 한강로동, 서빙고동, 한남동에서는 윤석열 후보가 60% 이상 득표하여 더블 스코어로 차이를 벌렸고, 동부이촌동(이촌1동)에서는 23:73으로 무려 세 배나 되는 대구경북급 격차가 나왔다. 그외 지역에서도 아파트 대단지가 있는 원효로1동, 원효로2동, 효창동, 용문동 및 부촌인 이태원동, 재개발 이슈가 있는 보광동에서 윤석열 후보가 이겼다. 이재명 후보는 변변한 아파트 단지도 재개발 이슈도 없는 4개동에서만 승리했다. 경합지로서의 성격은 완전히 사라지고, 보수 우위 지역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이 용산구에서 무려 64.93% 득표율로 승리했다.[3] 또한 구청장 선거도 국민의힘 소속 박희영 전 구의원이 60퍼센트 넘는 득표율로 당선되었다.[4]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정책 실패 영향 등으로 확실하게 보수 우세 지역구로 자리매김했다.

윤석열 정부 이후 대통령실이 용산구에 위치하게 되면서 '대통령이 거주하는 곳'이라는 정치적 상징성을 갖게 되었다. 다만 종로구와 같은 정치 1번지의 위상은 갖지 못할 것으로 보이는데, 경합지역에 가까운 종로구에 비해 용산구는 보수 우세가 확실한 지역이며, 나아가 용산에는 대통령실과 국방부청사 밖에 없는지라 정부서울청사[5]를 위시한 종로구 소재 중앙행정기관들에 비해 정치/행정적 중요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용산구 CI.svg 역대 용산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0 재보궐20022006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한나라당한나라당
설송웅성장현[6]박장규
2010201420182022
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성장현박희영
주요 후보 득표율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ta-hash-start=w-209dc878267a1292ff2a1b0bdfbbc52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무소속

후보정원식조순박찬종
득표수28,83251,61240,507
득표율23.00%41.18%32.32%
순위3위1위2위
선거인 수194,174
투표 수127,768
무효표 수2,462
투표율65.80%


3.1.1.2. 용산구청장 선거[편집]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준우40,5292위

ta-hash-start=w-204668b91a124c760b0f119311a93fd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2.55%낙선
2설송웅72,880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58.53%당선
3김종환11,1023위

무소속

8.91%낙선
선거인 수194,174투표율
65.80%
투표 수127,768
무효표 수3,257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ta-hash-start=w-5caa3c2369c7a3fd72fa043691402f2f[[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후보최병렬고건이병호
득표수40,50844,9982,609
득표율45.97%51.06%2.96%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80,009
투표 수89,210
무효표 수1,095
투표율49.56%


3.1.2.2. 용산구청장 선거[편집]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석용28,9142위
32.95%낙선
2성장현33,2671위
37.91%당선
3이준우11,1053위
12.65%낙선
4박경산3,7506위
4.27%낙선
5서정호6,4444위
7.34%낙선
6송덕화4,2645위
4.85%낙선
선거인 수180,009투표율
49.56%
투표 수89,208
무효표 수1,464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이명박김민석
득표수47,87836,435
득표율54.21%41.25%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86,438
투표 수89,215
무효표 수901
투표율47.85%


3.1.3.2. 용산구청장 선거[편집]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장규50,1141위
56.99%당선
2이길범29,4122위
33.44%낙선
3김종철8,4063위
9.55%낙선
선거인 수186,438투표율
47.85%
투표 수89,215
무효표 수1,283


3.1.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강금실오세훈박주선
득표수26,08758,4276,970
득표율27.45%61.48%7.33%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87,461
투표 수95,809
무효표 수780
투표율51.11%


3.1.4.2. 용산구청장 선거[편집]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남길17,3672위
18.34%낙선
2박장규54,3251위
57.37%당선
3성장현13,2923위
14.03%낙선
4김종민6,0824위
6.42%낙선
6김중완6726위
0.70%낙선
7명영호2,9415위
3.10%낙선
선거인 수187,461투표율
51.13%
투표 수95.840
무효표 수1,161


3.1.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5.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오세훈한명숙노회찬
득표수53,28544,7063,160
득표율51.15%42.91%3.03%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98,044
투표 수105,005
무효표 수841
투표율53.02%


3.1.5.2. 용산구청장 선거[편집]

{+1 [[파일:용산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지용훈(池容勲)45,4152위
44.07%낙선
2성장현(成章鉉)48,8421위
47.39%당선
3서정호(徐正昊)5,2083위
5.05%낙선
7정재진(鄭在鎭)2,5594위
2.48%낙선
8김복남(金福南)1,0245위
0.99%낙선
선거인 수198,044투표율
53.03%
투표 수105,020
무효표 수1,972


3.1.6.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나경원박원순
득표수50,84746,923
득표율51.82%47.82%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07,937
투표 수98,612
무효표 수504
투표율47.42%


3.1.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7.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정몽준박원순
득표수58,47957,807
득표율49.93%49.36%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04,529
투표 수118,198
무효표 수1,085
투표율57.79%


3.1.7.2. 용산구청장 선거[편집]

{+1 [[파일:용산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춘자(黃椿子)52,3372위
45.03%낙선
2성장현(成章鉉)58,2931위
50.11%당선
4정연욱(鄭然旭)5,6383위
4.85%낙선
선거인 수204,529투표율
57.79%
투표 수118,207
무효표 수1,993

3.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8.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
득표수53,96431,07324,074
득표율47.06%27.09%20.99%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200,009
투표 수116,054
무효표 수1,392
투표율58.02%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용산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3,964
(47.06%)
31,073
(27.09%)
24,074
(20.99%)
+ 22,891
(△19.96)
58.02%
후암동53.94%22.13%18.86%△31.8156.05
용산2가동52.56%24.34%17.07%△28.2354.87
남영동53.21%23.22%18.42%△29.9846.86
청파동50.47%25.35%17.56%△25.1251.58
원효로1동50.76%21.49%22.94%△27.8258.89
원효로2동49.59%24.58%20.80%△25.0160.55
효창동49.62%25.45%20.06%△24.1759.90
용문동51.83%22.25%21.05%△29.5861.32
한강로동40.03%30.82%25.22%△9.2150.73
이촌1동33.63%36.09%26.54%▼2.4760.21
이촌2동44.58%29.59%21.84%△14.9862.35
이태원1동41.83%33.49%20.12%△8.3547.51
이태원2동49.75%27.41%18.06%△22.3452.22
한남동45.39%31.28%18.77%△14.1045.79
서빙고동33.76%37.68%24.33%▼3.9257.58
보광동48.64%27.86%19.06%△20.7853.85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격차
거소·선상투표38.55%28.31%27.71%△10.24
관외사전투표54.93%19.58%19.82%△35.11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격차투표율
46.06%28.06%21.13%△17.9955.02


3.1.8.2. 용산구청장 선거[편집]

{+1 [[파일:용산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성장현(成章鉉)66,0201위
57.93%당선
2김경대(金敬大)38,1422위
33.46%낙선
3박홍엽(朴弘燁)9,8023위
8.60%낙선
선거인 수200,009투표율
58.02%
투표 수116,049
무효표 수2,085

3.1.9.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박영선오세훈
득표수39,28074,689
득표율33.36%63.4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04,483
투표 수118,460
무효표 수738
투표율57.93%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용산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박영선오세훈
득표수
(득표율)
39,280
(33.36%)
74,689
(63.44%)
-35,409
(▼30.08)
후암동44.09%52.42%▼8.33
용산2가동42.59%52.91%▼10.32
남영동43.03%53.44%▼10.41
청파동42.20%51.57%▼9.37
원효로1동35.03%61.84%▼26.81
원효로2동37.73%59.11%▼21.38
효창동38.94%57.29%▼18.35
용문동40.15%56.87%▼16.72
한강로동25.81%71.48%▼45.67
이촌1동19.55%78.82%▼59.27
이촌2동31.46%66.40%▼34.94
이태원1동30.00%67.25%▼37.25
이태원2동35.14%61.01%▼25.87
한남동28.33%69.08%▼40.75
서빙고동22.48%75.28%▼52.80
보광동37.02%59.70%▼22.68
거소투표24.45%67.76%▼43.31
관외사전투표38.86%57.82%▼18.96
국회의원
선거구별
박영선오세훈격차
용산구[7][A][8]33.08%63.79% ▼30.71
파일:용산구 CI.svg
용산구
서빙고동 제3투표소
신동아
90.34%◀ 82.14%p ▶8.21%
서빙고동 제1투표소
용산 푸르지오 파크타운
73.03%◀ 49.16%p ▶23.87%
이태원1동 제1투표소
청화
72.00%◀ 46.79%p ▶25.21%
한강로동 제1투표소
용산 파크 자이
70.43%◀ 43.59%p ▶26.83%
이촌2동 제3투표소
그린
68.94%◀ 39.55%p ▶29.39%
용문동 제3투표소
도원 삼성래미안
67.11%◀ 37.19%p ▶29.92%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특히 중산층 이상이 많이 거주하는 아파트 표심이 국민의힘으로 대거 쏠리는 결과가 나왔다.

3.1.10.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0.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송영길오세훈
득표수34,61467,579
득표율33.26%64.93%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99,061
투표 수104,787
무효표 수719
투표율49.12%

8회 지선 용산구 개표 결과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송영길오세훈(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4,614
(33.26%)
67,579
(64.93%)
- 32,965
(▼31.68)
104,787
(52.64%)
후암동42.84%55.18%▼12.3548.85
용산2가동40.74%56.52%▼15.7846.86
남영동39.15%58.37%▼19.2237.43
청파동[A]43.36%54.32%▼10.9543.23
원효로1동34.22%63.54%▼29.3349.83
원효로2동37.51%60.82%▼23.3152.46
효창동38.17%60.00%▼21.8354.26
용문동37.71%60.16%▼22.4554.27
한강로동[B]25.02%73.22%▼48.2050.08
이촌1동[C]18.48%80.44%▼61.9657.94
이촌2동[D]30.07%68.32%▼38.2458.39
이태원1동30.48%67.92%▼37.4445.06
이태원2동35.08%62.97%▼27.8944.36
한남동[E]27.82%71.04%▼43.2240.67
서빙고동[F]23.01%75.55%▼52.5451.21
보광동37.57%60.30%▼22.7346.21
후보송영길오세훈격차
거소·선상투표27.58%66.09%▼38.51
관외사전투표38.51%59.65%▼21.14
국회의원
선거구
송영길오세훈격차투표율
용산구[G][9]32.26%65.27%▼33.0149.12

3.1.10.2. 용산구청장 선거[편집]

{+1 [[파일:용산구 CI_White.svg}}} 용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철식(金撤植)38,6362위
37.33%낙선
2박희영(朴熙英)62,7881위
60.67%당선
4박규정(朴圭貞)2,0513위
1.98%낙선
선거인 수199,061투표율
52.64%
투표 수104,784
무효표 수1,309

용산구청장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철식박희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8,636
(37.33%)
62,788
(60.67%)
- 24,152
(▼23.34)
104,784
(52.63%)
후암동47.05%50.18%▼3.1348.83
용산2가동46.19%51.10%▼4.9046.87
남영동43.20%54.52%▼11.3237.43
청파동[*A ]49.03%48.53%△0.5043.24
원효로1동39.29%58.84%▼19.5549.82
원효로2동41.75%56.21%▼14.4752.47
효창동42.96%55.15%▼12.1954.26
용문동42.63%55.40%▼12.7754.27
한강로동[*B ]29.58%69.16%▼39.5850.08
이촌1동[*C ]21.04%77.64%▼56.6057.94
이촌2동[*D ]37.20%61.00%▼23.8058.39
이태원1동32.86%65.01%▼32.1545.06
이태원2동38.45%59.15%▼20.7044.34
한남동[*E ]29.96%68.57%▼38.6140.68
서빙고동[*F ]26.25%71.70%▼45.4651.20
보광동41.01%55.33%▼14.3346.23
후보김철식박희영격차
거소·선상투표31.73%63.47%▼31.73
관외사전투표42.39%55.90%▼13.51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56,86352,20857,89713,609
득표율31.46%28.88%32.03%7.52%
순위2위3위1위4위
선거인 수211,529
투표 수183,686
무효표 수2,951
투표율86.84%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59,75557,14429,9679,953
득표율37.56%35.91%18.83%6.25%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203,069
투표 수161,166
무효표 수2,077
투표율79.37%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61,05060,48615,764
득표율43.86%43.45%11.32%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80,295
투표 수141,083
무효표 수1,897
투표율78.25%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61,34961,4373,711
득표율48.28%48.35%2.92%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84,276
투표 수127,810
무효표 수748
투표율69.36%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25,96766,0962,3587,54413,554
득표율22.25%56.63%2.02%6.46%11.61%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190,910
투표 수117,051
무효표 수347
투표율61.31%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76,99769,572
득표율52.33%47.28%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06,665
투표 수147,849
무효표 수715
투표율71.54%

18대 대선 서울 용산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6,997
(52.33%)
69,572
(47.28%)
+7,425
(△5.05)
71.54%
후암동45.16%54.42%▼9.2670.94
용산2가동48.33%51.32%▼2.9970.18
남영동46.72%53.03%▼6.3162.61
청파동41.99%57.63%15.6471.41
원효로1동47.98%51.67%▼3.6973.96
원효로2동50.03%49.67%△0.36[10]76.41
효창동47.90%51.80%▼3.9077.75
용문동47.44%52.10%▼4.6675.02
한강로동59.83%39.68%△20.1569.63
이촌1동64.67%34.99%△29.6875.52
이촌2동52.51%47.12%△5.3976.33
이태원1동57.26%42.33%△14.9363.79
이태원2동52.14%47.51%△4.6369.01
한남동53.04%46.60%△6.4463.77
서빙고동66.52%33.10%33.4274.45
보광동51.42%48.16%△3.2666.49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54.07%45.51%△8.56
국내부재자투표52.17%47.02%△4.15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58,08135,23032,10911,8259,773
득표율39.33%23.85%21.74%8.0%6.61%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97,962
투표 수148,157
무효표 수497
투표율74.84%

19대 대선 서울 용산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8,081
(39.33%)
35,230
(23.85%)
32,109
(21.74%)
11,825
(8.0%)
9,773
(6.61%)
+ 22,851
(△15.48)
74.84%
후암동44.55%21.17%20.99%6.27%6.43%△23.3871.90%
용산2가동40.98%22.91%21.43%6.26%8.08%△18.0770.87%
남영동39.89%22.85%23.02%6.32%7.30%△16.8764.04%
청파동45.10%19.97%21.53%6.47%6.48%23.5770.39%
원효로1동43.19%19.53%21.26%8.81%6.91%△21.9376.90%
원효로2동41.78%22.03%21.68%7.80%6.25%△19.7577.36%
효창동40.86%21.65%23.28%7.16%6.72%△17.5879.18%
용문동42.13%20.70%23.07%7.64%6.02%△19.0677.84%
한강로동33.90%28.17%23.65%8.84%5.07%△5.7369.35%
이촌1동31.02%30.98%21.25%11.88%4.61%△0.04[11]77.12%
이촌2동36.82%26.19%23.10%7.86%5.72%△10.6378.03%
이태원1동34.54%30.05%20.27%7.54%7.25%△4.4964.39%
이태원2동38.70%25.15%20.71%7.39%7.58%△13.5569.15%
한남동37.17%26.74%21.48%7.40%6.70%△10.4364.71%
서빙고동27.20%33.76%23.67%9.99%5.05%6.5674.87%
보광동38.14%24.36%23.23%6.40%7.40%△13.7869.12%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선상투표38.43%22.27%28.82%6.99%2.62%△9.61
관외사전투표44.36%18.23%20.27%8.41%8.20%△24.09
재외투표50.43%13.86%17.50%5.69%11.41%32.93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용산구
용산구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60,06185,045
득표율39.86%56.4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99,077
투표 수152,068
무효표 수1,386
투표율76.39%

제20대 대통령선거 서울 용산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60,061
(39.86%)
85,045
(56.44%)
-24,984
(▼16.58)
후암동
49.19%47.06%▲2.13
용산2가동
47.87%47.03%▲0.84
남영동
48.17%46.91%▲1.26
청파동
50.17%44.71%▲5.46
원효로1동
41.23%54.68%▼13.55
원효로2동
43.13%53.14%▼10.01
효창동
44.88%51.49%▼6.61
용문동
46.11%49.56%▼3.45
한강로동
31.44%65.15%▼33.71
이촌1동
23.79%73.90%▼50.11
이촌2동
38.10%58.94%▼20.84
이태원1동
36.90%59.38%▼22.48
이태원2동
39.81%55.98%▼16.17
한남동
33.33%63.53%▼30.20
서빙고동
28.82%68.40%▼39.58
보광동
44.02%52.09%▼8.07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36.56%56.83%▼20.26
관외사전투표
43.59%52.75%▼9.16
국외부재자투표
44.85%51.18%▼6.33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용산구[12][A][13][14]38.87%56.66% ▼17.79

항상 경합지역이었던 용산의 정치지형 자체가 완전히 뒤바뀌었다. 기존 보수정당에 몰표를 주던 부촌은 그대로인 반면에 민주당에 지지를 몰아주던 용산 서부지역의 철옹성이 무너진 것이다. 기존에 민주당이 10% 이상 이기고 들어가던 청파동, 후암동에서 근소한 차이로 이겼고, 효창동, 용문동, 원효로동에서는 심지어 졌다.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용산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강태웅권영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3,001
(47.14%)
63,891
(47.80%)
- 890
(▼0.67)
135,043
(66.44%)
[ 펼치기 · 접기 ]

후암동56.60%37.74%△18.8663.90
용산2가동53.78%39.71%△14.0762.17
남영동55.03%38.47%△16.5655.81
청파동[*A ]56.66%36.64%△20.0159.04
원효로1동50.88%43.29%△7.5967.92
원효로2동51.21%43.09%△8.1267.89
효창동51.93%41.61%△10.3271.08
용문동52.42%40.91%△11.5268.37
한강로동[*B ]38.98%57.42%▼18.4364.45
이촌1동[*C ]32.04%65.50%▼33.4671.64
이촌2동[*D ]45.68%49.79%▼4.1170.18
이태원1동40.37%55.31%▼14.9357.34
이태원2동48.78%46.46%△2.3260.80
한남동[*E ]39.78%55.72%▼15.9457.12
서빙고동[*F ]33.20%62.83%▼29.6367.68
보광동49.49%44.32%△5.1758.94
후보강태웅권영세격차
거소·선상투표45.06%42.91%△2.15
관외사전투표55.61%39.35%△16.26
재외투표47.54%48.77%▼1.23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49,951
(38.19%)
37,347
(28.55%)
12,600
(9.63%)
10,587
(8.09%)
7,407
(5.66%)
+ 12,604
(△9.64)
135,106
(66.26%)
[ 펼치기 · 접기 ]

후암동29.43%35.53%10.85%7.07%6.21%▼6.1063.89
용산2가동32.16%34.02%11.00%5.82%5.65%▼1.8662.17
남영동30.60%36.52%10.27%6.39%5.03%▼5.9355.80
청파동[*A ]28.77%35.04%10.62%7.11%5.50%▼6.2759.04
원효로1동34.20%30.22%10.63%9.57%6.17%△3.9867.91
원효로2동33.46%30.92%11.51%8.39%6.15%△2.5467.90
효창동32.75%31.04%11.60%8.55%5.97%△1.7071.10
용문동31.55%32.82%11.72%8.62%5.66%▼1.2768.36
한강로동[*B ]45.50%22.71%7.97%10.08%4.88%△22.7864.43
이촌1동[*C ]53.00%16.97%7.35%10.09%4.85%△36.0271.64
이촌2동[*D ]38.55%27.67%9.05%8.11%6.31%△10.8970.19
이태원1동46.00%24.67%8.45%6.45%5.08%△21.3357.34
이태원2동37.43%29.95%9.40%7.26%5.54%△7.4860.80
한남동[*E ]45.37%24.95%8.27%7.21%4.83%△20.4257.13
서빙고동[*F ]50.11%20.15%6.89%8.97%3.63%△29.9667.68
보광동36.62%32.25%9.64%6.28%5.01%△4.3758.94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36.08%26.95%10.43%8.69%2.17%△9.13
관외사전투표31.72%32.57%10.54%7.47%8.09%▼0.85
재외투표37.74%25.38%8.60%6.18%10.81%△12.36



[1] 특히 동부이촌동으로 불리는 이촌1동에서 권영세 후보에게 65.5%의 몰표가 나왔다.[2] 송파구와 같은 수준의 격차.[3] 민주당세가 강한 남영동, 후암동, 용산2가동, 청파동에서도 모두 10% 이상의 넉넉한 격차로 승리했다. 다만 이 지역들은 투표율이 낮았는데, 특히 남영동은 투표율이 37%대에 머물렀다.[4] 8회 지선 구청장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비교적 선전했음에도, 용산구는 강남 3구 수준의 참패를 당했다.[5] 다만 이 곳도 정부과천청사, 정부대전청사, 정부세종청사 등이 조성되어서 수많은 정부기관들이 이전한 이후로는 명색이 수도인데도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 물론 지역 균형 발전 측면으로 보면 마냥 부정적으로 평가하기도 어렵다.[6] 00.4.25. 구청장직 상실(선거법 위반)[7] 용산구 일원[A] A B C 관외투표 제외[8] 지역구 국회의원 : 권영세 (국민의힘, 4선)[B] 용산 센트럴파크, 파크타워가 있는 동네[C] 동부이촌동[D] 서부이촌동[E] 한남더힐, 나인원 한남아파트가 있는 동네[F] 서빙고 신동아아파트, 용산 푸르지오 파크타운이 있는 동네[G] 관외투표 제외[9] 지역구 국회의원 : 권영세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4선)[10]34표 차였다.[11]6표 차이였다.[12] 용산구 일원[13] 지역구 국회의원 : 권영세 (국민의힘, 4선)[14]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장인 권영세의 지역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