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울산공업고등학교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대한민국 특성화고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강서공고경기기계공업고경기상고경복비즈니스고
고명외식고광신방송예술고광운인공지능고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
대경생활과학고대동세무고대일관광고대진디자인고
덕수고덕일전자공업고서울동구고동명생활경영고
서울매그넷고리라아트고미래산업과학고상일미디어고
서서울생할과학고서울공고서울관광고서울금융고
서울동산고등학교서울디자인고서울디지텍고서울문화고
서울방송고서울신정고서울아이티고서울여자상고
서울영상고서울의료보건고서울인공지능고서울전자고
서울컨벤션고등학교서울항공비즈니스고서일문화예술고선린인터넷고
선일빅데이터고선정국제관광고성동공고성동글로벌경영고
성수공고성암국제무역고세그루패션디자인고세명컴퓨터고
송곡관광고신진과학기술고영락의료과학고용산철도고
유한공고염광여자메디텍고예림디자인고영신간호비즈니스고
예일디자인고영등포공고은평메디텍고인덕과학기술고
한강미디어고한세사이버보안고휘경공고한양공고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일신여자상고해성국제컨벤션고화곡보건경영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장영실고세종여고세종미래고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울산공고울산기술공고울산미용예술고울산산업고
울산상고울산생활과학고울산애니고울산여상고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동광산과고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주공고광주여자상고광주자연과학고광주전자공고
금파공고동일미래과학고서진여자고등학교송원여자상고
전남공고숭의과학기술고전남여자상고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전남조리과학고영광공고전남보건고신안해양과학고
목포중앙고목포성신고장성하이텍고전남미용고
전남에너지고호남원예고전남자연과학고벌교상고
삼계고한국말산업고전남기술과학고여수정보과학고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한국국제조리고등학교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산업과학고성산고영주고등학교제주고등학교
제주여자상고제주중앙고중문고한국뷰티고
한림공고
[각주]





울산광역시 남구고등학교
파일:울산공업고등학교 교표.svg
울산공업고등학교
蔚山工業高等學校
{{{-1 Ulsan Technical High School
}}}
||

교훈집념, 창의, 질서
상징교목느티나무
교화산당화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분류특성화고등학교
개교1937년 3월 29일 (87주년)
울산공립농업학교
교장제27대 유병득
교감장인권, 박승수
재학생968명(2023년)
교직원103명(2023년)
면적연면적88,625㎡
건축면적
30,103㎡
관할교육청울산광역시강남교육지원청
주소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204번길 49 (신정동)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3.2. 교화
3.3. 교목
3.4. 교훈
3.5. 교가
4. 학과
4.1. 자동화기계과
4.2. 전기과
4.3. 화공과
4.4. 건축과
4.5. 토목과
4.6. 전자통신과
5. 학교 시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6.2. 학교 일과
7.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8. 운동부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10. 기타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에 위치한 특성화고등학교다. 재학생 900여 명, 교직원 100여 명 가량 규모의 졸업생이 3만 명이 넘는 전통 있는 학교다.


2. 학교 연혁[편집]


날짜내용
1937년 3월 29일울산공립농업학교(5년제갑종) 설립인가
1937년 5월 1일개교
1946년 9월 1일울산공립농업중학교(6년제)로 개편
1951년 9월 1일울산농업고등학교(3년제)로 개편, 울산제일중학교 분리
1954년 10월 13일울산농림고등학교로 교명변경
1962년 12월 6일울산실업고등학교로 교명변경
1967년 6월 1일울산공업고등학교 부설 청소년 직업학교 운영(1976년 2월 25일까지)
1969년 11월 22일울산농공고등학교로 교명변경
1972년 2월 28일울산공업고등학교로 교명변경
2006년 5월 15일로봇 특성화 고등학교 지정
2016년 2월 12일제75회 졸업식 - 546명(졸업생 총수: 33,814명)
2016년 3월 1일제 25대 이상락 교장 선생님 취임
2016년 3월 3일2016학년도 입학식(신입생 538명)
2018년 2월 6일제77회 졸업식 - 548명(졸업생 총수: 34,892명)
2018년 3월 2일2018학년도 입학식(신입생 426명)
2018년 9월 1일제 26대 조규영 교장선생님 취임
2019년 2월 12일제78회 졸업식 - 525명(졸업생 총수: 35,417명)
2020년 2월 12일제79회 졸업식 - 461명(졸업생 총수: 35,878명)
2020년 3월 3일2020학년도 입학식(신입생 365명)[2]
2021년 3월 3일2021학년도 입학식(신입생 331명)
2023년 3월 2일제85회 입학식(신입생 334명)


3. 교훈 및 상징[편집]


출처: 울산공업고등학교 홈페이지


3.1. 교표[편집]


파일:울산공업고등학교 로고.jpg


3.2. 교화[편집]


산당화


3.3. 교목[편집]


느티나무


3.4. 교훈[편집]


집념, 창의, 질서



3.5. 교가[편집]


파일:울산공업고등학교 교가.gif


4. 학과[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미래 전망은 울산공업고등학교 각 학과 페이지에 나와있는 '졸업 후 취업' / '졸업 후 진학' 문단에 의거하여 서술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미래 전망은 울산공업고등학교 각 학과 페이지에 나와있는 '졸업 후 취업' / '졸업 후 진학' 문단에 의거하여 서술으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4.1. 자동화기계과[편집]


신축 태양광발전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3]

한 학년당 5개 반을 운영 중이다.[4]

주로 하는 건 용접, 기계 조립, 설비보전, 캐드, 냉동공조이다.


4.2. 전기과[편집]


전기과&전자통신과 건물의 1층은 전기과 2층은 전자통신과로 나눠쓴다.
2020년부터 한 학년당 2개 반을 운영한다.

보통 이론으론 송배전 및 수전 시설 기초에 대해 배우며 실기로는 전기기능사를 기본으로 둔다.
그 외 공유압기능사, 승강기기능사, 동력제어 등이 있고 비슷한 계열(전자)로는 전자기기기능사, 전자계산기기능사 등이 있다.


4.3. 화공과[편집]


환경화학공업과 였으며, 2018년에 학과명을 줄여서 '화공과'로 변경하였다.

한 학년에 2개 반을 운영한다. 과 건물은 토목과와 함께 사용하는데, 1층은 토목과, 2층은 화공과가 쓴다.

주로 배우는 건 환경기능사, 위험물기능사, 화학분석기능사화학공업 관련 자격증들이다.


4.4. 건축과[편집]


건축설계과 였으며, 2018년에 학과명을 줄여서 '건축과'로 변경하였다.

한 학년에 2개 반을 운영한다.
과 건물은 예전에 자동화기계과가 사용하였던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주로 배우는 건 콘크리트/시멘트 분야 기능사와 건설 캐드 정도이다.


4.5. 토목과[편집]


토목설계과 였으며, 2018년에 학과명을 줄여서 '토목과'로 변경하였다.

한 학년에 2개 반을 운영한다. 과 건물은 화공과와 함께 사용하는데, 1층은 토목과, 2층은 화공과가 쓴다.

주로 하는 일은 건축과랑 비슷하다. 콘크리트기능사와 토목 캐드.


4.6. 전자통신과[편집]


정보통신과로 신설되어 2007년 유비쿼터스과로 학과명을 변경하였으며, 현재는 전자통신과로 불린다.

실습실의 경우 전기과&전자통신과 실습동의 1층은 전기과 2층은 전자통신과로 나눠쓴다.

2020년에 입학하는 신입생부터 2개 반으로 운영한다.

주로 순수하게 전자통신과에서 배우는 것은 전자계산기, 전자캐드, 전자기기 정도였으나, 학과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시퀀스, 전기분야 등을 추가로 배운다.


5. 학교 시설[편집]


파일:울산공업고등학교 건물배치도.gif


6. 학교 생활[편집]



6.1. 주요 행사[편집]


행사명개최시기 [5] [6]
불꽃축제2022년 11월 10일
불꽃 축제라고 해서 불꽃놀이가 생각날 수 있지만 그냥 교내 축제 이름이 불꽃 축제이다.
축제 자체는 다른 학교와 비슷할 수도 있지만 학교가 크다는 점이 장점이자 특이한 점이다.
부스 운영은 거의 과별로 한다. 체육관에서 하는 무대공연이 꽤 훌륭하다.
*2022년 축제영상
https://www.youtube.com/live/ulgQlWqwJIw?feature=share

6.2. 학교 일과[편집]


시간일과
~ 8시 50분등교
08시 50분 ~ 09시 00분아침자습 및 조례시간
09시 00분 ~ 09시 50분1교시
10시 00분 ~ 10시 50분2교시
11시 00분 ~ 11시 50분3교시
12시 00분 ~ 12시 50분4교시
12시 50분 ~ 13시 45분점심시간
13시 45분 ~ 14시 35분5교시
15시 45분 ~ 15시 35분6교시
15시 35분 ~ 15시 45분청소 및 종례시간
15시 45분 ~ 16시 35분7교시

7.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편집]



8. 운동부[편집]


현재 존재하는건 야구부, 테니스부가 있고, 90년도에 있던 권투부는 폐부되었다.


8.1. 야구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울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울산공고: 울산 버스 922

9.1. 버스[편집]


신정시장앞(31105) (시청앞방면)

신정시장앞(31106) (태화로터리방면)

신정시장앞(31107) (시청앞방면)

신정시장앞(31108) (태화로터리방면)
[ 버스 목록 ]





상공회의소(31001)
일반

상공회의소(31002)
일반

한국노총(31003)
일반

한국노총(31004)
일반

울산공고(22801)
지선

울산공고후문(63606)
지선


10. 기타[편집]


  • 쉬는시간마다 빵을 먹는 학생들이 많아서 그런지 비둘기가 꽤 많다.
  • 서울에 비해선 없는 수준이지만 울산에선 비둘기가 3마리 이상 무리 짓는 것을 보기 힘들기에 17마리 정도의 비둘기들이 울산공고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비둘기 외에도 까치, 참새, 오리[7] 등의 조류가 근처에서 서식한다.


[1] 학교 방송부 채널[2] 코로나19로 인해 개학 및 입학식이 진행되지 않았다.[3] 구 건물은 건축과가 사용 중[4] 2학년부터 1, 2, 3반은 일반 수업을 받고 4, 5반은 도제학교로 운영된다.[5] 매년 11월 중순 쯤 행사가 개최된다.[6] 2020년엔 코로나19로 인해 개최되지 않았다.[7] 2015년 갑자기 사라짐. 이들이 없어진 시기가 이상하게 교직원 회식과 겹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