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선버스

덤프버전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지선버스(인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종류[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급행
순환
간선
지선
출근
군위
폐선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
)]


4.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종류[편집]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
급행
간선
지선
마을



2006년 12월 개편시 50번~1187번의 번호체계를 부여받았으나 2007년 2월 재개편 이후부터 아예 뒤죽박죽 되었다.


5. 울산광역시 시내버스의 종류[편집]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
급행
직행
일반
지선
마을
마실
[ 펼치기 · 접기 ]

중구910912913916
남구920921922923
924925926927
928929975976
977[2]978
동구931932
북구940941[1]942943[1]
944945946947
948949981995
울주군[1]951952953954
955956957958
[1] 농어촌 노선.(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 / [2] 마을버스와 공동 배차



이 항목보다 왜 마을버스의 항목이 더 자세한 지는 묻지 말자(...)

2003년 시내버스 대개편 때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지선임을 나타내는 '9' + 운행하는 구/군의 구분번호[1] + 일련번호 형태의 세자릿수 번호를 가진다.

동네의 사업자들 외로도 2011년까지는 간선사업자인 대우여객남성여객이 직접 한정면허를 부여받아 운행했었으나, 대우여객은 경영난으로 사세가 확 줄어들었고 남성여객은 멀쩡히 갖고 있다 뺏겨서 울남지선버스라는 자회사[2]를 설립하여 운행을 일임하였으므로 그 이후로는 전부 지선사업자만 노선을 운행중이다.


6.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의 종류[편집]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
BRT
광역
간선
지선
마을
두루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목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창원시 시내버스의 종류[편집]



파일:창원시 CI_White.svg
||
좌석
간선
지선
읍면
마을
맞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창원시 시내버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청주시 시내버스의 종류[편집]


이 틀과 관련된 토론이 진행 중입니다.
파일:청주시 CI_White.svg
||
광역ㆍ급행ㆍ좌석
순환
간선
지선
청주콜버스
[ 노선목록 펼치기 · 접기 ]

내수
남일·미원
낭성·가덕
보은

남일·문의
남이·부강
오송·강내
조치원
오창·병천
시내외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청주시 시내버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의 종류[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
공항
급행
간선
지선
순환
심야
임시
[ 900번대 · 마을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익산시 시내버스의 종류[편집]


파일:익산시 CI_White.svg
||
좌석
간선
일반
순환
지선
행복
폐선
[ 펼치기 · 접기 ]

금마 / 여산환승장 출발
2610264026502651
5600560156205710
5720573057405750
57605770
함열환승장 출발
3330333136805331
5332533354205421
5430544054415460
5470548054915501
5510552055305540
음영 표시 : 수요응답형 병행노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익산시 시내버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부산광역시 마을버스의 종류[편집]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노선의 지선은 부산시 버스정보시스템에 뜨지 않는다. 특히 기장군 지역에는 기장군 11번, 기장군 8번 이 2개 노선 외에는 모든 노선이 지선이 있다. 이 때문에 기장군 마을버스는 행선지를 잘 보아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21:39:39에 나무위키 지선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구: 1 및 6, 남구: 2 및 7, 동구: 3, 북구: 4 및 9, 울주군: 5 및 6. 남구와 북구는 2와 4가 다 차서 각각 7과 9도 사용하는데, 노선 일련번호가 0이 아니라 5부터 시작한다.[2] 2019년에 대우여객으로 넘겼고, 이름이 우리버스로 바뀌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