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투(태풍)

덤프버전 :

1. 개요
2. 2001년 제7호 태풍
3. 2007년 제2호 태풍
4. 2013년 제16호 태풍
5. 2018년 제26호 태풍
5.1. 기록
5.1.1. 미국 JTWC
5.1.2. 일본 기상청(JMA)
5.2. 태풍의 진행
5.3. 제명


1. 개요[편집]


위투(Yutu, 玉兔)는 중국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전설속의 옥토끼를 의미한다. 2018년 태풍이 사이판에 상당한 피해를 입혀 제명되었으며 이후 태풍의 이름은 '인싱'으로 대체되었다.


2. 2001년 제7호 태풍[편집]




2001년 태풍
제6호 콩레이제7호 위투 → 제8호 도라지

2001년 제7호 태풍 위투
위성사진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진로도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활동 기간2001년 7월 24일 3시 ~ 2001년 7월 26일 9시
영향 지역필리핀, 대만,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베트남
태풍 등급2등급[JTWC]
10분 등급강한 열대폭풍[JMA]
태풍 크기소형(직경 430km)
최저 기압975hPa
최대 풍속1분 평균44m/s
10분 평균28m/s

필리핀 북동부 해상에서 발생하여 그대로 서진하며 조금씩 발달하였다. 광동 남부 해상에서 전성기를 보내고 중국 잔장에 상륙하였다. 상륙 후 조금 더 서진하다가 난닝 남부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3. 2007년 제2호 태풍[편집]




2007년 태풍
제1호 콩레이제2호 위투 → 제3호 도라지

2007년 제2호 태풍 위투
위성사진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진로도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활동 기간2007년 5월 18일 3시 ~ 2007년 5월 23일 9시
영향 지역미크로네시아 연방,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태풍 등급4등급[JTWC]
10분 등급매우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소형(직경 500km)
최저 기압935hPa
최대 풍속1분 평균67m/s
10분 평균49m/s

2007년 5월 17일, 남서쪽 약 8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여 5월 19일에는 괌 서쪽 약 1,340km 부근 해상까지 이동했다. 진로를 변경하여 북동쪽으로 이동하다가 5월 21일부터 점차 약해졌다. 이후 5월 23일 오전 9시, 도쿄 동남동쪽 약 1,600km 부근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하였다.


4. 2013년 제16호 태풍[편집]




2013년 태풍
제15호 콩레이제16호 위투 → 제17호 도라지

2013년 제16호 태풍 위투
진로도파일:1316track.png
활동 기간2013년 9월 1일 9시 ~ 2013년 9월 2일 3시
태풍 등급열대폭풍[JTWC]
10분 등급열대폭풍[JMA]
태풍 크기중형(직경 610 km)
최저 기압1002 hPa
최대 풍속1분 평균23 m/s
10분 평균18 m/s

2013년 9월 1일 9시, 일본 삿포로 동남동쪽 약 3,25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여 2013년 9월 2일 3시에 일본 도쿄 동쪽 약 3,420km 부근 해상에서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어 소멸되었다.

JTWC에서는 이 태풍을 아열대저기압(Subtropical Depression)으로 분석하였다.[1]


5. 2018년 제26호 태풍[편집]


제명된 태풍
[ 펼치기 · 접기 ]

2001
와메이
2002
차타안
2002
루사*
2002
봉선화
2003
야냔
2003
임부도
2003
매미*
2004
수달
2004
팅팅
2004
라나님
2005
맛사*
2005
나비*
2005
룽왕
2006
짠쯔
2006
빌리스
2006
사오마이
2006
이오케※
2006
상산
2006
두리안
2009
모라꼿*
2009
켓사나
2009
파마
2010
파나피
2011
와시
2012
비센티
2012
보파
2013
소나무
2013
우토르
2013
피토
2013
하이옌
2014
람마순
2015
사우델로르*
2015
무지개
2015
곳푸
2015
멜로르
2016
므란티*
2016
사리카
2016
하이마
2016
녹텐
2017
하토
2017
카이탁
2017
덴빈
2018
룸비아*
2018
망쿳
2018
위투
2019
레끼마*
2019
파사이
2019
하기비스
2019
간무리
2019
판폰
2020
봉퐁
2020
린파
2020
몰라베
2020
고니
2020
밤꼬
2021
꼰선
2021
곤파스
2021
라이
2022
말라카스
2022
메기
2022
망온
2022
힌남노*
2022
노루
2022
날개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오면서 태풍으로 편입된 것으로 허리케인 때의 이름이 붙어있다. 허리케인 명명기준 '이오파'로 변경.





2018년 태풍
제25호 콩레이제26호 위투 → 제27호 도라지

2018년 제26호 태풍 위투
위성사진파일:1826.png
진로도파일:Yutu_2018_track.png
활동 기간2018년 10월 22일 9시 ~ 2018년 11월 2일 15시
영향 지역사이판, , 필리핀, 중국 푸젠성, 광둥성
태풍 등급5등급[JTWC]
10분 등급맹렬한 태풍[JMA]
태풍 크기대형(직경 1,100 km)
최저 기압900 hPa
최대 풍속1분 평균80 m/s
10분 평균59 m/s
피해사망자30명
피해총액8억 5,410만 달러[2]

2018년 10월 21일 15시에 서태평양 열대 저기압(태풍) 명명권이 있는 일본 기상청에서 24시간 내 태풍 발생 경보를 내렸고, 22일 3시에 26호 태풍 위투(Yutu)라 명명하였다.[3] JTWC 지정번호 31W.


5.1. 기록[편집]



5.1.1. 미국 JTWC[편집]


미국 JTWC[4]
일시중심위치최대풍속(1분)SSHS 등급예상강도예상경로
21일 21시북위 8.4도, 북위 157.6도25노트열대저기압48시간 후 80노트
120시간 후 125노트
22일 03시북위 8.6도, 동경 156.8도30노트48시간 후 80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22일 09시북위 9.0도, 동경 155.9도35노트열대폭풍48시간 후 90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
22일 15시북위 9.8도, 동경 155.0도40노트48시간 후 95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22일 21시북위 10.4도, 동경 153.8도45노트48시간 후 110노트
120시간 후 135노트
#
23일 03시북위 10.9도, 동경 152.7도60노트48시간 후 110노트
120시간 후 130노트
23일 09시북위 11.5도, 동경 151.6도65노트1등급48시간 후 120노트
96시간 후 130노트
#
23일 15시북위 11.8도, 동경 150.6도75노트48시간 후 120노트
96시간 후 135노트
23일 21시북위 12.2도, 동경 149.7도90노트2등급36시간 후 125노트
72시간 후 145노트
120시간 후 130노트
#
24일 03시북위 12.7도, 동경 148.9도110노트3등급12시간 후 130노트
72시간 후 150노트
120시간 후 130노트
24일 09시북위 13.3도, 동경 147.9도130노트4등급12시간 후 140노트
72시간 후 155노트
120시간 후 130노트
#
24일 15시북위 13.9도, 동경 147.1도145노트5등급24시간 후 155노트
72시간 후 150노트
120시간 후 130노트
24일 21시북위 14.6도, 동경 146.2도155노트36시간 후 155노트
72시간 후 145노트
120시간 후 125노트
25일 03시북위 15.3도, 동경 145.3도150노트24시간 후 140노트
120시간 후 115노트
25일 09시북위 15.8도, 동경 144.2도145노트48시간 후 130노트
120시간 후 115노트
#
25일 15시북위 16.0도, 동경 143.2도145노트48시간 후 130노트
120시간 후 110노트
25일 21시북위 16.3도, 동경 142.3도140노트48시간 후 120노트
120시간 후 105노트
26일 03시북위 16.6도, 동경 141.4도130노트4등급48시간 후 115노트
120시간 후 100노트
26일 09시북위 16.9도, 동경 140.3도130노트48시간 후 115노트
120시간 후 100노트
26일 15시북위 16.9도, 동경 138.9도130노트48시간 후 115노트
120시간 후 100노트
#
26일 21시북위 17.2도, 동경 137.6도135노트48시간 후 120노트
120시간 후 95노트
27일 03시북위 17.5도, 동경 136.1도140노트5등급12시간 후 145노트
48시간 후 130노트
120시간 후 95노트
27일 09시북위 17.7도, 동경 134.7도140노트12시간 후 145노트
48시간 후 130노트
120시간 후 90노트
#
27일 15시북위 17.8도, 동경 133.3도135노트4등급48시간 후 120노트
120시간 후 75노트
27일 21시북위 17.9도, 동경 132.2도135노트48시간 후 110노트
120시간 후 85노트
#
28일 03시북위 17.9도, 동경 131.0도130노트36시간 후 125노트
72시간 후 80노트
120시간 후 95노트
28일 09시북위 17.9도, 동경 130.1도130노트48시간 후 100노트
120시간 후 85노트
#
28일 15시동경 17.9도, 동경 129.0도120노트48시간 후 90노트
120시간 후 85노트
28일 21시북위 17.7도, 동경 128.1도110노트3등급48시간 후 65노트
120시간 후 45노트
29일 03시북위 17.4도, 동경 127.1도105노트48시간 후 60노트
120시간 후 45노트
29일 09시북위 16.9도, 동경 126.2도90노트2등급48시간 후 60노트
120시간 후 30노트
#
29일 15시북위 16.8도, 동경 125.3도90노트36시간 후 60노트
72시간 후 80노트
120시간 후 30노트
29일 21시북위 16.7도, 동경 124.2도90노트36시간 후 70노트
72시간 후 90노트
120시간 후 30노트
#
30일 03시북위 16.8도, 동경 123.0도90노트24시간 후 70노트
48시간 후 90노트
120시간 후 30노트
30일 09시북위 16.8도, 동경 121.6도80노트1등급12시간 후 70노트
48시간 후 90노트
120시간 후 30노트
#
30일 15시북위 16.8도, 동경 120.3도70노트12시간 후 65노트
36시간 후 75노트
120시간 후 20노트
30일 21시북위 16.6도, 동경 119.3도55노트열대폭풍24시간 후 70노트
96시간 후 20노트
31일 03시북위 17.0도, 동경 118.7도55노트24시간 후 65노트
72시간 후 20노트
31일 09시북위 17.4도, 동경 118.0도55노트24시간 후 65노트
72시간 후 20노트
31일 15시북위 18.1도, 동경 117.5도45노트24시간 후 60노트
72시간 후 20노트
31일 21시북위 18.5도, 동경 117.2도45노트12시간 후 50노트
72시간 후 20노트
1일 03시북위 18.9도, 동경 116.9도50노트24시간 후 40노트
48시간 후 25노트
1일 09시북위 19.4도, 동경 116.6도50노트24시간 후 35노트
48시간 후 20노트
1일 15시북위 19.8도, 동경 116.5도45노트24시간 후 30노트
36시간 후 20노트
1일 21시북위 20.3도, 동경 116.4도40노트24시간 후 25노트
36시간 후 20노트
2일 03시북위 20.5도, 동경 116.3도30노트열대저기압12시간 후 25노트
24시간 후 20노트
2일 09시북위 20.6도, 동경 116.2도25노트12시간 후 20노트
2일 15시북위 20.7도, 동경 116.1도25노트

[펼치기/접기] Best-Track 풍속 (03시-09시-15시-21시)

TD - 열대저기압, TS - 열대폭풍, Ca - 카테고리 a 태풍, EX - 온대저기압, 굵은 글씨 - 최성기, 풍속의 단위는 kn(노트)
JTWC 공식 사후해석 결과
최저 중심기압 : 904hPa (25일 03시)
최고 풍속 : 150kn(약 78m/s) (24일 21시 ~ 25일 09시, 27일 03시 ~ 27일 09시)
21일X - X - X - 25(TD)
22일30 - 35(TS) - 40 - 50
23일60 - 65(C1) - 75 - 90(C2)
24일110(C3) - 130(C4) - 145(C5) - 150
25일150 - 150 - 145 - 140
26일135(C4) - 135 - 140(C5) - 145
27일150 - 150 - 140 - 140
28일135(C4) - 130 - 130 - 120
29일105(C3) - 100 - 105 - 120(C4)
30일105(C3) - 90(C2) - 75(C1) - 65
31일60(TS) - 50 - 50 - 50
01일50 - 55 - 60 - 60
02일50 - 40 - 35 - 25(TD)



5.1.2. 일본 기상청(JMA)[편집]


일본 기상청[5][6]
일시중심위치현재세력등급강풍반경[7][8][9]
중심기압최대풍속(10분)
22일 09시북위 9.4도, 동경 156.1도1002hPa35노트310km
22일 21시북위 10.9도, 동경 154.0도992hPa45노트390km
23일 09시북위 11.6도, 동경 151.8도975hPa65노트440km
23일 21시북위 12.2도, 동경 149.7도955hPa80노트440km
24일 09시북위 13.4도, 동경 148.0도925hPa100노트매우 강440km
24일 21시북위 14.7도, 동경 146.2도900hPa115노트맹렬440km
25일 09시북위 15.8도, 동경 144.1도900hPa115노트470km
25일 21시북위 16.3도, 동경 142.3도935hPa95노트매우 강520km
26일 09시북위 16.9도, 동경 140.3도935hPa95노트500km
26일 21시북위 17.3도, 동경 137.6도925hPa100노트500km
27일 09시북위 17.8도, 동경 134.7도915hPa105노트맹렬500km
27일 21시북위 18.0도, 동경 132.2도915hPa105노트550km
28일 09시북위 18.0도, 동경 130.2도935hPa95노트매우 강500km
28일 21시북위 17.8도, 동경 128.0도955hPa80노트470km
29일 09시북위 17.0도, 동경 126.1도970hPa70노트440km
29일 21시북위 16.8도, 동경 124.2도955hPa80노트420km
30일 09시북위 16.6도, 동경 121.6도970hPa70노트280km
30일 21시북위 16.9도, 동경 119.1도985hPa55노트280km
31일 09시북위 17.5도, 동경 118.2도990hPa50노트280km
31일 21시북위 18.6도, 동경 117.4도992hPa45노트280km
1일 09시북위 19.5도, 동경 116.9도994hPa45노트280km
1일 21시북위 20.2도, 동경 116.8도994hPa45노트280km
2일 09시북위 20.7도, 동경 116.4도1008hPa35노트220km
2일 15시북위 20.7도, 동경 116.1도1008hPa열대저기압으로 약화


5.2. 태풍의 진행[편집]


10월 22일 새벽 3시, 일본 기상청(JMA)은 괌 동남동쪽 약 부근 해상의 열대저기압(TD)을 열대폭풍(TS)으로 승격시키며 제27호 태풍 위투(Yutu)로 명명하였다.

22일 12시 JTWC 예보에 따르면 5일 뒤 135노트의 SSHS 기준 4등급 슈퍼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태풍의 발생 위치나 상층 환경 등 주변환경을 고려해 봤을 때 135노트 이상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높다.

23일 새벽 3시 JTWC 예보에 따르면, 위투는 1분 평균 최대풍속 60노트까지 발달하였고, 5일 뒤 약 130노트의 슈퍼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같은 날 오후에 들어서는 발달에 가속이 붙으며, 21시를 기점으로 급발달이 시작되었다. 이 시점에서 JTWC는 위투의 세력을 1분 평균 최대풍속 90노트 SSHS 기준 2등급 태풍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정 통보문에서 SSHS 기준 카테고리 5등급 슈퍼태풍으로의 발달을 최초로 예상하였다.

24일에도 급발달 경향이 유지되면서, 21시에는 각 기관의 위성 분석에서 만장일치로 T값 7.5가 해석되면서, 1분 평균 최대풍속 155노트(=80m/s)까지 발달하였다. 같은 시각 일본 기상청(JMA)에서는 위투의 세력을 중심기압 900hPa, 10분 평균 최대풍속 115노트(=59m/s)로 해석하였다. 이로써, 위투는 2018년 전세계 최강 열대저기압으로 등극하였다.

기존 22호 태풍의 망쿳은 JTWC 기준의 1분 평균 최대풍속 기준으로 봤을 때 둘 다 155노트로 위투와 같지만[10], 일본 기상청(JMA) 베스트 트랙 기준으로는 위투(115노트/900hPa)가 망쿳(110노트/905hPa)보다 더 강하게 해석되면서 망쿳의 기록을 깨고 올해 최강의 태풍이 되었다.[11]

25일 새벽 위투는 북마리아나 제도SSHS 기준 5등급의 세력으로 직격하였다. [12] '태풍 강습' 사이판공항 폐쇄로 발 묶인 한국인 1천700명 규모 슈퍼태풍 '위투'에 사이판 초토화…섬 전체가 멈췄다 대한민국 정부에선 10월 27일 공군 수송기를 파견해서 한국인들의 탈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수송기로 인근의 괌까지 대피한 다음, 괌에서 인천으로 국적기를 타고 귀국하는 계획을 세웠다.

그리고 눈벽 대체 현상이 위투의 세력을 일시적으로 약화시키면서 25일 3시 150노트, 9시 145노트, 21시 140노트, 그 다음 26일 3시에는 130노트까지 풍속이 낮아졌다. 눈벽 대체 현상(Eyewall Replacement Cycle)은 안쪽 눈벽은 점차 약해지고, 상대적으로 강한 바깥쪽 눈벽이 안쪽 눈벽 쪽으로 좁혀들어와 기존의 눈벽을 대체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태풍은 발달 정체 현상을 보이거나 일시적으로 약화할 수 있지만, 눈벽 대체 현상이 완전히 끝나면 다시 강하게 발달할 수 있다.[13]

26일 오전 눈벽 대체 현상을 마무리한 위투는 미약하게나마 좀 더 발달하면서 21시에는 135노트로 상향되었다. 각 기상 기관의 예측을 보면 필리핀 루손섬 북부 지역에 태풍이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본 기상청은 태풍의 중심이 섬을 관통하는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미국 JTWC는 필리핀 북쪽 바다를 지나는 것으로 예상하였다.

27일 오전 3시에는 140노트로 조금 더 발달하며 다시 카테고리 5급이 되었다. 미국 JTWC에서 12시에 발표한 예상경로를 보면, 필리핀 루손 섬 북부에 닿자마자 급커브를 보이며 전향할 예정이다. 반면 일본 기상청은 전향시점을 더 늦게 보아서 루손 섬을 완전히 통과하는 경로를 예상하고 있다.

그 뒤 27일과 28일 오전까지는 슈퍼태풍의 지위를 유지하였으나, 28일 늦은 오후 들며 급약화가 시작되면서 28일 21시에는 110노트, 다음 날인 29일 09시에는 90노트까지 약화되었다. 미국 JTWC와 일본 기상청의 예보에 따르면, 30일 오전에 필리핀 루손 섬을 열대폭풍 ~ 카테고리 1의 세력으로 통과할 예정이다. 그 뒤에 전향하기 시작하여 중국 남부 지역에 약한 세력으로 상륙할 예정이다.

29일 09시 이후 위투는 90노트의 세력을 유지한 채로 필리핀 루손 섬을 향해 계속 서진하였다.

그리고 필리핀 기상청은 30일 06시(한국시간) 통보문에서 태풍 위투가 루손 섬 이사벨라 주 dinapigue에 상륙하였다고 밝혔다. 가까운 시각(03시)의 JTWC는 위투의 세력을 1분 풍속 90노트의 SSHS 기준 카테고리 2등급 태풍으로 해석하였고[14], 일본 기상청(JMA) 베스트 트랙 기준으로 03시의 세력을 중심기압 955hPa, 10분 평균 최대풍속 80노트(=41m/s)로 해석하였다.

상륙 이후 육상마찰에 의한 약화기에 접어들었고, 일본 기상청(JMA)은 30일 15시 남중국해로 진입한 위투를 중심기압 985hPa의 열대폭풍으로 강등시켰다. 북쪽 방향으로 전향하면서 약간의 재발달 가능성이 있었으나, JMA 베스트 트랙 기준으로는 별다른 발달 없이 천천히 약화 과정을 거치다 2일 15시 1008hPa의 열대저기압(TD)으로 약화되며 소멸 처리하였다.


5.3. 제명[편집]


사이판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였기 때문에 당연히 미국이 제명을 신청했다. 그런데 제명 신청을 2019년도 태풍위원회가 아닌, 1년 6개월이 지난 후에 2018년 태풍인 '룸비아'와 '망쿳'의 대체명이 확정될 때, 즉 2020년도 태풍위원회에서 뒤늦게 했고, 그에 따라 2019년도 태풍들과 함께 제명처리되었다. 따라서 대체명은 2021년도에 나오게 되며, 대체명은 '인싱'으로 선정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4:06:57에 나무위키 위투(태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JTWC] A B C D [JMA] A B C D [1] JTWC에서 아열대저기압은 감시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1분 평균 최대풍속이 분석되지 않았으나, 사후 해석으로 재분석을 실시한 후 공개하였다.[2] 2018 USD[3] 사후 해석에서 22일 9시 발생으로 발생 시각 수정[4] 속보치 기준[5] JMA 베스트 트랙(사후해석) 기준[6] 수명이 길어서 12시간 간격으로 작성[7] 풍속 30노트 이상[8] 베스트 트랙 상 해리(nm) 단위로 표기되어 있어 km로 변환 후 10km 단위로 반올림[9] 해리 단위가 아닌 km 단위로 나온 JMA 베스트 트랙도 있으니 같이 참고하길 바란다.#[10] 속보치 기준[11] 다만 JMA의 기준으로는 콩레이 역시 사후 해석에서 위투와 같은 세력인 900hPa, 59m/s로 재분석되어 콩레이와 Tie 기록이다. 다만 콩레이의 1분 평균 최대풍속은 140노트로 해석되었었다. 결국 사후해석에서 JTWC도 콩레이의 세력을 위투와 동일하게 상향시켰다.[12] 미국 영토에 상륙한 열대저기압 중 1분 풍속 기준으로 역대 2위라고 한다. 역대 1위는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으로 미국 본토에 상륙하였다.[13] 단, 주변 환경이 발달에 유리한 조건일 때[14] 속보치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