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윌리엄 헤이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영국 외무부장관 (1782~1968)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찰스 제임스 폭스토머스 로빈슨찰스 제임스 폭스조지 뉴전트템플그렌빌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프랜시스 오스번윌리엄 그렌빌로버트 젠킨슨더들리 라이더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헨리 핍스찰스 제임스 폭스찰스 그레이조지 캐닝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헨리 배스러스트리처드 웰즐리로버트 스튜어트조지 캐닝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존 워드조지 해밀턴고든헨리 존 템플아서 웰즐리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헨리 존 템플조지 해밀턴고든헨리 존 템플그렌빌 레베슨고어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제임스 해리스존 러셀조지 빌리어스제임스 해리스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존 러셀조지 빌리어스에드워드 스탠리조지 빌리어스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그렌빌 레베슨고어에드워드 스탠리로버트 개스코인세실그렌빌 레베슨고어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로버트 개스코인세실아치볼드 프림로드스태퍼드 노스코트로버트 개스코인세실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아치볼드 프림로즈존 우드하우스로버트 개스코인세실헨리 페티피츠모리스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에드워드 그레이아서 밸푸어조지 커즌램지 맥도널드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오스틴 체임벌린아서 헨더슨루처스 아이작스존 시먼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새뮤얼 호어앤서니 이든에드워드 우드앤서니 이든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어니스트 베빈허버트 모리슨앤서니 이든해럴드 맥밀런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
셀윈 로이드알렉 더글러스흄랩 벌터패트릭 고든 워커
제65대제66대제67대
마이클 스튜어트조지 브라운마이클 스튜어트
영국 외무·영연방부 장관 (1968~2020)
제67대제68대제69대제70대
마이클 스튜어트알렉 더글러스흄제임스 캘러헌앤서니 크로스랜드
제71대제72대제73대제74대
데이비드 오언피터 캐링턴프랜시스 핌제프리 하우
제75대제76대제77대제78대
존 메이저더글러스 허드맬컴 리프킨드로빈 쿡
제79대제80대제81대제82대
잭 스트로마거릿 베케트데이비드 밀리밴드윌리엄 헤이그
제83대제84대제85대제86대
필립 해먼드보리스 존슨제러미 헌트도미닉 랍
영국 외무·영연방 및 개발부 장관 (2020~현재)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도미닉 랍리즈 트러스제임스 클레벌리데이비드 캐머런






제82대 외무영연방개발부장관
제17대 영국 보수당 당수
윌리엄 제퍼슨 헤이그 경
Rt Hon. Sir William Jefferson Hague, Baron Hague of Richmond
PC FRSL
파일:640px-William_Hague_(2010).jpg
출생1961년 3월 26일 (63세)
영국 잉글랜드 요크셔 로더햄
재임기간사회보장국 장관
1994년 7월 20일 ~ 1995년 7월 5일
웨일스 장관
1995년 7월 5일 ~ 1997년 5월 2일
제82대 외무영연방개발부장관
2010년 5월 12일 ~ 2014년 7월 14일
부총리
2010년 5월 12일 ~ 2015년 5월 8일
서명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펼치기 · 접기 ]

작위리치먼드 남작
부모아버지 나이젤 헤이그 어머니 스텔라 헤이그
배우자피온 젠킨스 (1997년 결혼)
학력리폰 문법 학교 (졸업)
왓 아카데미 (졸업)
옥스퍼드 대학교 모들린 컬리지 (PPE / BA)
INSEAD (경영학 / MBA)
종교개신교 (성공회)
소속 정당

지역구노스요크셔 리치먼드
의원 선수6
의원 대수50, 51, 52, 53, 54, 55
경력옥스퍼드 유니언 회장
제50~55대 서민원 의원
노먼 라몬트 의회 비서관
사회보장국 차관 (존 메이저 내각)
사회보장국 장관 (존 메이저 내각)
웨일스 장관 (존 메이저 내각)
제17대 보수당 대표
국제민주연합 의장
제82대 외무영연방개발부장관 (데이비드 캐머런 내각)
부총리 (데이비드 캐머런 내각)
서민원 여당 원내대표 (데이비드 캐머런 내각)
리치먼드 남작
귀족원 의원

왕립 재단 회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여담



1. 개요[편집]


보수당 소속의 영국 정치인이다. 외무·영연방부 장관을 역임한 바 있다.

2. 생애[편집]


1961년 3월 26일 잉글랜드 요크셔주 로더햄에서 태어났다. 헤이그의 부모님은 탄산음료 회사를 운영했으며, 방학기간에 회사에서 일하기도 했다고 한다. 헤이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정치경제철학[1]을 전공하였으며, 옥스퍼드의 보수당 청년당원 학생들의 모임인 옥스퍼드 유니언의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1987년 총선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 후 1989년 재보궐 선거 리치먼드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하원의원이 된다. 1995년에는 당시 총리였던 존 메이저에 의해 웨일스부 장관(Secretary of State for Wales)에 임명된다.

이 후 1997년 총선에서 노동당 대표인 토니 블레어가 승리하면서, 메이저는 총리직과 보수당 대표직에서 사퇴한다. 이러한 메이저의 뒤를 이어 당시 제1야당 보수당의 대표에 선출된다. 36살이라는, 정치권은 물론이고 일반 사회에서도 젊은 축에 속하는 나이에 이룬 일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헤이그의 영광은 오래가지 못했다. 블레어는 임기동안 정부지출을 크게 늘렸는데, 이는 후대에 부담이 됐을지언정 당대에는 경기부양에 효과적이었다. 또 금융업이 완전 자율화된 덕분에 정부지출과 함께 금융업이 경제성장을 이끈 주된 동력이 되었다. 이러한 블레어 집권기의 경제호황은 중도층들로 하여금 노동당을 지지하게 하였고, 이 때문에 헤이그의 보수당은 선거마다 연전연패하였다. 그리고 2001년 총선에서도 패배하면서 헤이그는 끝내 보수당 대표직에서 사퇴한다.

하지만 2005년에 선출된 신임 보수당 대표 데이비드 캐머런은 헤이그의 정치 인생을 성공적으로 부활시켰다. 캐머런의 그림자 내각에 헤이그는 외무부 장관을 맡았고, 2010년에 치러진 제55회 영국 총선에서 캐머런의 보수당이 승리하면서 헤이그는 외무부 장관으로 입각하게 되었다. 캐머런 1기 내각 내내 헤이그는 외무부 장관 겸 선임 장관(First Secretary of State)을 맡으며 보수당의 2인자로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모종의 이유 때문에 2015년의 제56회 영국 총선에는 출마하지 않았고, 현재는 사실상 정계를 은퇴한 상태이다.

이후 헤이그의 지역구 리치먼드는 리시 수낙이 물려받게 된다. 지역구 주민들은 두 의원 연속으로 보수당 대표[2]를 맞이하게 된다. 참고로 헤이그는 2022년 9월 영국 보수당 지도부 선거2022년 10월 영국 보수당 지도부 선거 모두 수낙을 지지했다. # ##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당락비고
19871987년 영국 총선웬트워스

10,113 (21.8%)낙선(2위)
19891989년 영국 서민원 보궐선거리치몬드19,543 (37.2%)당선(1위)초선
19921992년 영국 총선40,202 (61.9%)재선
19971997년 영국 총선23,326 (48.9%)3선
20012001년 영국 총선25,951 (58.9%)4선
20052005년 영국 총선26,722 (59.1%)5선
20102010년 영국 총선33,541 (62.8%)6선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77 - 현재정계입문


5. 여담[편집]


파이온 젠킨스(Ffion Jenkins)라는 여성과 결혼하였다. 여러 차례 유산을 겪은 탓에 슬하에 자녀는 없다.
[1] Philosophy, politics and economics. 정치, 경제, 철학을 모두 배우는 융합 학과로, 옥스퍼드 대학에서 가장 인기있는 학과들 중 하나이다.[2] 다만 헤이그는 야당 대표에 그쳤지만, 수낙은 총리에까지 오르게 된다. 헤이그를 부활시킨 사람이 캐머런 총리였고, 브렉시트 이후 은퇴한 캐머런을 부활시킨 사람은 리시 수낙 총리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5:15:58에 나무위키 윌리엄 헤이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