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라크 항공

덤프버전 :




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ta-hash-start=w-22dc55325eb29df191f2c7aef05f3fea[[파일:북한 국기.svg 북한ta-hash-start=w-5e9712c2e8e27f71cdd5fdbc443448b0[[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b01f659554805dc3b0dd01f757d440f9[[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고려항공 로고.svg
ta-hash-start=w-45a0104473e934a22cc04bdc1db8615b[[파일:중국 국기.svg 중국ta-hash-start=w-90ed62ae831b0fede37d3fb3be91c531[[파일:대만 국기.svg 대만ta-hash-start=w-9205ff0c6662aff0bce23adfc2d803ac[[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ta-hash-start=w-c6c477a7ecc421032cbb009a28f1daf9[[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
파일:에어마카오 로고.svg
ta-hash-start=w-55ad99b84c3aaccd084b169df2893207[[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ta-hash-start=w-7fb693858c802d676c3ca3a52737fb35[[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싱가포르ta-hash-start=w-4175883acf83089135ff7acd62567221[[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
파일:타이항공 로고.sv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브루나이
파일: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로고.svg
파일:로열 브루나이 항공 로고.svg
카자흐스탄ta-hash-start=w-a10765ead0373244d0b92935ed504753[[파일:인도 국기.svg 인도ta-hash-start=w-59056fc9607a289311e7db149d539700[[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ta-hash-start=w-868d9159218a23928937b35dfdf3f1cc[[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에어 아스타나 로고.svg
파일:에어 인디아 로고.svg
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svg
파일:네팔항공_2023로고.png
방글라데시ta-hash-start=w-625d2d3101c23c47a46984741c232fed[[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파일: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로고.svg
파일:드루크 항공 로고.svg
파일:스리랑카 항공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svg
파키스탄ta-hash-start=w-86e8f7ab32cfd12577bc2619bc635690[[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ta-hash-start=w-ced398e2e89ba5d2840497063e42b1ad[[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파키스탄 국제항공 로고.svg
파일:중동항공 로고.svg
파일:예메니아 항공 로고 영문.svg
ta-hash-start=w-7a3a5778db9271d6f93523c8050ba200[[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ta-hash-start=w-6d421c4cd50d9b7b238e77a0661a7d53[[파일:오만 국기.svg 오만ta-hash-start=w-5e9199f65abd9c10124f2f35e294f91b[[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Etihad Airways 로고.svg
파일:Emirates 로고 가로형.svg
파일:오만 항공 로고.svg
파일:로얄 요르단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c47885c351d3aa6927efeac136e5f14c[[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이스라엘ta-hash-start=w-9f890600d69f79271807ba91400927df[[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엘알 이스라엘 항공 로고.svg
파일:쿠웨이트 항공 로고.svg
아프가니스탄ta-hash-start=w-9b40c9529a5917bdfe3f19555bb94f03[[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투르크메니스탄ta-hash-start=w-3953630da28e5181cffca1278517e3cf[[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로고.svg
파일:걸프에어 로고.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항공 로고.png
파일:이라크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b1bc40d056bad6ec6949d9bb6fee5e84[[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ta-hash-start=w-34acc0a122c6b77f89fafbc5c3892395[[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시리아 항공 로고.svg
파일:몰디비안 로고.svg




이라크 항공
الخطوط الجوية العراقية هێڵی ئاسمانی عێڕاقی | Iraqi Airways
파일:이라크 항공 로고.svg
부호콜사인 (IRAQI)
IATA (IA) ICAO (IAW) BCC (70)
항공권 식별 번호073
설립 연도1945년 6월
허브 공항바그다드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37
취항지 수45
항공 동맹미가입
링크파일:이라크 항공 로고.svg


1. 개요
2. 역사
3. 취항지
4. 보유 기종
5. 사건 사고



1. 개요[편집]


이라크의 국영 플래그 캐리어 항공사.

2. 역사[편집]


1945년 2차 세계대전 이후 이라크 국영 철도의 부서로 설립되었으며 1946년 드 해빌랜드 드래곤 래피드기로 운항을 시작했다. 이후 BOAC의 도움을 받아 빅커스 바이킹과 DC-3를 도입했고 드래곤 래피드를 교체했다. 1955년 11월에 도입된 빅커스 비스카운트 터보프롭기로 런던행 노선에 취항했다. 1960년 이라크 항공은 이라크 국영 철도에서 분리되었다. 1960년대에는 서방제 호커 시들리 트라이던트와 소련제 Tu-124를 도입해 아프리카와 유럽에 취항했다. 1970년대 오일 쇼크로 호황을 맞이한 이라크 항공은 보잉 707, 보잉 747, 보잉 727을 도입하며 도쿄, 뉴욕, 방콕에도 취항했다.

그러나 199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 걸프 전쟁등으로 대부분의 기제가 파괴되거나 버려졌고 그나마 남아있던 Il-76과 보잉 727은 하지기간에만 운항이 허가되었다. 2004년, 사담 후세인이 추방되며 바그다드-암만 노선부터 운항을 시작했고 2006년 리스한 보잉 767로 프랑크푸르트, 런던, 두바이, 이스탄불에 취항했다.

3. 취항지[편집]


아시아
바레인 국제공항 ·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 사다르 발라바이 파텔 국제공항 ·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 · 차트라파티 시바지 국제공항 · 이스파한 국제공항 · 마슈하드 국제공항 · 테헤란 이맘 호메이니 국제공항 · 바그다드 국제공항 · 바스라 국제공항 · 아르빌 국제공항 · 알 나자프 국제공항 · 나시리야 공항 · 술라이마니야 국제공항 · 퀸 알리아 국제공항 · 쿠웨이트 국제공항 · 베이루트 라피크 하리리 국제공항 ·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 진나 국제공항 · 킹 압둘아지즈 국제공항 · 프린스 모하메드 빈 압둘아지즈 국제공항 · 킹 칼리드 국제공항 · 에센보아 국제공항 · 안탈리아 공항 · 오구젤리 공항 · 이스탄불 공항 · 사비하 괵첸 국제공항 · 트라브존 공항 · 삼순 체삼바 공항 · 아부다비 국제공항 · 두바이 국제공항
유럽
헤이다르 알리예프 국제공항 · 민스크 국제공항 · 소피아 공항 · 코펜하겐 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뮌헨 국제공항 · 브누코보 국제공항 · 예테보리 란트베터 공항 · 스톡홀름 알란다 국제공항 · 보리스필 국제공항 · 개트윅 공항 · 맨체스터 공항
아프리카
카이로 국제공항 · 후르가다 국제공항 · 샤름엘셰이크 국제공항 · 튀니스 카르타고 국제공항

4. 보유 기종[편집]


제작사기종보유 대수비고
에어버스A220-3002
A320-2003
A321-2002
A330-2001
보잉737-800141기는 이라크 정부 전용기로 사용
767-300ER1
777-200LR1
봉바르디에CRJ-9006

5. 사건 사고[편집]


  • 1975년 3월 1일, 모술에서 바그다드로 가던 737-200기가 3명의 납치범에 의해 납치되었다. 납치범들은 85명의 쿠르드족 포로의 석방을 요구했다. 테헤란에 착륙한 후 기내에 있던 보안 요원과의 총격전 중 납치범 한명이 사살되었고 남은 두 명은 투항했으며 살아남은 이들은 사형을 선고받았다.
  • 1984년 9월 16일, 라르나카에서 바그다드로 가던 123편이 3명의 납치범에 의해 납치되었다. 하지만 기내 보안관의 총격으로 납치범 3명 전원이 사살되었다.
  • 1986년 12월 25일, 4명의 납치범들이 바그다드에서 암만으로 가던 163편을 납치하려했다. 기내 보안관은 납치범들을 막는데 실패했고 객실에서 수류탄이 폭발하자 163편은 비상 하강을 시작했다. 그러나 조종석에서 또다른 수류탄이 폭발하자 163편은 통제를 잃었고 아라르 인근에 추락했다. 106명의 탑승자 중 63명이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9:19:24에 나무위키 이라크 항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