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선주

덤프버전 :

1 김민정 · 2 이덕주 · 3 홍혜지 · 4 김도연 · 5 고유진 · 6 문하연 · 7 손화연
8 장창 · 9 정설빈 · 10 이네스 · 11 엔게샤 · 12 성서울서라벌 · 13 김성미 · 14 오연희
15 백진주 · 16 장슬기 · 17 이세은 · 18 김정미 · 19 윤혜인 · 20 김혜리
C
· 21 최유정
23 이민아 · 24 이소희 · 25 요코 · 26 임선주 · 27 남궁예지 · 28 강채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숙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상남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광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넝쿨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선주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2009년 이후
17대18대19대20대21대
한진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김결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김정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이세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4)
이세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22대23대24대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워드마크.svg
정설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임선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1)
김혜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
◀ 리그 창설 이전



임선주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WK리그 챔피언 결정전 우승
20132014201520162017
20182019202020212022
2023
임선주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틀:대한민국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여자
[ 펼치기 · 접기 ]

순위선수 및 현 소속 구단출전 횟수첫 경기마지막 경기
1지소연수원 FC 위민154회2006.10.30
(vs 캐나다)
2023.11.01
(vs 중국)
2조소현버밍엄 시티 WFC148회2007.07.01
(vs 대만)
2023.08.03
(vs 독일)
3김정미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145회2003.06.10
(vs 태국)
2023.11.01
(vs 중국)
4김혜리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121회2010.11.16
(vs 요르단)
2023.11.01
(vs 중국)
5권하늘문경 상무107회2006.11.30
(vs 대만)
2023.09.28
(vs 홍콩)
6임선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105회2009.08.26
(vs 북마리아나)
2023.07.25
(vs 콜롬비아)
7전가을세종 스포츠토토101회2007.08.12
(vs 베트남)
2019.04.06
(vs 아이슬란드)
대한축구협회 선수별 A매치 기록 기준 (2023.11.01. 기준)




파일:임선주_2023 FIFA 여자 월드컵.jpg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No. 26
임선주
任善株 | Lim Seon-Joo
출생1990년 11월 27일 (33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168cm, 56kg
포지션센터백
학력현대청운중학교 (졸업)
현대고등학교 (졸업)
한양여자대학교 (전문학사)
등번호6[1], 26[2]
소속 구단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2011~ )
국가대표105경기 6골 (대한민국 / 2009~ )[3]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가족부모님,오빠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기타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국적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구단 내에서 세 번째로 오래 머물러 있다.[4]


2. 클럽 경력[편집]


2010년 11월 6일 열린 2011 WK리그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로 인천현대제철에 지명되었다. 따라서 인천 유니폼을 입고 리그를 뛴 것은 2011년부터.

2016년 6월 30일, 구미스포츠토토와의 원정경기에서 코너킥을 바로 오버헤드킥으로 차며 원더골을 넣었다.

2017시즌은 부상에 시달리며 10경기 출전에 그쳤다. 하지만 10월 21일 대구WFC와의 전국체전 여자일반부 1라운드에서 후반 교체로 복귀전을 치렀고, 서울시청과의 정규리그 마지막 라운드에서 선발 출장과 함께 득점까지 올렸다. 그리고 화천 KSPO와의 챔피언결정전 1, 2차전에 모두 선발로 나서서 팀의 통합 5연패를 이끌었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국가대표팀에서 심서연과 함께 중앙 수비라인을 구성하고 있다. 심서연이 2015년 동아시안컵에서 입은 십자인대 부상의 여파로 대표팀에서 멀어진 뒤로는 팀 동료인 김도연과 호흡을 맞추는 경우가 많다.

부상 복귀 후 폼이 100%로 올라오지는 않았는지 2017 EAFF 동아시안컵에서는 1경기만 출전했다. 하지만 2018 알가르베컵과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는 모두 주전으로 활약하며 대한민국의 2회 연속 월드컵 본선 티켓 획득의 일등공신이 되었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에 뽑혔다. 그간 대표팀을 책임져 왔던 김도연이 제외되면서 본격적으로 대표팀 수비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8월 28일 일본과의 준결승, 동점에서 대한민국이 흐름을 이끌던 후반 86분 헤더 자책골을 기록하여 팀이 패배했다. 경기 종료 후 필드에서 오열하면서 스스로를 자책하는 모습이 찍혔다. 지난 대회에서는 패스 미스가 실점으로 이어졌고, 이번에는 자책골을 넣었기 때문에 실력에 대해 크게 논란이 되고 있다.[5]

2023년 2월 17일, 아놀드 클라크컵 잉글랜드전에서의 출전으로 센추리 클럽에 가입하였다.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최종 엔트리 명단에 이름을 올려 세 번째 월드컵에 참가하게 됐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빠른 주력을 이용해서 상대의 공격을 끊어내며, 거친 몸싸움도 적극적으로 하는 센터백이다. 코너킥 상황에서의 득점도 간혹 보여준다.


5. 기타[편집]


  • 첼시 FC의 주장 존 테리의 팬이며, 그래서 자신의 등번호도 26번이라 한다.
  • 같은 소속팀의 김나래, 김혜리와 친한 듯하다.[6]


6.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margin: -10px -10px -5px; padding: 2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041d 0%, #f9041d 30%, #f9041d 70%, #f9041d)"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wiki style="margin-top: -12px; float: right"
[[대한축구협회|[[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align=right&height=75]]]]
{{{#!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윤덕여호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 최종 명단)}}}}}}
1 전민경 · 2 이은미 · 3 임선주 · 4 심서연 · 5 김도연 · 6 황보람 · 7 전가을 · 8 조소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041d; font-size: .8em"
C}}}
9 박은선 · 10 지소연 · 11 정설빈 · 12 유영아 · 13 권하늘 · 14 송수란 · 15 박희영 · 16 강유미
17 김혜영 · 18 김정미 · 19 김수연 · 20 김혜리 · 21 윤영글 · 22 이소담 · 23 이금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코치|{{{#250E77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윤덕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코치|{{{#250E77 {{{-2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정성천#!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250E77 {{{-2 스태프}}}}}}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은정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범수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송준섭


{{{#!wiki style="margin: -10px -10px -5px; padding: 2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D313A 0%, #CD313A 30%, #CD313A 70%, #CD313A)"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wiki style="margin-top: -12px; float: right"
[[대한축구협회|[[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align=right&height=75]]]]
{{{#!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윤덕여호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 최종 명단)}}}}}}
1 강가애 · 2 이은미 · 3 정영아 · 4 황보람 · 5 김도연 · 6 임선주 · 7 이민아 · 8 조소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D313A; font-size: .8em"
C}}}
9 문미라 · 10 지소연 · 11 정설빈 · 12 강유미 · 13 여민지 · 14 신담영 · 15 이영주 · 16 장슬기
17 이금민 · 18 김민정 · 19 이소담 · 20 김혜리 · 21 정보람 · 22 손화연 · 23 강채림
{{{#0B090C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코치|{{{#ffffff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윤덕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ffffff {{{-2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은정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정찬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정유석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우정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3:56:57에 나무위키 임선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2]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3] 2023년 7월 25일 기준[4] 첫 번째는 김정미(2004년 입단), 두 번째는 이세은(2008년 입단)이다.[5] 누리꾼들 역시 욕을 무시무시하게 했다.주목을 덜 받는 여자축구라 이 정도로 끝난거지 남축에서 저랬으면...실제로 김주영의 경우 자책골을 2개나 넣었으나 친선이었는데,먹은 욕은 임선주보다 더 많이 먹었고 결국 축구를 그만둬야 했다.남축과 여축의 인기 차를 알 수 있는 부분.[6] SNS 등을 보면 셋이서 함께하는 사진을 많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