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구단 기본 문서모기업파일:현대제철 로고.svg 현대제철
연고지파일:인천광역시 휘장(?-1996).svg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구단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2009~2017).png 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svg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유소녀유소녀 축구 교실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유소녀 축구 교실
유니폼역대 유니폼
주요 인물현재선수단구단주 안동일감독 김은숙단장 서상원주장 김혜리
역대역대 감독역대 주장코칭스태프프랜차이즈 선수
시설 관련 문서홈구장현재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클럽 하우스현대제철 레드엔젤스 클럽하우스
역사리그 출범 이전파일:인천제철 로고.svg 인천제철 여자 축구단-현대제철 여자 축구단 시기파일:external/file.newswire.co.kr/2005053111175070610.51911100.jpg 파일:현대제철 로고.svg 현대INI스틸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시기
시즌별 일람리그 창설 이전 시즌리그 창설 이후 시즌역대 WCC 성적
WK리그 챔피언 결정전
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
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
전국체육대회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012002200320092012201420172018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
200420082012201520162021
현재 시즌2023
팬덤 관련 문서팬덤규모와 인기
응원응원가
팬 커뮤니티레드엔젤스 1993
라이벌전파일:이천 대교 여자 축구단 소공백 선명 휘장.png 뷰티풀 매치
논란사건·사고
기타우승 기념물마스코트




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svg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INCHEON HYUNDAI STEEL RED ANGELS
정식 명칭현대제철 여자 축구단 레드엔젤스
영문 명칭Hyundai Steel Women's Football Club Red Angels
애칭붉은 천사
구단 형태기업 구단
구단 사무국인천광역시 서구 파랑로 29 (원창동)[1]
창단1993년 12월 3일(30주년)
소속 리그
파일:WK리그(2022).png
연고지인천광역시 (2009~ )
홈구장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2015~ / 5,078석)
구단명 변천인천제철 여자 축구단 (1993~2001)
현대INI스틸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01~2006)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06~2009)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09~ )
운영 법인인천제철주식회사[2] (1993~2001)
아이엔아이스틸주식회사[3] (2001~2006)
현대제철주식회사[4] (2006~ )
라이벌 - 뷰티풀 매치 (2002~2017)
모기업파일:현대제철 로고.svg
구단주안동일[5]
단장서상원[6]
부단장김상범[7]
주무이준호[8]
감독김은숙
주장20 김혜리[9]
부주장공석
상징색적색, 청색, 금색[색상코드]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10성)엠블럼.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유소녀 축구 교실
팬 커뮤니티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레드엔젤스 1993
우승 기록
WK리그 챔피언 결정전
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파일:2022년 이후 WK리그 우승 상패 외곽 적정 공백 사진.png
(11회 / 최다 우승)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WK리그 정규 리그
(12회 / 최다 우승)
2010,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전국체육대회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8회 / 최다 우승)
2001, 2002, 2003, 2009, 2012, 2014, 2017, 2018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파일: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상패 적당 공백 사진.png
(6회 / 최다 우승)
2004, 2008, 2012, 2015, 2016, 2021
여왕기 전국여자축구대회
(8회 / 최다 우승)
1998, 1999, 2000, 2003, 2004, 2005, 2006, 2007[10]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5회 / 최다 우승)
1996, 1998, 1999, 2001, 2002[11]
한국도로공사배 전국여자종별축구대회
(5회 / 최다 우승)
1996, 1998, 1999, 2000, 2001[12]
코리안 여자 리그
(5회 / 최다 우승)
1997, 1998(2차), 1999(1차), 1999(2차), 2000(1차)[13]
처용기 전국여자종별선수권대회
(1회 / 최다 우승)
2000[14]
통일대기 전국여자종별선수권대회
(5회 / 최다 우승)
2001, 2002, 2003, 2005, 2006[15]
춘계여자축구연맹전
(3회 / 최다 우승)
2003, 2004, 2006[16]
추계여자축구연맹전
(3회 / 최다 우승)
2004, 2005, 2006[17]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WK리그 최초, 유일 3~10회 연속 통합 우승[1]
AFC 여자 클럽 챔피언십 최초, 최다 출전 WK리그 구단[2]
최고 이적료 영입? - (?년, ?, 약 ?억)
최고 이적료 방출? - (?년, ?, 약 ?억)
최다 출장? - ?경기[기준]
최다 득점? - ?득점[기준]
최다 도움? - ?도움[기준]
최다 공격 포인트? - ?개[기준]
최다 무실점? - ?경기[기준]

[1] 2013~2021[2] 1회 출전 - 2019[기준] A B C D E WK리그, 전국체육대회,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AFC 여자 클럽 챔피언십 합산 기록, 2022 시즌 종료 기준
구단 수상
[ 펼치기 · 접기 ]

(미상)

개인 수상
[ 펼치기 · 접기 ]

WK리그 챔피언 결정전 최우수 선수상(MVP)
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
(10회)
따이스 (2013 ?경기 ?득점 ?도움)
김정미 (2014 ?경기 ?실점)
이세은 (2015 ?경기 ?득점 ?도움)
비야 (2016 ?경기 ?득점 ?도움)
조소현 (2017 ?경기 ?득점 ?도움)
김정미 (2018 ?경기 ?실점)
따이스 (2019 ?경기 ?득점 ?도움)
정설빈 (2020?경기 ?득점 ?도움)
최유리 (2021 2차전 ?경기 ?득점 ?도움)
이민아 (2022 2차전 ?경기 ?득점 ?도움)
WK리그 득점왕
파일:golden_shoe.png파일:golden_shoe.png파일:golden_shoe.png
(3회)
비야 (2017 24경기 23득점)
비야 (2018 22경기 19득점)
비야 (2019 18경기 16득점)
WK리그 도움왕
파일:golden_ball.png파일:golden_ball.png파일:golden_ball.png파일:golden_ball.png파일:golden_ball.png
(5회)
따이스 (2014 23경기 10도움)
따이스 (2015 21경기 9도움)
비야 (2017 24경기 14도움)
장슬기 (2019 27경기 17도움)
최유정 (2020 20경기 8도움)
WK리그 신인상
(0회)
WK리그 감독상
(1회)
김은숙 (2022 우승, 16승 4무 1패)
WK리그 골키퍼상
(1회)
김정미 (2022 ?경기 ?실점)
WK리그 수비수상
(0회)
WK리그 미드필더상
(0회)
WK리그 공격수상
(1회)
최유리 (2022 ?경기 ?득점 ?도움)
WK리그 퀸 오브 더 매치
(2회)
손화연 (2021 19R)
김정미 (2022 1R)
전국체육대회 최우수 선수상(MVP)
(?회)
? (? ?경기 ?득점 ?도움)
전국체육대회 득점왕
(?회)
? (? ?경기 ?득점)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최우수 선수상(MVP)
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파일:golden_player.png
(6회)
송주희 (2004 ?경기 ?득점 ?도움)
이계림 (2008 ?경기 ?득점 ?도움)
이세진 (2012 ?경기 ?득점 ?도움)
이민아 (2015 ?경기 ?득점 ?도움)
이세은 (2016 ?경기 ?득점 ?도움)
장슬기 (2021 ?경기 ?득점 ?도움)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우수 선수상
(6회)
진숙희 (2002 ?경기 ?득점 ?도움)
김여진 (2003 2경기 0득점 0도움)
진숙희 (2005 ?경기 ?득점 ?도움)
성현아 (2011 ?경기 ?득점 ?도움)
전가을 (2017 ?경기 5득점 ?도움)
김혜리 (2022 ?경기 ?득점 ?도움)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득점상
파일:golden_shoe.png파일:golden_shoe.png파일:golden_shoe.png파일:golden_shoe.png파일:golden_shoe.png
(5회)
진숙희 (2004 ?경기 ?득점)
김주희 (2008 ?경기 ?득점)
이세진 (2008 ?경기 ?득점)
정혜인 (2011 ?경기 ?득점)
전가을 (2017 ?경기 5득점)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수비상
(4회)
김숙경 (2005 ?경기)
임선주 (2011 ?경기)
엠마 (2017 ?경기)
김도연 (2022 ?경기)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골키퍼상
(6회)
김정미 (2004 ?경기 ?실점)
김정미 (2008 ?경기 ?실점)
김정미 (2012 ?경기 ?실점)
김정미 (2015 ?경기 ?실점)
김정미 (2016 ?경기 ?실점)
김정미 (2021 ?경기 ?실점)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최우수 감독상
(4회)
안종관 (2008 ?경기 ?승 ?무 ?패)
최인철 (2008 ?경기 ?승 ?무 ?패)
최인철 (2015 ?경기 ?승 ?무 ?패)
최인철 (2016 ?경기 ?승 ?무 ?패)
김은숙 (2021 ?경기 ?승 ?무 ?패)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우수 감독상
(2회)
최인철 (2017 ?경기 ?승 ?무 ?패)
김은숙 (2022 ?경기 ?승 ?무 ?패)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최우수 코치상
(10회)
이문석 (2004 ?경기 ?승 ?무 ?패)
이문석 (2008 ?경기 ?승 ?무 ?패)
박성열 (2012 ?경기 ?승 ?무 ?패)
김은숙 (2012 ?경기 ?승 ?무 ?패)
박성열 (2015 ?경기 ?승 ?무 ?패)
김은숙 (2015 ?경기 ?승 ?무 ?패)
박성열 (2016 ?경기 ?승 ?무 ?패)
김은숙 (2016 ?경기 ?승 ?무 ?패)
박넝쿨 (2021 ?경기 ?승 ?무 ?패)
박성열 (2021 ?경기 ?승 ?무 ?패)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우수 코치상
(6회)
황승주 (2011 ?경기 ?승 ?무 ?패)
박성열 (2017 ?경기 ?승 ?무 ?패)
김은숙 (2017 ?경기 ?승 ?무 ?패)
박넝쿨 (2022 ?경기 ?승 ?무 ?패)
정상남 (2022 ?경기 ?승 ?무 ?패)
이광석 (2022 ?경기 ?승 ?무 ?패)
AFC 여자 클럽 챔피언십 최우수 선수상(MVP)
(0회)
AFC 여자 클럽 챔피언십 득점왕
(0회)

유소녀 체계
[ 펼치기 · 접기 ]

18세 이하
(U-18)
인천디자인고등학교
15세 이하
(U-15)
가정여자중학교
12세 이하
(U-12)
가림초등학교
유소녀 축구 교실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유소녀 축구 교실


2023 시즌 유니폼
필드골키퍼
파일: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22 시즌 홈 필드 유니폼.png파일: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22 시즌 원정 필드 유니폼.png파일: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22 시즌 홈 골키퍼 유니폼.png파일: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22 시즌 원정 골키퍼 유니폼.png
원정원정
2023 시즌 스폰서
메인 스폰서키트 스폰서
파일:현대제철 로고.svg파일:Umbro 로고.svg



1. 개요
2. 상세
3. 역사
3.1. 2021 시즌
3.2. 2022 시즌
3.3. 2023 시즌
4. 시즌별 일람
5. 연혁
6. 구단 상징물
6.1. 역대 엠블럼
6.2. 마스코트
6.3. 유니폼
7. 역대 인물
7.1. 영구 결번
7.2. 역대 구단주
7.3. 역대 단장
7.4. 역대 감독
7.5. 역대 주장
7.6. 코칭 스태프 명단
7.7. 선수 명단
8. 유소녀 체계
9. 팬
9.1. 규모와 인기
9.2. 온라인 팬 커뮤니티 - 레드엔젤스 1993
9.3. 팬 서비스
9.4. 유명 현대제철 팬
10. 응원
10.1. 응원가
10.2. 응원단
10.3. 역대 응원단장
10.4. 역대 장내 아나운서
11. 라이벌
12. 스폰서
13. 파트너
14. 시설
15. 우승 기념물
15.1. 우승 반지
15.2. 리그 우승 엠블럼
16. 사건·사고
17. 여담
18. 관련 영상
1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엠블럼 소개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 산하의 여자 축구단으로 인천광역시에 연고를 두고 있다. 1993년 12월 3일에 창단한 대한민국 최초의 여자 실업(세미프로) 축구단으로 2009년부터 WK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주요 여자 축구 대회에서 모두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는, 대한민국 여자 축구 최고의 명문 구단이다.


2. 상세[편집]


현대제철은 WK리그 출범 이후 한 번도 빠짐없이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한 구단이라는 점과 리그를 포함한 각종 대회의 압도적인 최다 우승 구단이라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WK리그 내에서도 국가대표 선수를 가장 많이, 사실상 대다수를 배출하는 등 WK리그의 대표격이자 최강 구단이다. 김정미, 김혜리, 이민아, 장슬기, 강채림, 정설빈, 최유리, 손화연, 장창 등 스쿼드 멤버의 대부분이 대한민국 국가대표다. 조소현, 전가을(이적), 이소담(이적), 이민아(복귀), 장슬기(복귀), 이영주 등 꾸준히 해외파도 탄생시키고 있다. 현대제철에서 외국인 선수로 뛰었던 비야와 따이스는 브라질 국가대표, 나가노 후카는 일본 국가대표이다. 2022년 영입한 다나카 요코 또한 일본 국가대표이다.

대다수의 국가대표가 있는 데다가 WK리그에서 절대 1강의 모습을 지키는 점에서 WK리그의 바이에른 뮌헨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고 다닌다. 또한 같은 현대자동차그룹 산하의 K리그1 최강 자리를 지켜온 전북 현대와도 유사하다.


3. 역사[편집]


1993년 창단 이래 1995년 여왕기 준우승, 1996년 대통령배 우승, 도로공사배 대회 우승, 1997년 코리안 리그 우승을 시작으로 WK리그 출범 전까지 2007년 여왕기 우승, 통일대기 준우승, 2008년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우승 등을 이뤘다.

WK리그에 참가하면서부터는 1회 대회(2009) 정규 리그 및 챔피언결정전 준우승, 2회 대회(2010) 정규 리그 우승 및 챔피언결정전 준우승, 3회 대회(2011) 정규 리그 및 챔피언결정전 준우승, 4회 대회(2012) 정규 리그 및 챔피언결정전 준우승을 기록했다. 이처럼 2009년부터 2012년까지는 리그에서 마지막에 미끄러지며 다소 아쉬운 성적을 남겼다.

그러나 2012년 제11회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우승, 제93회 전국체육대회 우승을 기점으로 2013년에는 WK리그 정규 리그에서 우승했고 이어 챔피언결정전에서는 서울시청을 누르고 리그 챔피언결정전 첫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기세를 탄 현대제철은 2013년부터 2021년까지는 9년 연속 통합 우승이라는 대업을 이루며 대한민국 여자 축구계의 절대 1강으로 자리잡았다. 물론 기타 각종 대회의 호성적도 뒤따랐다.

하지만 이후 타 구단의 투자 확대로 절대 1강의 위치를 다소 위협 받고 있다. 그 예로 2018년에는 경주 한수원 여자축구단을 상대로 원정 3-0 패배를 당한 후 홈에서 3-0을 만들어 연장전까지 끌고 가서 서로 1골씩 더 주고받는 난타전을 벌여[18] 승부차기 끝에 이겼다.

8성 엠블럼


3.1. 2021 시즌[편집]


2021 시즌 우승


3.2. 2022 시즌[편집]


2022 시즌 골 모음

여전한 우승 DNA를 발휘하며 2022년까지도 왕좌를 지켰고 마침내 통합 10연패라는 대업을 달성했다.


3.3. 2023 시즌[편집]


2023 시즌에는 기존의 한수원에 더해 시즌 초반부터 합류하는 지소연수원 FC 위민에 의해 우승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그런데, 인천은 시즌 초반부터 최유리와 이민아가 부상의 늪에 빠지더니, 4연패를 기록하며 정설빈, 김정미, 장슬기등을 보유한 10년 연속 우승팀이 WK리그 출범 이래 가장 최악의 시즌을 보내는 중. 7R 기준 7위였으나, 8라운드 6경기만에 승리하고, 현재는 5연승을 달리며 예전의 폼을 회복한 상황. 현재는 수원이 부진한 상황에서 화천과 1위 싸움 중.

마지막 라운드 서울시청 전에서 6:0 대승을 거두며 2:2 무승부를 거둔 수원 FC 위민화천 KSPO를 제치고 극적인 정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WK리그 챔피언 결정전 1차전 원정에서 수원 FC 위민에게 3:1로 패하며 통합 우승 실패 위기에 빠졌으나, 2차전 홈에서 6:2로 승리하며 통합 11연패를 달성했다.

4. 시즌별 일람[편집]





­우승
­준우승
­플레이오프 진출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WK리그 시즌별 일람
시즌순위플레이오프경기 수승점
20092/62위2098335
20101/62위20132541
20112/82위21125441
20122/82위21162350
20131/71위24155450
20141/71위24165353
20151/71위24194161
20161/71위24167155
20171/81위28224270
20181/81위28216169
20191/81위28244076
20201/81위21181255
20211/81위21171352
20221/81위21164152
20231/81위21133542

||
시즌리그전국체전선수권WCC
디비전리그순위 경기승점
20091부WK리그220983257+1835우승(미개최)
2010WK리그12013253221+11414강4강
2011WK리그22112543718+19414강준우승
2012WK리그22116234317+2650우승우승
2013WK리그12415544415+29508강8강
2014WK리그12416534914+3553우승4강
2015WK리그12419415716+41614강우승
2016WK리그12416715521+34554강우승
2017WK리그12822428818+7070우승준우승
2018WK리그12821618421+6369우승4강
2019WK리그12824408219+63764강8강3위
2020WK리그12118126011+4955(미개최)(미개최)(미개최)
2021WK리그12117135114+3752(미개최)우승(미개최)
2022WK리그12116414413+31528강준우승(미개최)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리그 창설 이전 시즌별 일람




5. 연혁[편집]


  • 주요 표기는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공식 웹 사이트 내 표기를 따른다.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연혁
연도기간대회장소결과
1993실업 구단 창단
19944/23 ~ 4/29제2회 여왕기 전국 여자종별 축구선수권대회목동종합운동장3위
5/10 ~ 5/26제42회 대통령배 전국 축구대회동대문운동장3위
19954/28 ~ 5/4제3회 여왕기 전국 여자종별 축구 선수권대회목동종합운동장준우승
11/3 ~ 11/13제50회 축구선수권대회[19]효창3위
19963/17 ~ 3/31제44회 대통령배 전국 남.여 축구대회효창운동장우승
4/28 ~ 5/4제4회 여왕기 전국 여자종별 축구선수권대회울산준우승
11/2 ~ 11/6제1회 한국도로공사배 전국 여자종별 축구대회대전우승
19973/16 ~ 3/30제45회 대통령배 전국 남.여 축구대회육군사관학교 축구장3위
4/27 ~ 5/2제5회 여왕기 전국 여자종별 축구선수권대회울산[20]준우승
5/17 ~ 5/22제2회 한국도로공사배 전국 여자종별 축구대회대전준우승
10/16 ~ 10/1897 코리안 여자 리그육군사관학교 축구장우승
19983/24 ~ 4/7제46회 대통령배 전국 남.여 축구대회효창운동장우승
4/27 ~ 5/1제6회 여왕기 전국 여자종별 축구 선수권대회산울우승
5/16 ~ 5/20제3회 한국도로공사배 전국 여자종별축구대회대전우승
9/18 ~ 9/2098 코리안 여자2차 리그 우승산울우승
19993/17 ~ 3/29제47회 대통령배 전국 남.여 축구대회효창운동장우승
4/26 ~ 4/30제7회 여왕기 전국 여자종별 축구선수권대회울산우승
5/15 ~ 5/19제4회 한국도로공사배 전국 여자종별축구대회대전우승
7/19 ~ 7/2199 코리안 여자1차 리그육군사관학교 축구장우승
9/16 ~ 9/2199 코리안 여자2차 리그잠실우승
20003/12 ~ 3/27제48회 대통령배 전국 남.여 축구대회효창운동장준우승
4/15 ~ 4/19제8회 여왕기 전국 여자종별 축구 선수권대회울산우승
5/13 ~ 5/17제5회 한국도로공사배 전국 여자종별축구대회배재대학교우승
6/3 ~ 6/72000 코리안 여자1차 리그동해준우승
9/26 ~ 9/29제1회 처용기 전국 여자종별 축구선수권대회울산우승
20013/12 ~ 3/27제49회 대통령배 전국 남.여 축구대회효창운동장우승
4/13 ~ 4/20제9회 여왕기 전국 여자종별 축구 선수권대회울산준우승
5/21 ~ 5/25제6회 한국도로공사배 전국 여자종별축구대회배재대학교우승
8/24 ~ 8/31제1회 통일대기 전국종별 축구 선수권 대회춘천우승
10/10 ~ 10/16제82회 전국체육대회천안우승
10/23 ~ 10/252001 코리안 여자 리그홍성준우승
20023/4 ~ 3/8제50회 대통령배 전국 남.여 축구대회양구우승
3/14 ~ 3/202002 한국춘계 여자축구 연맹전남해준우승
4/25 ~ 5/92002 전국 종별 여자축구 선수권대회양구준우승
7/22 ~ 8/1추계한국여자축구연맹전횡성준우승
10/16 ~ 10/22제2회 통일대기 선수권대회천안우승
11/9 ~ 11/15제83회 전국체육대회제주우승
20033/11 ~ 3/182003 춘계한국여자축구 연맹전경주우승
5/13 ~ 5/20제11회 여왕기 전국 여자종별 축구 선수권대회울산우승
7/1 ~ 7/8제3회 통일대기 선수권대회속초우승
20043/22 ~ 3/302004년 춘계한국여자 연맹전함안우승
7/21 ~ 7/31추계여자축구 연맹전화천우승
8/18 ~ 8/23제12회 여왕기종별축구대회울산우승
9/2 ~ 9/6제4회 통일대기 여자종별축구대회속초준우승
10/8 ~ 10/14제85회 전국체육대회충주준우승
12/1 ~ 12/4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여수우승
20055/11 ~ 5/20제13회 여왕기 전국여자종별축구선수권대회함안우승
7/17 ~ 7/19푸마 2005 추계 한국여자축구연맹전화천우승
8/19 ~ 8/23제5회 통일대기 전국여자종별 축구선수권대회속초우승
9/25 ~ 9/292005 피스컵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함안준우승
20063/18 ~ 3/242006 대교 눈높이춘계여자축구연맹전제주우승
5/6 ~ 5/10제14회 여왕기 전국여자축구대회함안우승
8/20 ~ 8/24제6회 통일대기 전국여자종별 축구선수권대회홍천우승
9/14 ~ 9/24푸마 2006 추계한국여자축구연맹전화천우승
20075/3 ~ 5/7제7회 통일대기 전국여자종별 축구선수권대회강진준우승
8/14 ~ 8/18제15회 여왕기 전국여자축구대회함안우승
20084/10 ~ 4/16제7회 춘계 한국여자축구연맹전강진준우승
7/21 ~ 7/312008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합천우승
8/15 ~ 8/19제8회 통일대기 전국여자종별선수권대회강릉준우승
9/17 ~ 9/28제7회 추계 한국여자축구연맹전화천준우승
20094/19 ~ 11/162009 WK리그수원[21], 군산[22], 여주[23]준우승 (상대 고양 대교)
(리그 2위)
10/20 ~ 10/26제90회 전국체육대회대전우승
20103/22 ~ 9/302010 WK리그고양, 당진, 화천준우승 (상대 수원 FMC)
(리그 1위)
20113/21 ~ 9/292011 WK리그고양, 보은, 화천준우승 (상대 고양 대교)
(리그 2위)
20123/26 ~ 10/292012 WK리그고양, 보은, 화천, 정선준우승 (상대 고양 대교)
(리그 2위)
7/10 ~ 7/29제11회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합천우승
10/11 ~ 10/17제93회 전국체육대회대구우승
20133/18 ~ 10/242013 WK리그이천, 보은, 화천우승 (상대 서울시청)
(리그 1위)
20143/17 ~ 9/132014 WK리그고양, 보은, 화천, 대전우승 (상대 고양 대교)
(리그 1위)
10/28 ~ 11/3제95회 전국체육대회제주우승
20153/16 ~ 11/092015 WK리그각 승인 구장
(효창/잠실보조, 인천, 수원, 이천, 화천, 대전, 보은)
우승 (상대 이천 대교)
(리그 1위)
8/6 ~ 8/19제14회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울산우승
20163/14 ~ 9/292016 WK리그각 승인 구장
(효창/잠실보조, 인천, 수원, 이천, 화천, 보은, 구미)
우승 (상대 이천 대교)
(리그 1위)
8/3 ~ 8/16제15회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울산우승
20173/14 ~ 9/292017 WK리그각 승인 구장
(효창/잠실보조/노원, 인천, 수원, 이천, 화천, 보은, 구미, 경주)
우승 (상대 화천 KSPO)
(리그 1위)
8/3 ~ 8/16제15회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합천준우승
10/20 ~ 10/26제98회 전국체육대회충주우승
20184/23 ~ 11/052018 WK리그각 승인 구장
(효창, 인천, 수원, 화천, 보은, 구미, 경주, 창녕)
우승 (상대 경주 한수원)
(리그 1위)
10/12 ~ 10/18제99회 전국체육대회군산우승
20194/15 ~ 11/112019 WK리그각 승인 구장
(효창, 인천, 수원, 화천, 보은, 구미, 경주, 창녕)
우승 (상대 경주 한수원)
(리그 1위)
20206/15 ~ 10/152020 WK리그각 승인 구장
(목동, 인천, 수원, 화천, 세종, 보은, 경주, 창녕)
우승 (상대 경주 한수원)
(리그 1위)
-제101회 전국체육대회구미코로나19 확산 여파로 대회 순연
20214/26 ~ 11/192021 WK리그각 승인 구장
(목동, 인천, 수원, 화천, 세종, 보은, 경주, 창녕)
우승 (상대 경주 한수원)
(리그 1위)
8/1 ~ 8/9제20회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창녕[24]우승
-제102회 전국체육대회구미코로나19 확산 여파로 고등부 대회 제외 전 대회 취소
20224/2~ 11/252022 WK리그각 승인 구장
(상암보조/잠실, 인천, 수원, 화천, 세종, 보은, 경주, 창녕)
?(상대 ?)
(리그 1위)
7/29 ~ 8/7제21회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창녕[25]준우승
10/7 ~ 10/13제103회 전국체육대회울산[26]8강
20234/?~ 11/?2023 WK리그각 승인 구장
(상암보조, 인천, 수원, 화천, 조치원, 보은, 경주, 창녕)
?(상대 ?)
(리그 ?위)
8/? ~ 8/?제22회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창녕[27]?
10/? ~ 10/?제104회 전국체육대회목포?


6. 구단 상징물[편집]



6.1. 역대 엠블럼[편집]


파일:인천제철 로고.svg파일:external/file.newswire.co.kr/2005053111175070610.51911100.jpg파일:현대제철 로고.svg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2009~2017).png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svg
인천제철-현대제철 여자 축구단
(1993~2001)
[28]
현대INI스틸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01~2006)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06~2009)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09~2017)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17~ )


6.2. 마스코트[편집]


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2009~2017).png
레드엔젤스
RED ANGELS
레드엔젤스(Red Angels: 붉은 천사)는 철을 대표하는 현대제철의 이미지를 최대한 살리면서 불모지였던 국내 여자 축구를 선도하고 팬들에게는 더욱더 친근하고 사랑받는 구단이 되고자 하는 의미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레드'는 용광로의 뜨거운 쇳물, 정열적이고 강인함을, '엔젤스'는 여성적이고 평화로움, 포근한 포용력을 나타낸다.


6.3. 유니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유니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 시즌 유니폼
필드골키퍼
파일: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22 시즌 홈 필드 유니폼.png파일: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22 시즌 원정 필드 유니폼.png파일: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22 시즌 홈 골키퍼 유니폼.png파일: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2022 시즌 원정 골키퍼 유니폼.png
원정원정


7. 역대 인물[편집]



7.1. 영구 결번[편집]


현재까지 구단 차원에서 공식적인 영구 결번을 지정한 경우는 없다.


7.2. 역대 구단주[편집]


  • 박재면 (1993)
  • 백창기 (1993~1996)
  • 노관호 (1996~1999)
  • 유인균 (1999~2000)
  • 오병문 (2000)
  • 윤주익 (2000~2001)
  • 이용도 (2003~2005)
  • 정석수 (2004)
  • 양승석 (2005~2006)
  • 박승하 (2006~2007)
  • 김태영 (2007~2010)
  • 우유철 (2010~2014)
  • 강학서 (2014~2019)
  • 안동일 (2019~ )


7.3. 역대 단장[편집]


[ 펼치기 · 접기 ]

2016년 이전 미상
?대?대?대?대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워드마크.svg
이종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8)
이명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21)
최해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2022)
서상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





7.4. 역대 감독[편집]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5대
변병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
김평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
안종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2009)
★★★★★★★★★★★★★★★★★★
이문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최인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9)
★★★★★★
★★★★★★★
6대7대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워드마크.svg
정성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1)
★★
감독 대행
김은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김은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
: WK리그 챔피언 결정전 우승 / : 전국체육대회 우승 / :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우승 / : AFC 여자 클럽 챔피언십 우승 / : 여왕기 전국여자축구대회 우승 / :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우승





7.5. 역대 주장[편집]


[ 펼치기 · 접기 ]

2009년 이후
17대18대19대20대21대
한진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김결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김정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이세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4)
이세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22대23대24대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워드마크.svg
정설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임선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1)
김혜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
◀ 리그 창설 이전





7.6. 코칭 스태프 명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rowbgcolor=#003263><rowcolor=#ffffff> 직책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국적 || 비고 ||
||<-6><bgcolor=#c49a6c> 코치진 ||
|| 감독 || 김은숙 || Kim Eun-Sook || 1975.12.2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 코치 || 정상남 || Chung Sang-Nam || 1975.09.07.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 골키퍼 코치 || 이광석 || Lee Kwang-Suk || 1975.03.05.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 피지컬 코치 || 박넝쿨 || Park Nung-Kool || 1988.07.1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 통역관 || 김새로미 || Kim Saeromi || (미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6><bgcolor=#c49a6c> 의무진 ||
|| 팀 닥터 || 김은명 || Kim Eun-Myoung || 1987.02.25.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 트레이너 || 이선희 || Lee Sun-Hee || 1996.08.09.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7.7. 선수 명단[편집]


1 김민정 · 2 이덕주 · 3 홍혜지 · 4 김도연 · 5 고유진 · 6 문하연 · 7 손화연
8 장창 · 9 정설빈 · 10 이네스 · 11 엔게샤 · 12 성서울서라벌 · 13 김성미 · 14 오연희
15 백진주 · 16 장슬기 · 17 이세은 · 18 김정미 · 19 윤혜인 · 20 김혜리
C
· 21 최유정
23 이민아 · 24 이소희 · 25 요코 · 26 임선주 · 27 남궁예지 · 28 강채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숙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상남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광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넝쿨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tablebgcolor=#ffffff><width=7%><bgcolor=#ca001a> 등번호 ||<width=7%><bgcolor=#ca001a> 국적 ||<width=7%><bgcolor=#ca001a> 포지션 ||<width=14%><bgcolor=#ca001a> 국문 성명 ||<width=17%><bgcolor=#ca001a> 로마자 성명 ||<width=17%><bgcolor=#ca001a> 생년월일 ||<width=10%><bgcolor=#ca001a> 신체 조건 ||<width=1%><bgcolor=#ca001a> 비고 ||
|| 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 백현희 || Baek Hyun-Hui || 1998년 12월 30일 || 170cm, 65kg || ||
|| 2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이덕주 || Lee Deok-Ju || 2000년 12월 26일 || 164cm || ||
|| 3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신보미 || Shin Bo-Mi || 2000년 3월 14일 || 175cm || ||
|| 4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김도연 || Kim Do-Yeon || 1988년 12월 7일 || 167cm, 55kg || ||
|| 6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정유진 || Jeong Yu-Jin || 2000년 12월 25일 || 167cm || ||
|| 7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 손화연 || Son Hwa-Yeon || 1994년 9월 16일 || 168cm, 55kg || ||
|| 8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홍혜지 || Hong Hye-Ji || 1996년 8월 25일 || 174cm, 60kg || ||
|| 9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 정설빈 || Jung Seol-Bin || 1990년 1월 6일 || 165cm, 54kg || ||
|| 11 || 파일:케냐 국기.svg || FW || 엔게샤 || Terry Engesha || 1998년 2월 15일 || || ||
|| #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FW || 이네스 || Ines Nrehy || 1993년 10월 01일 || 167cm, 55kg || ||
|| 12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 이시율 || || 1999년 2월 8일 || 161cm || ||
|| 13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 박희영 || Jung Ji-Yeon || 1991년 3월 21일 || 160cm, 55kg || ||
|| 14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 장창 || Jang Chang || 1996년 6월 21일 || 158cm, 52kg || ||
|| 15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 김빛나 || Kim Bit-Na || 2001년 4월 10일 || 164cm || ||
|| 17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 이세은 || Lee Se-Eun || 1988년 2월 27일 || 165cm, 53kg || ||
|| 18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 김정미 || Kim Jung-Mi || 1984년 10월 16일 || 178cm, 62kg || ||
|| 19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윤혜인 || Yoon Hye-In || 1999년 11월 14일 || 164cm || ||
|| 2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김혜리 || Kim Hye-Ri || 1990년 6월 25일 || 167cm, 54kg || 파일:주장 아이콘.svg ||
|| 2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 최유정 || Choi Yoo-Jung || 1992년 1월 25일 || 170cm, 60kg || ||
|| 23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 이민아 || Lee Min-A || 1991년 11월 8일 || 158cm, 47kg || ||
|| 24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 김민정 || Kim Min-Jeong || 1996년 9월 12일 || 175cm, 54kg || ||
|| 26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임선주 || Lim Seon-Joo || 1990년 11월 27일 || 168cm, 56kg || ||
|| 27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 남궁예지 || Namgung Ye-Ji || 1996년 4월 17일 || 165cm, 52kg || ||
|| 28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 강채림 || Kang Chae-Rim || 1998년 3월 23일 || 163cm, 53kg || ||
|| #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FW || 이네스 || Ines Nrehy || 1993년 10월 01일 || 167cm, 55kg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문하연 || Moon Ha-Yeon || 2002년 월 일 || cm, kg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 성서울서라벌 || Sung Seoul-Seorabeol || 2002년 월 일 || cm, kg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 백진주 || Paik Jin-Ju || 2002년 월 일 || cm, kg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 김성미 || Kim Sung-Mi || 1997년 4월 2일 || 164cm, 60kg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 오연희 || Oh Yeon-Hee || 1994년 7월 17일 || 168cm, 54kg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고유진 || Ko You-Jin || 1997년 1월 24일 || 170cm, 62kg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 이소희 || Lee So-Hee || 1997년 11월 17일 || 169cm, 54kg || ||
||<-8><bgcolor=#003263> 구단주: 안동일 / 감독: 김은숙 / 홈구장: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
||<-8><bgcolor=#ca001a> 출처: WK리그 웹 사이트 ||
||<-8><bgcolor=#ffffff> * 본 문서는 기기 환경에 따라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8. 유소녀 체계[편집]


  • 초등학생 등을 대상으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유소녀 축구 교실을 운영해왔으나, 2020년 코로나19의 대유행에 따른 정부 지침과 한국여자축구연맹의 권고에 따라 중단했다. 이후 2022년 기준으로도 재개하고 있지 않은 상태다.

  •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남동구 일대의 풋살장 등지에서 교육을 진행했다. 참여 유소녀들은 현대제철 레드엔젤스의 홈경기 시 '에스코트 키즈'로 활동하기도 했다.

  • 중국축구굴기 정책에 발맞춰 2016년부터 중국 내 유소녀 축구 지평을 넓히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사회 공헌 활동을 이어 오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까지 중국 내 유소녀 축구단 및 관계자를 초청했다. 중국 유소녀 선수단은 현대제철의 경기를 관람하고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유소녀 축구 교실을 방문해 수업에 참여했으며 국내 유소녀 선수들과 훈련하기도 했다.


9. 팬[편집]



9.1. 규모와 인기[편집]


WK리그 절대 1강인 만큼 국내에서 가장 많은 팬을 보유한 구단이다. 승률이 9할이 넘기 때문에 높은 확률로 현대제철의 호성적을 볼 수 있다. 그래서 홈경기 평균 관중이 500~1,000여 명 이상이다. 리그 내에서는 최상위권이다.


9.2. 온라인 팬 커뮤니티 - 레드엔젤스 1993[편집]


레드엔젤스 1993
파일: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여자 축구단 팬 카페 인천현대제철레드엔젤스 웹 사이트 홈페이지.jp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2017년 12월 1일에 개설했으며 현대제철의 전설적인 서포터 강석경이 운영했다. 강석경의 와병 이후 강석경의 누나인 강민아가 운영하고 있다. 2021년 이후 활동이 급감했다.

9.3. 팬 서비스[편집]


경기 전후로 선수들에게 사인이나 사진 촬영 등을 부탁하면 대체로 친절하게 해 주는 편이다.


9.4. 유명 현대제철 팬[편집]


  • 강석경[29]
    • 리그의 전설, 상징으로 남은 현대제철 대표 지지자(서포터)다. 생전 매우 열정적인 1인 응원으로 여자 축구계에서 이름을 날렸다. 강석경은 우연한 계기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와 인연이 닿아 2001년부터 응원을 하기 시작했다. 이후 18년째 현대제철 서포터로 활동하며 현장에서 일당백으로 현대제철을 응원했다.
    • 경기가 있는 날이면 직장에 휴가를 내면서까지 현대제철의 경기가 있는 곳이라면 전국 어디든지 향했다. 쏟아지는 눈비를 맞으면서도 열렬히 응원을 펼치는 강석경의 모습은 많은 이에게 감동을 줬다. 감독·코치진, 선수단 모두 강석경의 존재를 익히 알고 있었다. 아무도 없는 관중석에서 홀로 북을 치며 응원하는 것 역시 흔한 일이었는데 이 과정에서 함께 응원하는 사람들과 현대제철의 응원가도 만들어 불렀다. 현대제철의 네이버 팬 카페 '레드엔젤스 1993'도 운영하고 여축강도단, 대한민국 여자축구를 말한다라는 이름의 팟빵 방송에도 참여할 만큼 여자 축구에 대한 애정이 컸다.
    • 2018년 10월에는 지난 4월에 뇌출혈로 쓰러지며 강석경의 전설적인 일당백 응원은 멈췄다. 투병중인 그가 돌아오기를, 모두가 한 마음으로 빌었다라는 이름의 기사에도 나오듯이 강석경의 투병 소식이 알려진 이후 최인철 당시 감독은 물론, 이민아, 김정미 등의 선수들도 병원에 함께 찾아가는 등 모두가 한마음, 한뜻으로 강석경의 쾌유를 빌었다.
    • 병마와 사투한 끝에 2022년 3월 12일에 결국 세상을 떠났다. 안타까운 소식을 들은 다수의 축구 팬은 현대제철 구단 측이 강석경에게 번호를 부여해 해당 번호를 영구 결번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아쉽게도 2022년 말 기준으로도 관련 소식은 전혀 없다.


10. 응원[편집]



10.1. 응원가[편집]


WK리그와 현대제철의 전설적인 지지자 강석경이 다수 제작한 바 있으나 지금은 자료로 전하는 바가 없는 듯하다.

투혼의 레드엔젤스
2023년 6월에 WK리그 최초의 구단 응원가 '투혼의 레드엔젤스'를 발표했다.


10.2. 응원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colbgcolor=#ca001a><colcolor=#ffffff><width=20%> 응원단장 || 박승건 ||
|| 장내 아나운서 || 이인철#아나운서 ||
|| 치어리더 || 정영서, 박은혜, 김수진, 이진, 김채린, 정나연, 이현아, 김민정, 최수현, 이수빈 ||





10.3. 역대 응원단장[편집]




10.4. 역대 장내 아나운서[편집]


  • 이인철#아나운서(MC테인먼트)[30] (2015~ )



11. 라이벌[편집]



11.1. 이천 대교 - 뷰티풀 매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WK리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뷰티풀 매치@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 경주 한국수력원자력[편집]


기존의 현대제철 절대 1강 체제 와해를 노리는 신흥 강호. 공격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2010년대 후반부터 WK리그WK리그 챔피언 결정전, 전국체육대회,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등의 중요한 길목에서 현대제철과 우승을 다투고 있다.

이전까지는 우승을 목전에 두고 현대제철에게 번번이 패배했다. 그러나 2022년 전국여자축구선수권대회 결승에서 연장 혈투 끝에 현대제철을 꺾으며 첫 우승을 이뤄냈다. 앞으로가 기대되는 라이벌리.


12. 스폰서[편집]


2023 시즌 스폰서
메인 스폰서키트 스폰서
파일:현대제철 로고.svg파일:Umbro 로고.svg


13. 파트너[편집]


유럽 등지의 다수 명문 구단과 수차례 친선 경기, 평가전을 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특정 구단과의 파트너십 체결 등의 사항은 아직까지 공개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14. 시설[편집]



14.1. 홈구장 -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편집]


파일:현대제철 웹 사이트 남동구장.png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홈구장
2015~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14.2. 클럽 하우스 -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클럽하우스[편집]


파일:현대제철 레드엔젤스 클럽하우스.jpg


2020년 6월 14일클럽 하우스를 개관했다. 전용 훈련장(연습 구장)인 원창동현대제철 종합 운동장[31] 내에 위치한다. 숙소는 경서동에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 소속인 것을 증명하는 클럽 하우스다. 남매 구단 전북 현대 모터스율소리 클럽하우스가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에서 최상위 시설인 것처럼 대한민국 여자 축구계에서 최상위급에 속한다. 대한민국 배구계의 최상위 시설인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캐슬 오브 스카이워커스도 마찬가지다.


대한민국 여자 축구 최초의 클럽 하우스는 과거 해체한 이천 대교의 클럽 하우스라고 전한다. 다만 이는 모기업 대교그룹이 보유한 연수원 건물 일부를 개조해 클럽 하우스로 사용한 경우다.[32] 현대제철의 경우는 기존 시설을 활용한 것이 아니라 최초로 여자 축구단 전용 클럽 하우스를 신축했기에 그 의미가 크다.


15. 우승 기념물[편집]



15.1. 우승 반지[편집]


WK리그에서 최초로 제작했다. 2022년 축승연에서 지급한 바 있다. 이전에도 제작했는지는 불명이다.


15.2. 리그 우승 엠블럼[편집]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리그 우승 엠블럼 일람
연도기본 엠블럼우승 엠블럼우승 횟수
2013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2009~2017).png파일:현대제철 여자 축구단 리그 첫 통합 우승 휘장.png
V1
2014파일:현대제철 여자 축구단 통합 2연패 휘장.png
V2
2015파일:현대제철 여자 축구단 통합 3연패 휘장.png
V3
2016파일:현대제철 여자 축구단 리그 통합 4연패 휘장.png
V4
2017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svg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5성)엠블럼.svg
V5
2018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6성)엠블럼.svg
V6
2019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7성)엠블럼.svg
V7
2020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8성)엠블럼.svg
V8
2021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9성)엠블럼.svg
V9
2022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10성)엠블럼.svg
V10


16. 사건·사고[편집]




17. 여담[편집]



2015년 최초의 해외 전지훈련
2019년 해외 전지훈련

  • WK리그 최초로 해외 전지훈련을 간 구단이다. 2013년부터 매년 우승하는 만큼 선진 축구를 보고 배우기 위해 2014년부터 매년 동계 훈련을 스페인, 프랑스, 영국 등의 유럽으로 갔다. 모기업, 모그룹의 사업적 관계로 해당 국가, 지역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도 스페인, 프랑스, 영국 등으로 가는 이유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는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인해 국내에서 진행했다. 2023 시즌을 앞두고 2023년 1월 9일에 출국해 스페인 말라가로 향했다.[33]

  • 대표적으로 FC 바르셀로나 페메니(FC 바르셀로나의 여자 축구단) 등의 세계 정상급 여자 축구단과 친선 경기를 많이 가진다. 장슬기, 이영주 등의 현대 소속 선수가 스페인[34]으로 진출하는 것을 봐도 현대와 스페인의 관계를 알 수 있다. 과거 지소연의 소속 구단인 잉글랜드첼시 FC 위민 등 기타 유럽 명문 구단과도 평가전을 가진다. 전지훈련 기간 동안 평가전과 전술 훈련도 시행하지만 유럽 여자 축구 리그 경기도 직접 관전한다. 유럽 전지훈련은 여자 축구 강국인 일본에서도 드문 만큼 모기업 현대자동차그룹의 축구 사랑이 돋보이는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2022 시즌 축승회


  • 구단 상품 구입이 프로 스포츠 구단에 비해 매우 어렵다. 대표적으로 유니폼을 구하려면 팬 커뮤니티, 소셜 미디어 등에서 공동 구매에 참여하거나 구단 혹은 선수 개인에게서 직접 받는 방법밖에 없다. 상품 판매점(팬 숍) 및 온라인 쇼핑몰이 아예 없는 영향이 큰 듯하다. 같은 WK리그 소속 수원 FC 위민수원 FC 남녀 축구단 통합 이후 유니폼 등 구단 상품 판매 및 지소연으로 대표되는 스타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어 비교가 많이 된다. 대한민국 여자 축구 최고 명문인 현대제철이 팬 프렌들리 측면에서 후발 주자에게 밀리고 있는 현실은 아쉬운 부분이다.

  • 홈 앤드 어웨이 제도 실시 이후 현재까지도 홈경기 입장료를 받고 있지 않다. 같은 WK리그 소속 수원 FC 위민이 2022시즌 리그 최초로 유료 입장을 시작한 것과 대조되는 부분이다. 다만 아직 인지도가 낮은 실업 리그인 WK리그에서 성급한 홈경기 유료 입장 실시는 자칫 팬 유입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점에서 조심스러운 부분이기는 하다.

파일:112257_59647_560.jpg

  • 어우현(어차피 우승은 현대제철)이라는 말이 늘 따라다닌다. 다만 2023 시즌 역전 정규 리그 11연패 이후를 기점으로[35] 더이상 긍정적으로만 볼 수 없는 말이 되었는데 이는 WK리그의 리그 밸런스가 심각하게 무너졌다는 뜻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AFC가 2024-25 시즌부터 아시아 챔피언스 리그 여자부를 창설하는데 리그 밸런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상태에서 인천이 WACL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할 경우 비난과 함께 WK리그의 위상이 추락할 우려를 낳고 있다.


18. 관련 영상[편집]


2017 시즌 우승 이후 인터뷰


19. 둘러보기[편집]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그룹사
완성차현대자동차 (N · 아이오닉) · 기아 · 제네시스
철강현대제철 (현대ITC · 현대IMC · 현대ISC) · 현대비앤지스틸 · 현대종합특수강 (현대첨단소재)
건설현대건설 · 현대엔지니어링 (현대 테라타워) · 현대스틸산업 · 현대종합설계 · 현대도시개발
부품현대모비스 · 모트라스 · 유니투스 · 현대트랜시스 · 현대위아 (위아마그나파워트레인) · 현대엠시트 · 현대케피코 · 현대아이에이치엘 · 현대파텍스 · 에이치그린파워
금융현대카드 · 현대캐피탈 · 현대커머셜 · 현대차증권
기타광고 이노션 월드와이드 | IT 현대오토에버 · 지아이티 · 포티투닷 · 모셔널 | 로봇 보스턴다이내믹스 | 물류 현대글로비스 · 지마린서비스 | 가스 그린에어 | 철도 현대로템 · 메인트란스 · 동북선도시철도 · 로템SRS | 도로 울산하버브릿지 · 화성도시고속도로 | 전기차 충전소 E-pit | 산학 협력 현대엔지비 | 호텔 해비치 호텔&리조트 (제주) | 농업 현대서산농장 | 항공 슈퍼널
해외 지사기아기차유한공사 · 화치 · 베이징현대 · 럭키자동차 · 현대트랜스리드
그룹사 외
사회 공헌해피무브 글로벌 청년봉사단
스포츠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 · 현대 모터스포트 · 현대 N 페스티벌 · 현대 양궁 월드컵 · 현대자동차 정몽구배 한국양궁대회
시설신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 | 연구소, 연수원 남양연구소 · 의왕연구소 · 환경기술연구소 · 현대자동차그룹 인재개발원 · 현대인재개발원 · 영남권 교육연구시설

현대자동차 공장 울산 · 아산 · 전주 · 튀르키예 · 인도(첸나이) · 중국 · 앨라배마 · 체코 · 러시아 · 브라질 · 인도네시아 · 기아 오토랜드 광명 · 화성 · 광주 · 조지아 · 질리나 · 몬테레이 · 아난타푸르 · 쿤디나마르카 · ADM-지자흐 · 옌청 · 기타 시작 공장 · 동희오토 · 광주글로벌모터스 ·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자동차 전시장 현대 모터스튜디오 · KIA 360 · 제네시스 전시장 · N 시티 서울 | 자동차 정비소 현대 블루핸즈 · 오토큐 | 자동차 충전소 현대 EV 스테이션 | 기타 HMG 드라이빙 익스피리언스 센터 · 케이-시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0:17:02에 나무위키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대제철 종합 운동장의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클럽하우스 내[2] 별도의 독립 법인화 없이 실업팀으로서 모기업 법인이 직접 운영했다.[3] 법인명 변경[4] 법인명 변경[5] 현대제철 대표이사 사장[6] 현대제철 경영지원본부장 전무[7] 현대제철 경영지원본부 비즈니스지원실장[8] 현대제철 경영지원본부 비즈니스지원팀[9]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겸임[색상코드]
Red: R237 G28 B36
Blue: R0 G66 B130
Gold: R196 G154 B108
[10] 이후 일반부 폐지[11] 이후 여자부 폐지, 2009년 대회 폐지[12] 이후 대회 폐지[13] 이후 대회 폐지[14] 이후 대회 폐지[15] 2008년 이후 대회 폐지[16] 2008년 이후 일반부 폐지[17] 2008년 이후 일반부 폐지[18] WK리그에는 원정 다득점이 없다.[19] 여자부[20] 서부 구장[21] 수원종합운동장 보수로 고양종합운동장, 아산종합운동장에서도 진행[22] 월명종합운동장[23] 여주종합운동장[24] 창녕스포츠파크[25] 창녕스포츠파크[26] 미포구장[27] 창녕스포츠파크[28] 1998년에는 한문 로고를, 2000년에는 현대그룹 로고만 빼고 1년간 사용했다.[29] K리그1 포항 스틸러스, FK리그 전주매그풋살클럽, V-리그KGC인삼공사도 응원한다고 밝혔다.[30] 2013년부터 2022년까지 9년간 FC 안양에서 장내 아나운서로 활동했다.[31] 현대제철 남자 양궁단현대제철 양궁 훈련장도 이곳에 함께 있다.[32] 타 종목에서도 흔히 사용하는 방식으로 어떤 구단에서 '(기업명) 연수원/인재개발원'을 클럽 하우스로 활용한다고 하면 대부분 이러한 경우에 속한다.[33] 남매 구단 전북 현대 모터스는 16일에 바르셀로나로 갔다. 이후 말라가로 옮겨 갈 예정이다.[34] 마드리드 CFF[35] 왜 이때가 기점이냐면, 이 시기가 인천의 시즌 초반 6위 추락과 화천-수원의 양강 구도 형성으로 인천이 아닌 다른 팀이 우승을 노릴 수 있었던 다시 없을 기회였기 때문이다. 화천과 수원이 이런 절호의 기회를 또 날리면서 역전 우승을 달성한 인천의 저력보다 WK리그의 밸런스 문제가 너무 심하게 무너진 게 아니냐는 지적이 더 많이 조명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