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잭 갤런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a71930><width=20%><colcolor=#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a71930,#e6576e> 19 R.넬슨 · 23 갤런 · 24 K.넬슨 · 25 마틴 · 29 켈리 · 30 맥거프 · 32 파트 · 33 스트레즐레키 · 35 맨티플리 · 37 진켈 · 38 시월드 · 40 자비스 · 43 세코니 · 47 헨리 · 50 카스트로 · 57 로드리게스 · 63 마르티네즈 · 65 프리아스 · 81 톰슨 · 99 제임슨 · # 월스턴 · # 살프랭크 · # 스나이더 ||
|| 포수 || 11 에레라 · 14 모레노 ||
|| 내야수 || 2 페르도모 · 4 마르테 · 6 피터슨 · 10 롤러 · 15 리베라 · 53 워커 · 62 알렉산더 · # 수아레스 ||
|| 외야수 || 5 토마스 · 7 캐롤 · 8 플레처 · 26 스미스 · 31 맥카시 · 81 바로사 · # 구리엘 Jr. ||
||<-2> 파일:미국 국기.svg 토리 러벨로 파일:미국 국기.svg 제프 배니스터 파일:미국 국기.svg 조 매더 파일:미국 국기.svg 대미언 이즐리 · 파일:미국 국기.svg 드류 헤드먼 · 파일:미국 국기.svg 릭 쇼트 파일:미국 국기.svg 브렌트 스트롬 파일:미국 국기.svg 댄 칼슨 파일:캐나다 국기.svg 데이브 맥케이 · 파일:멕시코 국기.svg 토니 페레치카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페터스 파일:미국 국기.svg 샤리프 오스만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호세 퀘리즈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리노 에이시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잭 갤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522398><rowcolor=#ffffff> '''1998''' ||<width=20%> '''1999~2004''' ||<width=20%> '''2005''' ||<width=20%><bgcolor=#a71930> '''{{{#e3d4ad 2006~2009}}}''' ||<width=20%><bgcolor=#a71930> '''{{{#e3d4ad 2010}}}''' || || [[앤디 베네스]] || [[랜디 존슨]] || [[하비에르 바스케스]] || [[브랜든 웹]] || [[댄 해런]] || ||<rowbgcolor=#a71930><rowcolor=#e3d4ad> '''2011~2013''' || '''2014''' || '''2015''' || '''2016~2017''' || '''2018''' || || [[이안 케네디]] || [[웨이드 마일리]] || [[조시 콜멘터]] || [[잭 그레인키]] || [[패트릭 코빈]] || ||<rowbgcolor=#a71930><rowcolor=#e3d4ad> '''2019''' || '''2020~2022''' || '''2023''' || '''''' || '''''' || || [[잭 그레인키]] || [[매디슨 범가너]] || [[잭 갤런]] || [[]] || [[]] ||




잭 갤런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23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52번
라파엘 오르테가
(2018)
잭 갤런
(2019)
브렛 아이브너
(2020)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59번
비센테 캄포스
(2016)
잭 갤런
(2019)
제레미 비슬리
(2020)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23번
마이크 버처
(2016~2019)
잭 갤런
(2020~)
현역

파일:6A0F94F0-4F36-4F15-B3B6-0440921B5B90.jpg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No.23
잭 갤런
Zac Gallen
본명재커리 피터 갤런
Zachary Peter Gallen
출생1995년 8월 3일 (28세)
뉴저지 주 소머데일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신체188cm[1] / 86kg
포지션선발 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16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106번, STL)
소속팀마이애미 말린스 (2019)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19~)
계약1yr / $5,600,000
연봉2023 / $5,600,000

1. 개요
3. 피칭 스타일
4. 수상 내역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3. 피칭 스타일[편집]



평균 93마일의 포심을 구사하며, 88마일의 커터, 85마일의 체인지업, 81마일 너클커브를 고르게 구사한다. 2019년까지는 포심 구사 비율이 50%로 의존 비율이 높았지만, 2020년부터 변화구의 구사 비율을 조금씩 높이며 포심 구사 비율을 40%까지 낮추었다.

2022년부터 별 효과가 없었던 슬라이더와 싱커를 완전히 버리고 포심, 너클커브, 체인지업, 커터 네 구종을 구사한다. 포심은 평균 93, 최고 96마일 정도로 메이저리그 프론트라인 선발 투수들 중에서는 기교파로 분류되는 구속이지만[2] 회전과 수직 무브먼트는 구속에 비해 좋은 편이고 포심의 보더라인 제구가 잘 되는 편이라 의외로 포심으로 잡는 삼진이 많다.

변화구 역시 뛰어나다. 커브는 80마일 초중반대의 파워커브로 결정구로 써먹는 중이다. 체인지업 또한 뛰어난 편으로 똑같은 폼에서 던짐에도 불두하고 패스트볼과의 구속 차이가 큰 데다가 스플리터처럼 떨어지는지라 구종의 정의에 충실하다. 커터의 경우 15% 정도 구사하며 체인지업과 섞어서 타자를 교란시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4. 수상 내역[편집]




5. 여담[편집]


  • 2023 시즌 개막 전에 팀 동료인 메릴 켈리김병현과 한 인터뷰에서 한국 야구팬들에게 가장 추천하는 선수로 뽑았다. 그러면서 "언젠가는 사이 영 상을 탈 선수라 확신한다"고 평했다.#

  • 에이스급의 실력에 비해서 국내에서의 인지도는 별로 높지 않은데, 팀이 김병현이 재적하던 시절 이후론 관심도가 비교적 떨어지는 디백스인 데다가 갤런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 역시 비교적 덜 두드러지는 기교파에 가깝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3] 거기다가 하필 같은 팀에 KBO에서 뛰었던 메릴 켈리가 갤런 못지 않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지라 관심이 그쪽에 쏠리는 탓도 크다.

  • 캐치볼 연습을 하다가 새를 맞췄다고 한다. 구종은 커브였다고.#[4] 공교롭게도 이전에 새를 맞췄던 랜디 존슨과 팀도 애리조나로 같다.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


[1] 6피트 2인치[2] 메이저리그 프론트라인 선발 투수 기준으로는 보통 평균 95마일 정도가 찍혀야 메이저리그에서 파워 피처로 여겨진다. 다만 이건 프론트라인 기준이고 하위 선발들 기준으로는 저 구속은 절대 느리다고 보기 힘들다. 또한 2018년 이후의 클레이튼 커쇼크리스티안 하비에르처럼 구속이 안 빨라도 무브먼트가 우수하면 파워 피처로 분류되기도 한다.[3] 국내에서 그나마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는 에이스급 투수 샌디 알칸타라 역시 국내 인기가 그리 높지 않은 마이애미 말린스 소속이지만 알칸타라는 구속이 매우 빠른 데다가 이닝 이터라는 상징성이 있다.[4] 캐치볼 상대는 우연히 이 상황을 직관하다 발 밑에 새 시체가 있는걸 보고 깜짝 놀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5:56:41에 나무위키 잭 갤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