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근해

덤프버전 :

파일:ROKAF_cheif2.png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66CC> 파일:대한민국 공군 대장.svg ||
||<width=20%><color=#373a3c> 초대 ||<width=20%> 제2대 ||<width=20%> 제3대 ||<width=20%> 제4대 ||<width=20%> 제5대 ||
||<rowbgcolor=#ffffff,#191919>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김정렬 ||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최용덕 ||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김정렬 ||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장덕창 ||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김창규 ||
||<color=#373a3c>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rowbgcolor=#ffffff,#191919>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김신 ||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장성환 ||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박원석 ||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장지량 || 김성룡 ||
||<color=#373a3c>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rowbgcolor=#ffffff,#191919> 김두만 || 옥만호 || 주영복 || 윤자중 || 이희근 ||
||<color=#373a3c>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rowbgcolor=#ffffff,#191919> 김상태 || 김인기 || 서동열 || 정용후 || 한주석 ||
||<color=#373a3c>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rowbgcolor=#ffffff,#191919> 이양호 || 조근해 || 김홍래 || 이광학 || 박춘택 ||
||<color=#373a3c>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rowbgcolor=#ffffff,#191919> 이억수 || 김대욱 || 이한호 || 김성일 || 김은기 ||
||<color=#373a3c>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rowbgcolor=#ffffff,#191919> 이계훈 || 박종헌 || 성일환 || 최차규 || 정경두 ||
||<color=#373a3c>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rowbgcolor=#ffffff,#191919> 이왕근 || 원인철 || 이성용 || 박인호 || 정상화 ||
||<color=#373a3c> 제41대 ||
||<rowbgcolor=#ffffff,#191919><bgcolor=#e0ffdb,#202210> 이영수 ||
||<-5><#34acf1>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공군작전사령부_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66cc>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
|| 초대
김성룡 || 2대
김두만 || 3대
전봉희 || 4대
권성근 || 5대
윤응렬 ||
|| 6대
주영복 || 7대
|| 00대
윤자중 || 00대
이희근 || 00대
김상태 ||
|| 00대
김인기 || 00대
|| 00대
|| 14대
서동열 || 15대
한주석 ||
|| 16대
이양호 || 17대
조근해 || 18대
이광학 || 19대
배양일 || 20대
박춘택 ||
|| 21대
이기현 || 22대
김대욱 || 23대
이한호 || 24대
천기광 || 25대
이기동 ||
|| 26대
배창식 || 27대
조원건 || 28대
오창환 || 29대
이영만 || 30대
박신규 ||
|| 31대
최차규 || 32대
박재복 || 33대
김정식 || 34대
이왕근 || 35대
원인철 ||
|| 36대
이건완 || 37대
황성진 || 38대
김준식 || 39대
최성천 || 40대
박하식 ||
|| 41대
김형수 ||
||<-5><#2F9AFF>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공군교육사령부.pn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66cc>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
|| 초대
|| 00대
김용수 || 00대
|| 00대
정용후 || 00대
이양호 ||
|| 00대
조근해 || 00대
|| 00대
|| 00대
|| 00대
||
|| 00대
|| 00대
|| 00대
|| 14대
|| 15대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21대
|| 22대
유병구 || 23대
|| 24대
천기광 || 25대
이영하 ||
|| 26대
황원동 || 27대
윤재원 || 28대
박상묵 || 29대
박종헌 || 30대
김용홍 ||
|| 31대
성일환 || 32대
김형철 || 33대
김영민 || 34대
김정식 || 35대
강구영 ||
|| 36대
이왕근 || 37대
노병균 || 38대
허창회 || 39대
최현국 ||<bgcolor=#D4F4FA,#2d2f34> 40대
최근영 ||
||<bgcolor=#D4F4FA,#2d2f34> 41대
노승환 ||<bgcolor=#D4F4FA,#2d2f34> 42대
신옥철 ||<bgcolor=#D4F4FA,#2d2f34> 43대
박한주 || 44대
박웅 ||<bgcolor=#D4F4FA,#2d2f34> 45대
공승배 ||
||<bgcolor=#D4F4FA,#2d2f34> 46대
유재문 ||<bgcolor=#D4F4FA,#2d2f34> 47대
최춘송 ||
||<-5><#2F9AFF>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 1번째 줄 - 1공
파일:Lieutenant General_white.png

제21대

이계훈
제23대

황원동
제26대

김현집
제27대

조보근
제28대

김황록
제29대

김영환
제30대

이영철
제31대

장세준
※ 초대~현재: 중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대한민국 제22대 공군참모총장
조근해
趙根海 | Cho Geunhae
파일:조근해 장군.jpg
본관한양 조씨[1]
출생1937년[2] 11월 29일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3]
사망1994년 3월 3일 (향년 56세)
경기도 용인군 외사면 근삼리 외수곡마을 야산[4]
(現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근삼리)
학력경북고등학교 (졸업 / 54회)
복무대한민국 공군
1961년 ~ 1994년
재임기간제22대 공군참모총장
1993년 5월 28일 ~ 1994년 3월 3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조인화[1]
자녀슬하 1녀
임관공군사관학교 (9기)
최종 계급대장 (대한민국 공군)
최종 보직공군참모총장
주요 보직청와대 정무비서관실 국방담당관
공군작전사령부 작전부장
제15전투비행단장
공군본부 감찰감
한미연합사 정보참모부장
공군본부 군수참모부장
공군본부 작전참모부장
공군교육사령관
공군작전사령관
국방정보본부장 겸 합참 정보본부장

[1] 趙仁和. 함안 조씨 조탁운(趙卓雲)의 딸이다.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참조



1. 개요[편집]


대한민국군인. 본관은 한양(漢陽).

22대 공군참모총장을 지냈으나, 참모총장 임기 도중인 1994년 헬리콥터 사고로 순직하였다.


2. 생애[편집]


1937년 11월 29일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에서 아버지 조현석(趙玄錫, 1910 ~ 1955. 7. 17)과 어머니 영양 남씨 남증숙(南曾淑, 1908. 9. 10 ~ 1998. 5. 16)[5] 사이에서 4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첫째 작은아버지 조영석(趙寧錫, 1916 ~ 1945. 3. 1)에 입양되었다.

당대의 명문 경북고등학교(38회) 출신으로 1957년공군사관학교 9기로 입학했고 1961년에 임관했다. 제15특수임무비행단 비행단장, 공군본부 감찰감(현 감찰실장), 군수참모부장, 작전참모부장, 공군교육사령관, 공군작전사령관을 거쳐 국방정보본부장으로 재직했다.

1993년 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한 이양호 장군에 이어 공군참모총장이 되었다.

1994년 3월 3일 오후 2시 35분 공군사관학교 졸업식에 참석차 UH-60 헬리콥터를 타고 이동하던 중 탑승한 기체가 공중폭발한 뒤 경기도 용인군 외사면(現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근삼리 야산에 추락하면서 순직하였다. 동승했던 아내 조인화(당시 48세), 조종사 강성윤 소령(당시 35세), 부조종사 유영재 대위(당시 31세), 전속부관 이상훈 대위(당시 31세), 승무원 전해술 원사(당시 35세)도 모두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국군 창군 이래 전시상황이 아닌 상황에서 현역 대장이 사망하기로는 1984년 제2야전군사령관이던 김홍한 육군 대장 이후 2번째다. 관련기사 계급 특진 문서에도 쓰여있지만 조종사와 승무원, 전속부관 등은 모두 1계급 특진하였지만 조근해 장군원수로 특진할 수 없었으므로 대장 계급 그대로 장례를 지냈다.[6]

파일:attachment/chiefofstaffairforcefuneral.png
1994년 3월 5일에 열린 영결식.

유가족들은 UH-60의 원 제조사인 유나이티드테크놀로지코퍼레이션과 라이센스 생산업체인 대한항공을 대상으로 소송을 냈으나 패소하였다. 관련기사

역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들은 현직은 정모를 쓰지 않은 프로필 사진을 쓰고 퇴임한 사람은 정모를 착용한 사진을 사용하는데, 조근해 장군도 정모 착용 사진이 있는 걸로 보아, 참모총장에 취임할 때 정모 착용 사진도 같이 찍는 걸로 보인다. 만약 전역 직전에 찍는다고 가정할 경우, 조근해 장군의 정모 착용 사진은 없어야 하기 때문.

차후 5일간 참모차장 최동환이 직무대리를 하다가 다음 참모총장이 취임한 후 바로 차장으로 돌아갔다.[7]

3. 여담[편집]



4. 참조[편집]




[1] 양경공파(良敬公派)-병참공파(兵參公派) 26세 해(海) 영(泳) 수(洙) 항렬.[2] 한양조씨대보 13권 양경공 병참공파 564쪽에는 1938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3] #. 인근의 도계리, 가곡리와 함께 한양 조씨 양경공파(良敬公派)-병참공파(兵參公派) 집성촌이다. 조헌영국회의원, 시인 조지훈, 역사학자 조동걸, 조운해 전 강북삼성병원장, 조태열외교부 차관도 이 마을 출신이다.[4] 1994년 3월 4일 동아일보 기사[5] 송정공파(松亭公派) 손재(遜齋) 남진오(南鎭五, 1880 ~ 1948. 4. 23)의 장녀이다.[6] 원수는 계급 중 유일하게 국무회의뿐만 아니라 국회 동의가 필요하다. 즉 대통령을 제외한 삼부요인과 거의 동급이기에 쉽게 진급시킬 수 없다.[7] 참모총장이 출장, 휴가, 사건사고 등으로 부재중, 직무정지되거나 유고 상태면 참모차장이 직무대리를 하는 규정이 있다. 물론 이때 공식 직함은 권한대행이지만 호칭과 계급을 제외하면 모든 점에서 참모총장과 같은 예우와 권한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