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영만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66cc>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
|| 초대
김성룡 || 2대
김두만 || 3대
전봉희 || 4대
권성근 || 5대
윤응렬 ||
|| 6대
주영복 || 7대
|| 00대
윤자중 || 00대
이희근 || 00대
김상태 ||
|| 00대
김인기 || 00대
|| 00대
|| 14대
서동열 || 15대
한주석 ||
|| 16대
이양호 || 17대
조근해 || 18대
이광학 || 19대
배양일 || 20대
박춘택 ||
|| 21대
이기현 || 22대
김대욱 || 23대
이한호 || 24대
천기광 || 25대
이기동 ||
|| 26대
배창식 || 27대
조원건 || 28대
오창환 || 29대
이영만 || 30대
박신규 ||
|| 31대
최차규 || 32대
박재복 || 33대
김정식 || 34대
이왕근 || 35대
원인철 ||
|| 36대
이건완 || 37대
황성진 || 38대
김준식 || 39대
최성천 || 40대
박하식 ||
|| 41대
김형수 ||
||<-5><#2F9AFF>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000080,#7f7fff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66cc> [[중장|[[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width=85]]]] || ||<bgcolor=#D4F4FA,#2d2f34> {{{-2 초대}}}[br][[김정렬(1917)|김정렬]] ||<bgcolor=#D4F4FA,#2d2f34> {{{-2 2대}}}[br][[이근석]] ||<bgcolor=#D4F4FA,#2d2f34> {{{-2 3대}}}[br][[최용덕]] ||<bgcolor=#D4F4FA,#2d2f34> {{{-2 4대}}}[br][[김정렬(1917)|김정렬]] ||<bgcolor=#D4F4FA,#2d2f34> {{{-2 5대}}}[br][[김창규(군인)|김창규]] || ||<bgcolor=#D4F4FA,#2d2f34> {{{-2 6대}}}[br]신상철 ||<bgcolor=#D4F4FA,#2d2f34> {{{-2 7대}}}[br]신유협 ||<bgcolor=#D4F4FA,#2d2f34> {{{-2 8대}}}[br][[박원석(군인)|박원석]] ||<bgcolor=#D4F4FA,#2d2f34> {{{-2 9대}}}[br]박희동 ||<bgcolor=#D4F4FA,#2d2f34> {{{-2 10대}}}[br][[주영복]] || ||<bgcolor=#D4F4FA,#2d2f34> {{{-2 11대}}}[br][[장지량]] ||<bgcolor=#D4F4FA,#2d2f34> {{{-2 12대}}}[br]윤응렬 ||<bgcolor=#D4F4FA,#2d2f34> {{{-2 13대}}}[br][[김성룡(공군참모총장)|김성룡]] ||<bgcolor=#D4F4FA,#2d2f34> {{{-2 14대}}}[br][[김두만]] ||<bgcolor=#D4F4FA,#2d2f34> {{{-2 15대}}}[br][[옥만호]] || ||<bgcolor=#D4F4FA,#2d2f34> {{{-2 16대}}}[br]손재권 ||<bgcolor=#D4F4FA,#2d2f34> {{{-2 17대}}}[br][[윤자중]] ||<bgcolor=#D4F4FA,#2d2f34> {{{-2 18대}}}[br][[이희근(군인)|이희근]] ||<bgcolor=#D4F4FA,#2d2f34> {{{-2 19대}}}[br]김중보 ||<bgcolor=#D4F4FA,#2d2f34> {{{-2 20대}}}[br]전창록 || ||<bgcolor=#D4F4FA,#2d2f34> {{{-2 21대}}}[br]이지영 ||<bgcolor=#D4F4FA,#2d2f34> {{{-2 22대}}}[br][[김인기(군인)|김인기]] ||<bgcolor=#D4F4FA,#2d2f34> {{{-2 23대}}}[br]백낙승 ||<bgcolor=#D4F4FA,#2d2f34> {{{-2 24대}}}[br]한영규 ||<bgcolor=#D4F4FA,#2d2f34> {{{-2 25대}}}[br]박용태 || ||<bgcolor=#D4F4FA,#2d2f34> {{{-2 26대}}}[br]전춘우 || {{{-2 27대}}}[br]전윤수 || {{{-2 28대}}}[br]곽영달 || {{{-2 29대}}}[br]서진태 || {{{-2 30대}}}[br]강민수 || || {{{-2 31대}}}[br]배양일 || {{{-2 32대}}}[br][[이광학]] || {{{-2 33대}}}[br]이기현 || {{{-2 34대}}}[br]안병철 || {{{-2 35대}}}[br]주창성 || || {{{-2 36대}}}[br]박성국 || {{{-2 37대}}}[br][[김명립]] || {{{-2 38대}}}[br]이찬 ||<bgcolor=#D4F4FA,#2d2f34> {{{-2 39대}}}[br][[박종헌]] || {{{-2 40대}}}[br][[황원동]] || || {{{-2 41대}}}[br][[성일환]] || {{{-2 42대}}}[br]오창환 || {{{-2 43대}}}[br]김용홍 || {{{-2 44대}}}[br]김영민 || {{{-2 45대}}}[br][[이영만]] || || {{{-2 46대}}}[br]김형철 || {{{-2 47대}}}[br][[박재복(군인)|박재복]] || {{{-2 48대}}}[br][[이건완]] || {{{-2 49대}}}[br][[황성진]] || {{{-2 50대}}}[br][[최현국]] || || {{{-2 51대}}}[br][[박인호]] || {{{-2 52대}}}[br][[최성천]] || {{{-2 53대}}}[br][[박하식(군인)|박하식]] || {{{-2 54대}}}[br][[이상학(군인)|이상학]] || {{{-2 55대}}}[br][[윤병호(군인)|윤병호]] || ||<bgcolor=#D4F4FA,#2d2f34> {{{-2 56대}}}[br][[공승배]] || || ||<-5><bgcolor=#34acf1> {{{-2 {{{#FFF ※ 초대의 당시 직함은 육군항공사관학교장이었으며, 2대 이근석 교장부터 공군사관학교장으로 직함이 변경됨}}}}}} || ||<-5><bgcolor=#34acf1> {{{-2 {{{#FFF ※ 초대~26대, 39대 : 소장 또는 소장 이하 / 27대~현임 : 중장}}}}}} || ||<-5><bgcolor=#34acf1> [[:분류:둘러보기 틀/직위/군인|{{{#FFF {{{-2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MI.svg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파일:Lieutenant General_white.png
초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강영훈
제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김형일
제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함병선
제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김점곤
제5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황엽
제6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전부일
제7대

박경원
제8대

서종철
제9대

심흥선
제10대

유근창
제11대

김재명
제12대

박원근
제13대

이병형
제14대

류병현
제15대

이재전
제16대

문홍구
제17대

김영선
제18대

신현수
제19대

강영식
제20대

이상훈
제21대

정진권
제22대

박희모
제23대

한철수
제24대

최웅
제25대

류승국
제26대

임헌표
제27대

권병식
제28대

송응섭
제29대1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송응섭
제29대2

간용태
제29대3

이양호
제30대1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김재창
제30대2

김성득
제31대1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편장원
제31대2

강덕동
제32대

강덕동
제33대

임태섭
제34대

이지두
제35대

장정길
제36대

박성국
제37대

주창성
제38대

오승렬
제39대

파일:대한민국 공군 대장.svg
김명립
제40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대장.svg
박인용
제41대

이계훈
제42대

김중련
제43대

김정두
제44대

원태호
제45대

이영만
제46대

박신규
제47대

김현집
제48대

김유근
제49대

신원식
제50대

엄현성
제51대

이범림
제52대

이종섭
제53대

원인철
제54대

최현국
제55대

윤의철
제56대

박정환
제57대

박웅
제58대

황유성
직책 변천 : 연합참모본부장(제1-5대) ▸ 연합참모국장(제5-6대) ▸
합동참모본부장(제7-28대) ▸ 합동참모본부 제1·2·3차장(제29대) ▸
합동참모본부 제1·2차장(제30-31대) ▸ 합동참모차장(제32대~현재)
계급 변천 : 소장(제1-6대) ▸ 중장(제7-28대) ▸
대장(제29-31대 합참1차장) / 중장(제29-31대 합참2·3차장) ▸
중장(제32-38대) ▸ 대장(제39-40대) ▸ 중장(제41대~현재)
※ 관련 직위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66cc>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
|| 초대
박범집 ||<width=20%> 2대
장덕창 ||<width=20%> 3대
김창규 ||<width=20%> 4대
김신 ||<width=20%> 5대
장성환 ||
|| 6대
박원석 || 7대
장지량 || 8대
김성룡 || 9대
김두만 || 10대
옥만호 ||
|| 11대
주영복 || 12대
윤자중 || 13대
이희근 || 14대
김상태 || 15대
김인기 ||
|| 16대
서동열 || 17대
정용후 || 18대
한주석 || 19대
김홍래 || 20대
박춘택 ||
|| 21대
이억수 || 22대
이한호 || 23대
김은기 || 24대
성일환 || 25대
이영만 ||
|| 26대
최차규 || 27대
김형철 || 28대
정경두 || 29대
강구영 || 30대
원인철 ||
|| 31대
이건완 || 32대
황성진 || 33대
이성용 || 34대
김준식 || 35대
정상화 ||
|| 36대
신옥철 || 37대
윤병호 || 38대
이상학 || 39대
손석락 ||
||<-5><bgcolor=#34acf1> ※ 초대 ~ 7대 : 소장, 8대 ~ 현임 : 중장 ||
||<-5><bgcolor=#34acf1>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이영만 중장.png
1. 개요
2. 생애
3. 사건사고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2. 생애[편집]


1956년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다. 광주제일고등학교(50회)[1]를 거쳐 공군사관학교 27기에 수석으로 입학했다. 특기는 조종이었으며 주기종은 F-5이다. 동기로는 참여정부에서 NSC 사무차장을 지낸 류희인과 공군 작전사령관을 지낸 박신규 등이 있다.

장관급 장교로 진급한 이후에는 공군사관학교 생도대장, 제18전투비행단장, 공군대학장, 남부전투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2010년, 동기 중 처음으로 중장으로 진급, 공군작전사령관, 공군참모차장, 합동참모차장, 공군사관학교장 등을 역임했다. 공군 중장이 맡을 수 있는 보직 중 교육사령관을 빼고는 모두 맡은 셈이다. 공사 교장으로 재임 중이던 2014년, 한 기수 후배인 최차규공군참모총장에 임명되자 중장으로 전역했다.

전역 후에는 김영옥평화센터를 설립, 김영옥 대령의 기념사업에 나선다. 2016년 4월, 주 레바논 대한민국 대사에 임명되어 2018년 11월까지 재임하였다.


3. 사건사고[편집]


군내 여러 요직을 거쳤으나 그만큼 여러 사건에 얽혀 구설수에 올랐다.

작전사령관으로 재임 중이던 2010년, 작전계획과 비행훈련계획 등의 내용이 담긴 비밀 두 건을 열람했는데 당번병이 집무실을 정리하면서 이를 쓰레기차에 버려 논란이 되었다. 사령부에서는 문건 정리가 있기 전까지 6개월 간 분실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다. 비밀 문건의 분실로 인해 공군은 관련 비밀을 전면 개정해야 했다. 이영만은 이 일로 전역의사를 표명했으나 당시 국방부 장관이던 김관진은 그의 사의를 반려하였고 공군 측에서도 징계 유예처분을 내렸다. 그러나 비서실장, 정책보좌관 등 부하 장교들에게는 경징계가 내려져 불공평한 징계가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한편 공사 교장으로 재임하던 중에는 성차별 논란에 말려들었다. 체력검정 성적 저조 등의 이유로 수석졸업자인 여성 생도 대신 차석졸업자인 남성 생도에게 졸업식의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시상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여성 생도가 공군 내 주류인 조종 특기가 아니라는 점도 의혹을 부추겼다. 이 사건으로 이영만은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의원들의 질타를 받아야했고 결국 재심의를 약속, 원래의 수석졸업자가 대통령상을 받게 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7:38:30에 나무위키 이영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박선우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과 고교 동기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