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현집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 1번째 줄 - 1공
파일:general_white.png

초대

류병현
제2대

백석주
제3대

박노영
제4대

이상훈
제5대

한철수
제6대

정진태
제7대

나중배
제8대

김진영
제9대

김동진
제10대

김재창
제11대

장성
제12대

김동신
제13대

정영무
제14대

이종옥
제15대

남재준
제16대

신일순
제17대

김장수
제18대

이희원
제19대

김병관
제20대

이성출
제21대

황의돈
제22대

정승조
제23대

권오성
제24대

박선우
제25대

김현집
제26대

임호영
제27대

김병주
제28대

최병혁
제29대

김승겸
제30대

안병석
제31대

강신철

※ 초대~현임: 대장





역임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MI.svg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파일:Lieutenant General_white.png
초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강영훈
제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김형일
제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함병선
제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김점곤
제5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황엽
제6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전부일
제7대

박경원
제8대

서종철
제9대

심흥선
제10대

유근창
제11대

김재명
제12대

박원근
제13대

이병형
제14대

류병현
제15대

이재전
제16대

문홍구
제17대

김영선
제18대

신현수
제19대

강영식
제20대

이상훈
제21대

정진권
제22대

박희모
제23대

한철수
제24대

최웅
제25대

류승국
제26대

임헌표
제27대

권병식
제28대

송응섭
제29대1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송응섭
제29대2

간용태
제29대3

이양호
제30대1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김재창
제30대2

김성득
제31대1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편장원
제31대2

강덕동
제32대

강덕동
제33대

임태섭
제34대

이지두
제35대

장정길
제36대

박성국
제37대

주창성
제38대

오승렬
제39대

파일:대한민국 공군 대장.svg
김명립
제40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대장.svg
박인용
제41대

이계훈
제42대

김중련
제43대

김정두
제44대

원태호
제45대

이영만
제46대

박신규
제47대

김현집
제48대

김유근
제49대

신원식
제50대

엄현성
제51대

이범림
제52대

이종섭
제53대

원인철
제54대

최현국
제55대

윤의철
제56대

박정환
제57대

박웅
제58대

황유성
직책 변천 : 연합참모본부장(제1-5대) ▸ 연합참모국장(제5-6대) ▸
합동참모본부장(제7-28대) ▸ 합동참모본부 제1·2·3차장(제29대) ▸
합동참모본부 제1·2차장(제30-31대) ▸ 합동참모차장(제32대~현재)
계급 변천 : 소장(제1-6대) ▸ 중장(제7-28대) ▸
대장(제29-31대 합참1차장) / 중장(제29-31대 합참2·3차장) ▸
중장(제32-38대) ▸ 대장(제39-40대) ▸ 중장(제41대~현재)
※ 관련 직위 둘러보기



파일:제3야전군사령부 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
||<width=20%> 초대
이세호
||<width=20%> 2대
김종환
||<width=20%> 3대
박희동 ||<width=20%><bgcolor=#dcffed,#003318> 4대
이건영 ||<width=20%> 5대
유학성 ||
|| 6대
황영시
|| 7대
정호용 || 8대
박희도
|| 9대
최세창 || 10대
고명승 ||
|| 11대
신말업 || 12대
구창회 || 13대
윤용남 || 14대
도일규
|| 15대
유재열 ||
|| 16대
길형보
|| 17대
이남신
|| 18대
서종표 || 19대
이상희 || 20대
김관진 ||
|| 21대
백군기
|| 22대
이상의
|| 23대
김상기
|| 24대
이홍기 || 25대
권혁순 ||
|| 26대
김현집
|| 27대
엄기학 || 28대
김운용 ||<-2>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5><#FF0000> ※ 초대~28대: 대장 (4대 제외), 명칭 변천: 제3군사령관(초대~25대) ▸ 제3야전군사령관(25대~28대) ||
||<-5><#FF000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 1번째 줄 - 1공
파일:Lieutenant General_white.png

제21대

이계훈
제23대

황원동
제26대

김현집
제27대

조보근
제28대

김황록
제29대

김영환
제30대

이영철
제31대

장세준
※ 초대~현재: 중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 초대
최영희 ||<width=20%> 2대
김종오 ||<width=20%> 3대
이성가 ||<width=20%> 4대
오덕준 ||<width=20%> 5대
김용배 ||
|| 6대
박임항 || 7대
김계원 || 8대
임충식 || 9대
김동빈 || 10대
류근창 ||
|| 11대
장춘권 || 12대
이민우 || 13대
이병형 || 14대
류병현 || 15대
이건영 ||
|| 16대
윤흥정 || 17대
최영구 || 18대
권영각 || 19대
오자복 || 20대
정동호 ||
|| 21대
장준익 || 22대
정만길 || 23대
김동진 || 24대
윤용남 || 25대
오영우 ||
|| 26대
김석원 || 27대
정영진 || 28대
김종환 || 29대
이상희 || 30대
권안도 ||
|| 31대
김종천 || 32대
이성출 || 33대
한기호 || 34대
조정환 || 35대
심용식 ||
|| 36대
김현집 || 37대
김영식 || 38대
임호영 || 39대
제갈용준 || 40대
최병혁 ||
|| 41대
안준석 || 42대
김현종 || 43대
이규준 || 44대
김성민 ||
||<-5><bgcolor=#1d2088>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제25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김현집
金賢執 | Kim Hyunjip
파일:김현집 대장.jpg
출생1957년
충청남도 보령시
재임기간제26대 제3야전군사령관
2014년 8월 12일 ~ 2015년 9월 16일
제25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2015년 9월 17일 ~ 2016년 9월 22일
[ 펼치기 · 접기 ]

가족부인 조경희, 슬하 2남
학력대전고등학교 (졸업 / 55회)
군사 경력
복무대한민국 육군
1980년 ~ 2016년
임관육군사관학교 (36기)
최종 계급대장
최종 보직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주요 보직제3야전군사령관
합동참모차장
국방정보본부장
제5군단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제28보병사단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과장
제3야전군사령부 계획편성과장
제3보병사단 연대장


1. 개요
2. 생애
3. 역임 직위
4. 특징
5. 여담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5091712790001300_P2.jpg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취임식에서의 모습. 왼쪽에서 손을 뻗은 사람이 김현집 장군, 가운데의 미군 장군은 대리 버나드 샴포 주한 미8군사령관, 맨 오른쪽의 장군은 박선우 전임 부사령관.



1. 개요[편집]


최후의 하나회
대한민국 육군군인.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지냈다.


2. 생애[편집]


1957년 보령시에서 태어났다. 1976년 대전고등학교를 졸업하고[1] 육군사관학교 36기로 입학하여 1980년소위임관했다.

하나회 출신으로 군에 남아 현역으로 복무했던 마지막 장교로, 전두환의 조카사위이기도 하다.


3. 역임 직위[편집]


  • 소령
  • 중령
  • 대령
  • 준장 2006년 2차 진급
  • 소장 2009년 2차 진급
  • 중장 2011년 1차 진급
    • 제5군단[2]
    • 국방정보본부장 겸 합동참모본부 정보본부장
    • 합동참모차장[3]
  • 대장 2014년 8월 1차 진급
    • 제3야전군사령관[4]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4. 특징[편집]


매우 정통한 작전 전문가로 유명했다. "전쟁할 줄 아는 장군 싸우면 이길 수 있는 장군"으로 군내와 주한미군으로부터 높게 평가받던 인물이다. 작전 전문가라는 명성은 그의 후임으로 제3야전군사령관을 한 엄기학 대장으로 이어졌다는 평가. 그 때문에 하나회라는 핸디캡에도 불구하고 대장까지 진출할 수 있었다고 보고 있다. 다만 국회 청문회를 통과해야 하는 합참의장까지는 힘들 것이며, 만약 합참의장에 임명된다 하더라도 당시야당(진보진영) 측의 혹독한 비판과 사퇴 압박으로 오래 가지 못하리라는 예측이 있었다. 능력만으로 동기인 장준규 대장보다 먼저 진급했고, 경쟁자인 이순진 대장이 육군3사관학교 출신이라 육군참모총장 진출이 유력시 되었으며, 8월 말 발생한 포격도발 당시 대통령이 제3야전군사령부에 방문까지 하게 되자 합참의장이 확실하다는 예상이 있었다. 하지만 역시 하나회라는 핸디캡의 영향인지 이순진 대장이 3사 출신 최초로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이 되었고, 장준규 대장이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이 되었으며, 본인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이 되었다.

2016년 9월 19일부로 합참 전략기획본부장인 임호영 중장(육사 38기)이 차기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내정됨에 따라 9월 28일 전역했다.

김현집을 끝으로 합동참모차장 출신 대장은 오랫동안 나오지 않다가 박정환이 합동참모차장에서 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하면서 '마지막 합동참모차장 출신 대장'이라는 기록은 깨졌다.


5. 여담[편집]


  • 독실한 불자로, 국군불교총신도회장을 맡기도 했다.
  • 하나회의 회원들 중 막내 기수이자 가장 마지막으로 전역한 인물이다. 게다가 전두환의 조카사위이기까지 하다. 대장 진급 후 언론에 날 때마다 '마지막 하나회'라는 수식어가 앞에 붙던 인물로, 하나회 축출 이후 상당히 지난한 군생활을 했을 것으로 보이나 워낙 능력이 출중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던지라 육군의 작전 최주요 요직을 거쳐(3야전군 작전처 작전과장-작전처장-합참 작전부장) 대장까지 올라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5:29:37에 나무위키 김현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55회 졸업 동기로는 조용병 신한은행장이 있고, 선배로는 송영무 국방부 장관(48회)과 황인무 국방부 차관(54회)이 있다.[2] 합참 작전부장은 전군 소장 보직 중 최요직이라 할 수 있고, 제5군단은 제1군단과 함께 대장 진급자를 많이 배출하는 군단장 보직이다.[3] 본래 합참차장은 대한민국 해군 또는 대한민국 공군에서 맡지만 해군 출신의 최윤희 대장이 해군 최초로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이 되면서 육군 중장인 그가 보임되었다.[4] 2014년 8월에 경질된 권혁순 대장의 후임. 육사 36기로는 첫 대장이다. 다만 동기급 가운데 첫 대장은 아닌데 2014년 4월에 같은 1980년 임관자로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이 된 최차규 대장이 있다. 여담으로 육사 동기생 중에 제1야전군사령관을 역임한 장준규 대장과 여의도 핵주먹으로 유명했던 김성회 등이 있다. 성군기 위반으로 전역한 前 육군특수전사령관 최익봉 중장도 동기이자 같은 하나회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