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덤프버전 :



파일:wreck-it ralph logo.png
주먹왕 랄프 시리즈
주먹왕 랄프주먹왕 랄프 2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
Ralph Breaks the Internet
파일:ralph breaks the internet poster korean 2.jpg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
모아나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겨울왕국 2
장르애니메이션, 가족, 코미디, 액션, 어드벤처, SF
감독리치 무어, 필 존스턴
제작클라크 스펜서
각본필 존스턴, 파멜라 리본
원안리치 무어, 필 존스턴, 짐 리어돈, 파멜라 리본, 조시 트리니다드
음악헨리 잭맨[1]
출연파일:미국 국기.svg 존 C. 라일리, 세라 실버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창욱, 소연, 엄상현
제작사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픽처스
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스트리밍파일:Disney+ 로고.svg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11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1월 3일
상영 시간112분
제작비$175,000,000
북미 박스오피스$201,091,711 (최종)
월드 박스오피스$529,323,962 (최종 기준)
대한민국 총 관객 수1,758,891명 (최종)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1. 개요
2. 개봉 전 정보
3. 예고편
4. 시놉시스
8. 평가
8.1. 호평
8.2. 혹평
8.2.1. 스토리
8.2.2. 세계관
8.3. 총평
9. 흥행
10. 수상 및 후보
12. 기타
13.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2017년 3월 공개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57번째 애니메이션으로 2012년 11월 2일에 개봉한 주먹왕 랄프의 후속작이며, 디즈니 최초로 디즈니툰 스튜디오가 아닌 본가가 자체 제작하는 후속작이다. 미국은 6년 만이고, 한국은 7년 만에 돌아온다.


2. 개봉 전 정보[편집]


속편 제작에 관련해서 2016년 6월 30일 9시(미국 서부 시간 기준, 한국 기준으로는 7월 1일 새벽 1시) 디즈니의 페이스북 라이브를 통해 제작 사실이 공식적으로 밝혀졌다. 공개된 티저 이미지에서 여러 인터넷 대기업들의 이름이 패러디된 것으로 보아 인터넷이나 온라인 게임으로 세계관을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10월에 칼훈 병장 역을 맡은 제인 린치의 트위터에서 수 주 내에 녹음을 시작한다고 언급되었다.

파일:external/www.rotoscopers.com/wreck-it-ralph-2-logo-rotoscopers-e1490780938579.jpg

2017년 3월 29일에 공식 제목이 발표되었다. "Ralph Breaks the Internet: Wreck-it Ralph 2"라는 다소 긴 이름인데, 서양권에서의 반응은 별로 좋지 못한 편이다. 그래서인지 나중에는 Wreck-it Ralph 2가 제목에서 빠졌다.

온라인 게임 등 전편에서 다루지 않은 확장된 게임 세계를 다룰 것이라 말한 감독의 초기 인터뷰와 달리, 후속작은 인터넷 세계 전반을 다루게 될 예정이다. 로고 역시 iOS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의식한 디자인. 마리오 등 전작에 등장하지 못한 캐릭터가 나올 수 있다는 인터뷰도 있었지만, 결국 마리오는 판권 문제로 인해 이번에도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2] 전반적으로 1편보다 게임의 비중이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3. 예고편[편집]


공식 티저 예고편[3]

공식 예고편 (한국어 자막)

공식 예고편에는 왜 제목이 wrecks the internet이 아닌지에 대한 논란을 의식한 것으로 생각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작중 게임의 비중은 상당히 낮아진 것으로 보이는데 무대가 인터넷 세계로 옮겨지면서 이모지 무비를 연상시키는 각종 앱 등이 등장하며 그 와중에 잘 보면 네이버도 있다 다음도 있다, 아이언맨이나 디즈니 프린세스 등의 디즈니 쪽 IP들이 매우 많이 출연한다. 레디 플레이어 원과 비슷한 의미에서 이런 카메오를 반기는 쪽도 있지만 게임 영화였던 전작에 비해 게임이 많이 등장하지 않는 것에 대해 아쉬워하는 평도 있다.[4]

예고편에 삽입된 곡은 다프트 펑크Harder, Better, Faster, Stronger이다. 인터넷 세계를 잘 표현하기에 적절한 선택의 음악이다.

미리 보기 (한국어 자막)

2차 예고편 (한국어 자막)

국제 예고편[5]

한국 메인 예고편

더빙판 예고편


4. 시놉시스[편집]


오락실 게임 세상에 이어
이번엔 인터넷 세상이 발칵 뒤집힌다?!
각종 사고를 치며 게임 속 세상을 뒤집어 놨던 절친 주먹왕 ‘랄프’와 ‘바넬로피’는 버려질 위기에 처한 오락기 부품을 구하기 위해 와이파이를 타고 인터넷 세상에 접속한다.
얼떨결에 올린 동영상으로 순식간에 핵인싸에 등극한 ‘랄프’와 룰도 트랙도 없는 스릴만점 슬로터 레이스 게임에 참여하게 된 ‘바넬로피’
지금껏 경험한 적 없는 엄청난 스케일과 새로운 재미에 흠뻑 빠진 ‘랄프’와 ‘바넬로피’는 랜섬웨어급 사고로 인터넷 세상을 혼란에 빠뜨리는데…
과연, 이들은 무사히 집에 돌아갈 수 있을까?


5.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주먹왕 랄프 시리즈/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줄거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줄거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사운드트랙[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사운드트랙#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2632|
기자·평론가
7.25 / 10
관람객
8.97 / 10
네티즌
8.71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7.25 / 10
관람객
8.97 / 10
네티즌
8.71 / 10
]]
평점 8.97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7.6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6%





파일:cinemascore-logo.png
등급 A-





Ralph Breaks the Internet levels up on its predecessor with a funny, heartwarming sequel that expands its colorful universe while focusing on core characters and relationships.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는 단순한 속편을 넘어 재미와 감동을 선사하는 후속작으로 화려한 세계관을 확장하면서 주요 인물과 관계에 포커스를 맞추는 단계로 올라간 영화이다.

- 로튼 토마토 총평(컨센서스)


디즈니 리바이벌 시기에 해당하는만큼 전체적으로 전작 못지않은 수작이라는 평이 많지만, 전작과 전개방식과 배경, 주제의식이 너무 달라지고 전작의 캐릭터들의 성격변화가 갑작스럽다는 평도 있어서 호불호가 다소 갈린다.


8.1. 호평[편집]


전체적으로 전편의 상상력은 유지하면서 세계관 확장에도 힘쓴 점은 호평을 받고 있다. 특히 인터넷 속 세상을 물리적 공간으로 묘사한 부분은 대단히 창의적이고 신선한 발상이었다는 평이다.

전반부의 인터넷 묘사와 디즈니 프린세스를 비롯한 월트 디즈니 컴퍼니사 IP들의 패러디, 오마주 등이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1편 이상의 재미와 볼거리를 제공했단 점에서도 호평받고 있다. 오죽하면 카메오들만을 보기 위해 랄프 2를 본다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 특히 디즈니 자사 캐릭터들의 물량공세를 보고 있노라면 그저 디즈니의 저력에 감탄이 안 나올 수 없는 지경.


8.2. 혹평[편집]



8.2.1. 스토리[편집]


전반적인 스토리의 밀도가 1편에 비해 많이 헐겁고 후반부의 전개가 여러모로 아쉽다는 평이 많다. 특히 랄프의 행동이 후반부에 억지스러웠고[6] 바이러스가 하나로 합쳐서 거대한 랄프가 되는 연출이 호불호가 갈리며 어린이들은 무서워할 여지가 있었다.

가장 큰 비판점. 어찌보면 이건 전작의 '까불거리지만 근본은 착했던 바넬로피'의 캐릭터성을 붕괴시켰다고도 볼 수 있다. 우선 바넬로피는 설정상 슈가 러쉬의 메인 캐릭터이자 대통령임에도 불구하고 자기가 속한 게임이 너무 지루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이렇다 할 고민도 없이 자신의 게임을 손절했다.그나마 작중 후반부에 보다 못한 예쓰가 계속 화만내던 바넬로피에게 랄프가 니 게임을 구하기 위해 혹사했었다고 지적을 딱 한번 하긴 하나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때문에 바넬로피가 랄프의 희생과 헌신을 지극히 당연하다는 양 받아들인다는 의견도 많다.

거기다 '랄프가 바이러스를 풀어서 슬로터 레이스를 망쳤다'는 것만 가지고 랄프에게 폭언을 퍼부었다. 랄프가 바넬로피에게 "넌 모두에게 말도 없이 떠나려 했잖아!"라고 반박하지만 바넬로피는 자기는 겨우 16명 중 한 명이라며 누가 자기를 그리워하겠냐고 역으로 랄프에게 쏘아붙이며 메달을 내던져 버린다. 메달이 랄프에게 무슨 의미였는지 생각하면 바넬로피의 행동은 랄프에게 넌 내 영웅은 커녕 그냥 끔찍한 악당이라고, 안 그래도 옛날에 악당 캐릭터라고 상처받고 살았던 사람한테 다시 낙인을 찍어버리는 행동이며 랄프는 물론이고 다른 슈가 러쉬 캐릭터들, 펠릭스와 칼훈을 포함해 자신을 최고의 인기 캐릭터로 만들어준 게임 유저들까지 싸잡아 모독한 것이다. 랄프의 마음을 무신경하게 짓밟아 놓고는 마지막에는 이런 행위에 대해서 사과 한번으로 끝내버렸다.[7] 랄프의 집착성을 중심적으로 비판하는 상황으로 만들더라도, 최소한 바넬로피의 이기적임도 조명해서 그동안 랄프의 희생을 회상하거나 자신이 제멋대로임을 반성할 수밖에 없을 상황 정도는 만들어서 등장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운 부분. 이대로면 그냥 인간관계에 있어[8] 일종의 갑을 관계에 따른 모양새, '자신을 원하는 상대의 감정을 통해 이용해 먹는 측 vs 이용당하는 측' 으로 현실 속 안타까운 상황의 대변밖에 되지 않는다. 주 시청자일 아이들에게 전달하려는 메세지도 상황에 따라선 책임이 없는 자유, 꿈을 찾는다는 핑계로 주변인의 희생도 아몰랑스러운 방종을 그럴듯하게 포장한 내용이 되어버려 교훈적이지도 못하게 된다.
이후 랄프가 없는 곳으로 이동하며 친구라면 네가 한 짓 같은 건 안 해! 그러니 날 내버려 둬!라고 소리치는데 이것도 따지고 보면 시작도 자기가 먼저했고 더 많이 상처를 줘놓고 되려 폭언을 하는 건 실로 적반하장이 따로없다. 랄프나 슈가러시는 다 제쳐두고 "슬로터 레이스"에만 집착하는 게 랄프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참 기가 찰 노릇인 것이, 전작에서 바넬로피가 킹 캔디로부터 해방되어 본래의 신분을 되찾을 수 있었던 것은 랄프 덕분이었다. 그런데 작중 랄프가 바넬로피에게 자신이 너무 이기적이었다고 '원한다면 더 이상 친구하기 싫어해도 괜찮다'고 사과하자 랄프에게 '친구하기 싫다고 말한 적 없다, 말하지만 니가 나쁜 친구처럼 행동하고 있다'며, 오히려 이 모든 일이 랄프가 다 저지른 것 마냥 자연스럽게 책임을 다 떠넘겨 버린다. 이쯤되면 자기 자신의 잘못을 인식하긴 커녕 자기는 무고하고 이 모든 일이 랄프 때문에 일어났다는 잘못된 원망을 품고 있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러한 행동은 배려심이 하나도 없고, 매우 이기적이다. 하다못해 섕크조차도 친구끼리 말을 하고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바넬로피의 무책임한 태도를 지적했다.

바넬로피의 슬로터 레이스에 대한 집착과 절친한 친구인 랄프를 버리고 슈가 러쉬에 대한 의무를 방기한 건 꿈과 성장담마냥 포장시켜 놓고, 랄프가 헌신한 모습과 평범하고 일상적인 삶을 꿈꾸는 모습은 집착으로 왜곡시켰다 볼 수 있다. 이렇게 제대로 당해놓고도 거의 말 못하는 랄프를 보고 답답함을 느낀 팬들이 많았는데[9] 차라리 원하는 대로 하게 내버려 두고 절교해 버렸어야 했다는 의견까지 있을 정도. 그 밖에도 "바넬로피에겐 섕크가 새로운 영웅인 것 같다, 랄프에게 받았던 은혜와 호의들을 모두 걷어차버렸다." 라거나' 그동안 바넬로피를 위해 감내한 고통과 노력을 고려하면 랄프는 이런 취급을 받아선 안되는 인물이다!' 라는 말도 왕왕 나온다.[10] 그래서인지 이후의 이야기를 다룬 많은 2차 창작(주로 팬픽션)에서는 이후 바넬로피가 아케이드에서 무시당하거나 원망을 받는다.[11]또는 스스로 후회하거나[12] 결말을 다르게 만든 팬픽션들이 오히려 영화보다 더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13]

8.2.2. 세계관[편집]


1편에서 랄프와 킹 캔디가 자신의 게임을 버리고 다른 게임으로 침입해 게임을 망친 걸 비판적으로 보여줬으면서 본작의 바넬로피의 행동은 훈훈하게 감싼 이중잣대적인 행태에 많은 관람객들이 혹평을 내렸다. 바넬로피가 슬로터 레이스에서 그저 NPC 중 한 명으로 활동하는 것을 터보가 제멋대로 게임을 조작하고 지배한 것과 동일시하며 비판하기엔 무리가 있지만 작중 세계관상 게임을 망가트리지 않으면 OK인 것이 아니라 다른 게임의 플레이에 개입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되어 있다.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을 땐 다른 게임에 들어가도 괜찮지만, 플레이하는 동안엔 다른 게임에 들어가선 안 된다. 전작에서 랄프가 악당하기 싫다고 하는 장면에서 다른 악당들이 '터보가 되려는 거 아니냐'며 걱정하는 장면, 히어로즈 듀티에 들어가 플레이어를 본의 아니게 방해하자 다른 등장인물들이 '터보했다'며 경악하는 장면에서 이러한 설정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본작에서는 바넬로피가 아예 슬로터 레이스에 눌러앉아 다른 게임의 일원이 된다는 결말을 보여주는데도 이에 대한 비판의식을 전혀 엿볼 수 없으며 바넬로피의 성장담으로 훈훈하게 포장되며 마무리한다. 그저 바넬로피 하나를 감싸기 위해 작중 중요 설정을 부수고 나아가 세계관까지 완전히 뒤집어버린 것이나 다름없다. 더욱이 바넬로피는 전작 막판에 그녀가 게임 내의 공주였다는 사실이 밝혀지는데 그냥 게임이 싫증났다며 무책임하게 자신의 고향과 친구들 랄프까지 배신하는 개막장 행보는 그녀가 슈가러시의 지도자 였다는 것에 심각한 오류와 설정구멍을 만든다.[14] 전작처럼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지 않을 때에만 인터넷 세상에 놀러간다는 전개도 충분히 가능했다.

영화 내의 소재들에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주인공의 조력자들이 팝업, 스팸, 바이러스 같은 불법적인 요소를 사용한다는 것, 어린 아이를 상징하는 바넬로피가폭력적인 게임으로 가는 건 부적절한 요소다. 슬로터 레이스의 모티브가 된 것으로 추정되는 GTA5만 해도 폭력 수위가 높아서 19세 타이틀을 달고 나오는 게 보통이다. 새로운 레이스 게임을 보여주고 싶었다면 바넬로피에게 맞는 전연령층 게임을 보여줬어야 했다.

8.3. 총평[편집]


호불호가 갈린다는 면도 있고 재밌게 봤다는 사람들도 분명히 있다. 특히 인터넷 환경에 대해 묘사할 때 논란의 여지는 많으나 최소한 비주얼적인 부분에선 풍부하게 재미를 주었고, 시대에 걸맞는 사이버 동화를 시도했다는 데에 있어선 눈이 즐길만한 요소가 정말 풍부했다. 그러나 '트레일러가 가장 재미있는 영화', '카메오들 말고는 볼 게 없는 영화', '디즈니의 자사 콘텐츠 과시용 영화'라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빈껍데기밖에 없는, 전작과 대비된 허술한 시나리오로 랄프와 바넬로피라는 매력적인 두 캐릭터들을 몰락시켰을 뿐만 아니라 수 많은 리뷰어들의 혹평을 야기했다.

두 캐릭터간의 캐릭터성, 관계성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두 사람 관계가 이상하게 보이는 것도 문제가 된다. 변화를 싫어하는 랄프를 외면하고 변화를 원하는 바넬로피가 쉽게 떠나려 하는 모습은 부녀지간 같고. 랄프가 바넬로피에 대한 집착으로 사고를 치고 바넬로피가 매몰차게 떠나는 모습은 고전적인 로맨스 물의 연인사이와 같다. 랄프가 일방적으로 바넬로피를 책임 져야만 하는 상황처럼 유도하다 보니 생긴 문제인데 정말로 친구관계로서 둘을 보여주고자 했다면 서로에 대한 책임을 일방적으로 전가해선 안 된다.

바넬로피 본인부터 애정을 갈망하던 외톨이었는데 그 외톨이가 단순히 흥미를 이유로 그토록 원해 마지않던 슈가러시, 랄프의 업적을 모두 손쉽게 내팽개쳐 버렸다. 위에 언급되었던 대로 자기가 하고 싶은 거 다 하고 싶다 떼만쓰는 바넬로피를 랄프가 왜 친구로서 받아들이고 아껴야 하고 집착을 해야 하는지 관객들이 전혀 공감이 안된다. 캐릭터를 제대로 이해를 못하고 있다 보니 친구도 아니고 부모자식도 아니고 애인도 아닌 괴랄한 사랑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칼훈과 펠릭스가 슈가 레이싱 캐릭터들을 모두 입양한 장면이 나온 것으로 보아 게임하는 친구들의 자율성을 부모가 이해해 주자는 취지에 조금 더 무게가 실린 것 같긴 한데 그렇다면 스토리 플롯을 담당하고 검수한 사람들이 바넬로피와 랄프의 관계를 제대로 정립 못했다고 대놓고 말하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디즈니 프린세스들이 후반부에 너무 뜬금없이 개입 한 것, 슈가러시의 대통령이라는 바넬로피의 위치와 책임을 언급조차 하지 않은 것, 전편에서 중대하게 문제삼은 요소들을 캐릭터들이 조금도 신경쓰지 않고 사고를 친 것, 이야기의 흐름, 감정의 높낮이 변화가 너무 급격하여 불안정한 느낌을 주어 플롯이 정리되지 않았다는 의견이 있었다.

9. 흥행[편집]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page=intl&id=wreckitralph2.htm|{{{#white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단위: [[미국 달러|{{{#white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2018년 11월 21일$526,253,883 2019년 3월 18일
개별 국가
(개봉일순,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2018년 11월 21일$200,822,0152019년 3월 18일
중국2018년 11월 23일$39,259,1912018년 12월 23일
필리핀2018년 11월 21일$3,209,0692018년 12월 23일
칠레2018년 11월 22일$3,946,0962019년 1월 27일
콜롬비아2018년 11월 22일$4,363,0772019년 2월 3일
크로아티아2018년 11월 22일$215,6352019년 2월 3일
그리스2018년 11월 22일$660,3682019년 1월 27일
말레이시아2018년 11월 22일$2,441,2582019년 1월 27일
러시아-독립국가연합2018년 11월 22일$12,609,9022019년 1월 27일
싱가포르2018년 11월 22일$2,623,9672019년 1월 27일
우크라이나2018년 11월 22일$963,2472019년 2월 3일
아랍에미리트2018년 11월 22일$2,171,8222019년 1월 27일
인도2018년 11월 23일$874,7622018년 12월 16일
인도네시아2018년 11월 23일$4,567,1742019년 1월 6일
멕시코2018년 11월 23일$17,399,4412019년 1월 27일
포르투갈2018년 11월 29일$1,532,5532019년 2월 3일
대만(중화민국)2018년 11월 29일$4,447,3432019년 1월 27일
태국2018년 11월 29일$2,590,6772019년 1월 13일
아이슬란드2018년 11월 30일$217,1512019년 2월 3일
남아프리카 공화국2018년 11월 30일$1,728,6462019년 2월 3일
영국2018년 11월 30일$22,552,7052019년 1월 27일
베네수엘라2018년 11월 30일$762,9182019년 1월 27일
스페인2018년 12월 5일$13,912,9782019년 1월 27일
볼리비아2018년 12월 6일$1,068,4162019년 1월 27일
파라과이2018년 12월 6일$239,9982019년 1월 27일
벨기에2018년 12월 12일$2,423,2832019년 1월 27일
네덜란드2018년 12월 12일$4,137,8992019년 1월 27일
홍콩2018년 12월 20일$5,132,0432019년 1월 27일
일본2018년 12월 21일$33,089,2402019년 1월 27일
뉴질랜드2018년 12월 26일$2,038,1352019년 2월 3일
오스트레일리아2018년 12월 27일$14,737,4262019년 2월 3일
이탈리아2019년 1월 1일$12,309,4812019년 2월 3일
스위스2019년 1월 1일$306,3792019년 1월 27일
아르헨티나2019년 1월 3일$5,214,9422019년 1월 27일
브라질2019년 1월 3일$15,345,3192019년 1월 27일
세르비아-몬테네그로2019년 1월 3일$133,0182019년 1월 23일
슬로바키아2019년 1월 3일$293,9262019년 1월 27일
대한민국2019년 1월 3일$12,281,1942019년 1월 27일
우루과이2019년 1월 3일$277,3552019년 1월 27일
불가리아2019년 1월 4일$322,8592019년 1월 27일
루마니아2019년 1월 4일$599,2872019년 2월 3일
체코2019년 1월 10일$702,0692019년 1월 27일
헝가리2019년 1월 10일$467,6782019년 1월 27일
슬로베니아2019년 1월 10일$102,7712019년 2월 3일
리투아니아2019년 1월 11일$275,1822019년 2월 3일
폴란드2019년 1월 11일$3,276,8562019년 1월 27일
터키2019년 1월 11일$1,755,7062019년 2월 3일
오스트리아2019년 1월 24일$446,2512019년 1월 27일
독일2019년 1월 24일$3,903,7952019년 1월 27일
노르웨이2019년 2월 1일$849,3752019년 2월 3일
프랑스2019년 2월 13일$9,134,8282019년 2월 24일


9.1. 북미[편집]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8년 46주차2018년 47주차2018년 48주차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년 47주차2018년 48주차2018년 49주차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년 48주차2018년 49주차2018년 50주차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11월 말 개봉했다. 3주 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


9.2.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8년 52주차2019년 1주차2019년 2주차
아쿠아맨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말모이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4,565명4,565명미집계42,710,000원42,710,000원
1주차2019-01-03. 1일차(목)125,882명963,933명1위942,826,600원7,684,018,298원
2019-01-04. 2일차(금)114,355명1위944,568,145원
2019-01-05. 3일차(토)268,326명1위2,200,001,603원
2019-01-06. 4일차(일)245,225명1위2,021,064,800원
2019-01-07. 5일차(월)71,419명1위543,651,950원
2019-01-08. 6일차(화)75,634명1위564,896,000원
2019-01-09. 7일차(수)63,092명3위467,009,200원
2주차2019-01-10. 8일차(목)58,195명474,472명3위426,395,850원3,742,930,205원
2019-01-11. 9일차(금)59,365명3위475,543,929원
2019-01-12. 10일차(토)134,934명3위1,104,740,996원
2019-01-13. 11일차(일)121,812명3위1,000,311,580원
2019-01-14. 12일차(월)33,913명3위251,454,900원
2019-01-15. 13일차(화)36,339명3위264,944,870원
2019-01-16. 14일차(수)29,914명3위219,538,080원
3주차2019-01-17. 15일차(목)22,921명210,609명4위165,775,320원1,639,519,480원
2019-01-18. 16일차(금)24,286명4위190,726,930원
2019-01-19. 17일차(토)59,071명4위474,057,270원
2019-01-20. 18일차(일)58,244명4위474,942,320원
2019-01-21. 19일차(월)16,128명4위118,863,780원
2019-01-22. 20일차(화)17,939명4위130,157,100원
2019-01-23. 21일차(수)12,020명4위84,996,760원
4주차2019-01-24. 22일차(목)12,161명98,085명4위85,745,460원754,761,570원
2019-01-25. 23일차(금)10,887명4위83,508,030원
2019-01-26. 24일차(토)29,399명5위234,538,120원
2019-01-27. 25일차(일)29,736명5위237,832,560원
2019-01-28. 26일차(월)6,686명5위48,524,560원
2019-01-29. 27일차(화)7,590명5위53,997,460원
2019-01-30. 28일차(수)1,626명10위10,615,380원
5주차2019-01-31. 29일차(목)951명5106명16위6,379,850원34,291,630원
2019-02-01. 30일차(금)585명14위4,897,930원
2019-02-02. 31일차(토)1,037명15위8,168,490원
2019-02-03. 32일차(일)1,244명14위10,089,230원
2019-02-04. 33일차(월)1,289명11위11,135,980원
2019-02-05. 34일차(화)330명17위2,936,000원
2019-02-06. 35일차(수)270명23위2,223,480원
합계 누적관객수 1,758,891명, 누적매출액 13,919,424,723원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언니(이상 2019년 1월 1일), 레인보우: 나의 사랑, 데드풀 2: 순한 맛, 마션 인베이션, 미션 이스탄불 5: 더 파이널,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레토(이상 2019년 1월 3일), 아이스브레이커(이상 2019년 1월 4일)까지 총 8편이다.

개봉 전날부터 예매율 1위를 달려서, 예상대로 아쿠아맨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토요일 26만 관객을 끌어모으며 첫 주말 무난하게 1위를 차지했다. 2019년 1월 9일 누적 관객 수 968,498명을 기록해 전작의 흥행을 뛰어넘었다. 1월 10일에 100만 명을 돌파했다.


9.3. 독일[편집]


독일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9년 3주차2019년 4주차2019년 5주차
글래스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9년 4주차2019년 5주차2019년 6주차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드래곤 길들이기 3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독일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9.4. 러시아[편집]


러시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8년 46주차2018년 47주차2018년 48주차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년 47주차2018년 48주차2018년 49주차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모털 엔진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러시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9.5. 멕시코[편집]


멕시코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8년 46주차2018년 47주차2017년 48주차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주먹왕 랄프 2:인터넷 속으로 주먹왕 랄프 2:인터넷 속으로
2018년 47주차2018년 48주차2018년 49주차
주먹왕 랄프 2: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인터넷 속으로 그린치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멕시코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9.6. 영국[편집]


영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8년 47주차2018년 48주차2018년 49주차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년 48주차2018년 49주차2018년 50주차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아쿠아맨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영국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9.7. 브라질[편집]


브라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8년 52주차2019년 1주차2019년 2주차
아쿠아맨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브라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9.8. 콜롬비아[편집]


콜롬비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8년 46주차2018년 47주차2018년 48주차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년 47주차2018년 48주차2018년 49주차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년 48주차2018년 49주차2018년 50주차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년 49주차2018년 50주차2018년 51주차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콜롬비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9.9. 프랑스[편집]


2월 3주 차에 개봉했다. 컬러풀 웨딩즈 2알리타: 배틀 엔젤에 이은 3위로 출발했다.


9.10. 대만(중화민국)[편집]


중화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8년 47주차2018년 48주차2018년 49주차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모어 댄 블루
대만 박스오피스

[  2018년 49주차 대만 박스오피스  ]
파일:wqdfwefgvwef.png
2018년 49주차에 모어 댄 블루에 밀려서 박스오피스 2로 하락하였다.


9.11. 호주[편집]




9.12. 일본[편집]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8년 50주차2018년 51주차2018년 52주차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년 51주차2018년 52주차2019년 1주차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년 52주차2019년 1주차2019년 2주차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Fate/stay night
[Heaven`s Feel]
Ⅱ. lost butterfly
흥행통신 박스오피스 모조

2018년 12월 21일에 개봉하였다.

전편이 '슈가 러시'라는 타이틀로 개봉했기 때문에, 일본에서의 타이틀은 '슈가 러시: 온라인(シュガー・ラッシュ:オンライン)'.

[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g242323ree.png
개봉 첫 주차에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 가면라이더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 FOREVER를 따돌리고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였다.

[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wfe2ef2f2efef.png
개봉 2주차에도 보헤미안 랩소디,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를 따돌리고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다.

[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2f23f23f23f.png
개봉 3주차에도 보헤미안 랩소디,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를 따돌리고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다. 이로써 주먹왕 랄프 2는 미국 영화 시장에 이어서 일본 영화 시장에서도 3주 연속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였다.

[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fdqwfqefqef201902.png
개봉 4주차에는 극장판 Fate/stay night [Heaven's Feel] Ⅱ. lost butterfly, 보헤미안 랩소디에 밀려 일본 박스오피스 3위로 내려 앉았다.

[  개봉 5주차 순위  ]
파일:f23r23dgyjuthrgs.png
개봉 5주차에는 매스커레이드 호텔, 보헤미안 랩소디, 극장판 Fate/stay night [Heaven's Feel] Ⅱ. lost butterfly에 밀린 일본 박스오피스 4위로 내려 앉았다.

[  개봉 6주차 순위  ]
파일:wefjowejfiwejifwefoiejr89wq3u8eru283u42.png
개봉 6주차에는 매스커레이드 호텔, 12명의 죽고 싶은 아이들, 보헤미안 랩소디, 극장판 Fate/stay night [Heaven's Feel] Ⅱ. lost butterfly에 밀려 일본 박스오피스 5위로 내려 앉았다.

[  개봉 7주차 순위  ]
파일:f2323fefwsvcdsv.png
개봉 7주차에는 일곱 개의 회의, 매스커레이드 호텔, 눈의 꽃, 12명의 죽고 싶은 아이들, 메리 포핀스 리턴즈, 보헤미안 랩소디, 극장판 Fate/stay night [Heaven's Feel] Ⅱ. lost butterfly, 영화 도검난무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9위로 내려 앉았다.


9.13. 중국[편집]


주먹왕 랄프 2 중국 실시간 박스오피스(단위: 위안)

2018년 11월 23일 개봉했다. 개봉 2주차인 무명지배, 개봉 4주차인 베놈에 밀려서 박스오피스 3위에 그쳤다. 총 2억 7천만 위안을 벌고 극장에서 내려갔다.


10. 수상 및 후보[편집]








11. 카메오 및 이스터 에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카메오 및 이스터 에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편집]














13. 외부 링크[편집]





[1] 작중에서 바넬로피가 부르는 노래 'A Place Called Slaughter Race'는 앨런 멩컨이 작곡하였다.[2] 이는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에서 마리오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3] 저 여자아이가 어릴 때 모아나랑 굉장히 닮았다.[4] 제레미 잔스도 전작의 경우 비디오 게임에 보내는 러브레터 같은 영화였는데 속편은 트레일러만 봤을 때 너무 디즈니 캐릭터에만 집중하는 듯하다며 아쉽다는 소감을 남겼다.[5] 후반부에 팬케이크, 밀크셰이크 게임 장면은 개봉 영화에서는 크레딧 후 쿠키영상으로 등장했다.[6] 바이러스를 구하러 가는 얘기도 따져보면 전작 설정인 다른 게임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불문율을 밥 말아먹은 것처럼 보인다.[7] 그마저도 메달을 던져버린 것에 한해서 한 사과로, 랄프를 야멸차게 떠나고, 슈가 러쉬에 대한 의무를 저버린 것에 대해서는 사과는 고사하고 단 한 마디의 언급조차 없었다.[8] 이 두 관계를 친구관계, 연인관계, 부녀관계 모든 것을 통틀어서.[9] 말이 답답함이지, 자기가 랄프라면 저런 친구 따위는 필요 없다 하는 이들도 많다.[10] 당장 구글에서 검색해보면 바넬로피가 터보가 되었다는, 또는 진짜 빌런이었다는 평가가 아주 많다.[11] 후술한 It's Slaughterful Life에서는 랄프만 돌아오자 펠릭스와 칼훈이 어떻게 어린아이를 내버려 두고올 수 있냐 질책하고, 뒤이어 등장한 태피타, 란시스, 캔들헤드를 비롯한 15명의 아이들은 바넬로피가 돌아오지 않았다는 말에 급격한 상황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현실을 부정하며 오열한다.[12] 더 궁금하다면 Fanfiction.net의 Regret or Revival 참조. 이 이야기에서는 갑자기 떠나버린 바넬로피의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된 태피타가, 자기가 대통령이라는 바넬로피에게 '네가 터보와 다를게 뭐가있냐'며 화를 내고, 여전히 상황 파악 못 하고 지칠대로 지친 랄프에게 버거타임에 가자고 말하는 것을 칼훈이 보고는 한 발만 쏴버리면 안되냐고 말한다. 랄프와 펠릭스가 제지해서 못 쏘긴 했지만. 당연하다면 당연한게 자신들이 친한 친구처럼 여기던 이가 갑자기 "난 너희랑 있는 게 매일 똑같아서 싫어! 지겨워"라는 이유만으로 말도 없이 떠나버리면 과연 어떤 기분이들까? 거기다 펠릭스의 언급에 의하면 랄프는 그 충격과 상처, 슬픔으로 인해 무기력증과 우울증까지 걸렸다! 이후 바넬로피는 죄책감에 시달리며 다시 인터넷을 넘어 슬로터레이스로 향했지만, 이미 게임 유저들이 자신 때문에 피해를 입어 항의가 들어온 탓에 결국 서버관리자가 슬로터레이스를 잠정 셧다운시켜버렸다. 이후 절망하며 혼자 인터넷 거리를 돌아다닌다. 2018년 10월 25일, 프롤로그를 포함한 2개 챕터가 업로드된 뒤, 그 이후가 연재되지 않아 앞으로 어찌될지는 확실하지 않다.[13] 가령 바넬로피가 랄프와 헤어지기 직전 다시 돌아가서 헤어지기 싫다고, 슬로터 레이스를 원치 않는다며 아케이드 친구들이 그립다며 다시 가거나 (He's Not Worth It 참조. 여담으로 이 팬픽션이 제일 좋은 평가를 받았다. 오죽하면 다른 이들도 이 팬픽 내용대로 영화가 결말났어야 한다고 했을 정도.), 아니면 섕크가 악당인 걸 드러내서 아케이드 친구들이 구하러 가거나(It's a Slaughterful Life 참조. 이 팬픽의 작가는 자체적으로 대체 속편을 만들어 공개하기도 했으며, It's a Slaughterful Life의 보강판을 내기도 했다)[14] 단 1편 마지막에 이젠 왕국이 아닌 민주공화국으로 바꾸며 자신은 이제 공주가 아닌 대통령이라는 대사가 있고 대통령은 군주처럼 영구집권하는 게 아니니 본인이 이제 민주공화국이라 선포한 만큼 바넬로피가 6년간의 대통령 임기를 마치고 퇴임한거다 라고 긍정적이게 생각하자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바넬로피가 슈가러시를 정리했다는 언급이 없어 받아들여지기 힘들다.[15] 물론 작품 시기가 너무 오래 되어 원작 성우가 출연할 수 없는 백설공주, 신데렐라, 오로라 공주 등은 제외. 물론 이런 경우라 해도 백설공주를 제외하곤 속편이나 게임 등에서 새롭게 배정시켰던 디즈니 지정 전담 성우들을 기용했다.[16] 이 작품이 나올 시점에는 함수정 성우가 이민을 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탓에 뽀롱뽀롱 뽀로로에디 역과 토이 스토리제시 역도 성우가 바뀌게 되었다. 이 영화에서는 여민정이 오로라 공주를 맡게 되었다.[스포일러3] 그리고 본 영화의 스탭롤이 다 올라가고 쿠키영상에서 겨울왕국 2를 소개한다고 하며 랄프가 릭롤링을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