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애니상

덤프버전 :

분류

애니상
Annie Awards
파일:애니상 로고.svg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주최국제 애니메이션 협회 (ASIFA)
첫 시상1972년 11월 (52년)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시상 관련
3. 시상 목록
3.1. 장편 애니메이션상
3.2. 장편 독립 애니메이션상
3.3. 단편 애니메이션상
3.4. 애니메이션 TV 광고상
3.5. 애니메이션 스페셜상
3.6. 학생 영화상
3.7. 준 퍼레이상
3.8. 윈저 매케이상
3.9. 어브 아이웍스상
3.10. 애니메이션 특별 업적상
4. 역대 시상식



1. 개요[편집]


애니메이션 시상식. 국제 애니메이션 협회(ASIFA)에서 시상한다. 애니메이션계의 아카데미 시상식이라 할 수 있다. 구글 검색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애니상으로 표제어를 정했지만, 보통은 애니 어워드애니 어워즈로 발음을 옮겨쓴 표현으로 부른다.

원래는 매년 11월에 시상식을 했지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애니메이션 부문을 시상하기 시작하자 12월 초에 후보작을 발표하고 1월 말에 수상작을 발표하는 시스템으로 바뀌었다.

1975년 시상식 때부터 UCLA 로이스 홀에서 시상하였으며, 단 한번도 옮겨진 적이 없다. 대학에서 시상식을 한다는 것 때문에 학생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도 주목도를 크게 받으며, 학생 애니메이션 분야 상을 탈 경우 애니메이션 회사에서 헤드헌터들을 보내서 픽업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2. 시상 관련[편집]


파일:Annie_Award.png
트로피.

1972년부터 시상하기 시작하였으며, 극장판 애니메이션TV 애니메이션 전부에 대해 시상한다. 하지만 주로 주목받는 것은 극장판 애니메이션 부분. TV 애니메이션은 에미상9월에 시상식을 하기때문에 거의 영향을 못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골든글로브상(1월 초) - 애니상(1월 말) - 아카데미 시상식(2월 말~3월 초)으로 이어지는 극장판 분야는 그야말로 전쟁터다.

후보작이 되기 위해서는 미국 로스앤젤레스/뉴욕 극장에 1회 이상 상영하거나[1], 미국 방송국(지상파, 케이블방송)에서 1회 이상 방영되어야 한다.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미국 극장에 제한적 상영으로라도 개봉하지 않고 바로 TV로 직행한 경우에는 TV 애니메이션 부문으로 출전해야한다. 학생 애니메이션 상은 따로 상영회를 잡지 않고 유튜브 등 인터넷 채널을 통해 공개하고 접수하여도 받아준다. 단, 시상식 후보 접수 30일 전까지는 공개해야 한다.

시상식 횟수와 대응 연도는 접수연도이다. 예를 들어서, 2017년 초 시행한 44회 애니상은 2016년 시상식으로 불리는 것이다. 또한 원래 장편 애니메이션 부문이 하나였지만, 2015년에 장편 애니메이션이 지나치게 월트 디즈니 컴퍼니드림웍스 등 초거대 자본을 등에 업은 거대기업들만 쓸어간다는 비판에 독립 애니메이션 부문을 독립시켰다.

아카데미 시상식 장편/단편 애니메이션 부문은 이 상을 가지고 전망하는 것이 제일 좋다. 이 상의 장편/단편 최종후보에 올라간 애니메이션들이 아카데미 시상식 최종 후보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고, 애니 어워즈에서 가장 많은 상을 휩쓴 작품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장편/단편 애니메이션 상을 먹게 된다. 에미상은 위에서도 썼듯이 거의 영향을 못 준다.


3. 시상 목록[편집]



3.1. 장편 애니메이션상[편집]


Best Animated Feature
【 펼치기 · 접기 】


3.2. 장편 독립 애니메이션상[편집]


Best Animated Independent Feature

3.3. 단편 애니메이션상[편집]


Best Animated Short Subject
【 펼치기 · 접기 】
  • 제23회 (1996년) 《덱스터의 실험실
  • 제24회 (1997년) 《카우 앤 치킨 파일럿 에피소드: "No Smoking"》
  • 제25회 (1998년) 《I Miss You
  • 제26회 (1999년) 《제리의 게임
  • 제27회 (2000년) 《버니
  • 제28회 (2001년) 《새들의 이야기
  • 제29회 (2002년) 《허버트의 뇌》
  • 제30회 (2003년) 《거북이와 토끼》[1]
  • 제31회 (2004년) 《바운딩
  • 제32회 (2005년) 《로렌조》
  • 제33회 (2006년) 《선풍기와 꽃》
  • 제34회 (2007년) 《노 타임 포 너츠》
  • 제35회 (2008년) 《여러분의 친구 생쥐
  • 제36회 (2009년) 《월레스와 그로밋: 빵과 죽음의 문제
  • 제37회 (2010년) 《로봇 치킨: 스타워즈 2.5》
  • 제38회 (2011년) 《낮과 밤
  • 제39회 (2012년) 《아담과 개》[2]
  • 제40회 (2013년) 《페이퍼맨
  • 제41회 (2014년) 《말을 잡아라!
  • 제42회 (2015년) 《피스트
  • 제43회 (2016년) 《월드 오브 투모로우
  • 제44회 (2017년) 《파이퍼
  • 제45회 (2018년) 《디어 바스켓볼》
  • 제46회 (2019년) 《위크엔드》
  • 제47회 (2020년) 《토마스 삼촌: 일상의 회계》
  • 제48회 (2021년) 《기념비적 기념품》
  • 제49회 (2022년) 《베스티아》
  • 제50회 (2023년) 《아이스 머천츠》
[1] 스톱모션의 대가 레이 해리하우젠의 작품으로 같은 제목의 이솝 우화를 바탕으로 한다.[2] 한국인 영화감독 이민규의 작품이다.


3.4. 애니메이션 TV 광고상[편집]


Best Animated Television Commercial
【 펼치기 · 접기 】


3.5. 애니메이션 스페셜상[편집]



3.6. 학생 영화상[편집]



3.7. 준 퍼레이상[편집]



3.8. 윈저 매케이상[편집]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데이브 플라이셔월터 란츠텍스 에이버리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아트 배빗윈저 맥케이그림 네트윅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페이스 허블리노먼 맥라렌로버트 캐넌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마이클 말테스조지 팔워드 킴볼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멜 블랭크오스카 피싱거빌 스콧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어브 아이웍스딕 휴머칼 스탈링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빌 멜렌데즈매 퀘스텔오토 메스머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칼 하워드폴 줄리안라번 하딩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빌 타이틀라존 휘트니켄 헤리스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준 포레이도날드 W. 그레이엄마크 데이비스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클라렌스 내쉬볼프강 레이더먼레오 살킨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다우스 버틀러데이비드 핸드잭 키니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리처드 윌리엄스해밀턴 러스크로버트 아벨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존 핼러스스털링 홀러웨이짐 맥도날드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프레더릭 백샤머스 컬해니윌리엄 T. 허츠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존 란즈베리폴 드리센잭 해나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켄 오코너노먼 퍼거슨멜 쇼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티사 데이비드가와모토 기하치로버질 로스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알렉스 로비돈 메식데즈카 오사무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허버트 클린밥 커츠유리 노르슈테인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레스 클라크스탠 프레버그데이비드 힐버만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잭 잰더에드 베네딕트아서 데이비스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반스 게리댄 맥로린메리 블레어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윌리스 H. 오브라이언마이런 왈드먼폴 윈첼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어니스트 핀토프레이 패터슨마르셀 얀코비츠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호이트 커틴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피트 알바라도밥 기븐스진 하젤튼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진 디치존 헨치썰 라벤스크로프트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아놀드 스탱코니 콜프레드 크리펜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겐디 타르타콥스키빌 플림턴존 케인메이커글렌 킨
2007년2008년2009년
존 크릭팔루시마이크 저지존 라세터닉 파크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브루스 팀브래드 버드에릭 골드버그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뵈르게 링로널드 설테리 길리엄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2014년
마크 헨오토모 카츠히로스티븐 스필버그필 티페트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리 멘델슨조 랜프트필 로먼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캐롤라인 리프오시이 마모루제임스 백스터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안드레아 로마노프랭크 브랙스톤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론 클레먼츠존 머스커윌리 이토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2022년
브루스 W. 스미스루벤 A. 아퀴노릴리언 슈워츠스즈키 토시오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크레이그 맥크라켄





애니메이션 예술에 막대한 업적을 남긴 인물에게 수여하는 공로상.

3.9. 어브 아이웍스상[편집]



3.10. 애니메이션 특별 업적상[편집]




4. 역대 시상식[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6:26:33에 나무위키 애니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카데미 시상식LA에서만 상영하면 되지만, 애니 어워즈는 LA와 뉴욕 두 곳에서 최소한 상영하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