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창원시 마산회원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창원시 마산회원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창원시에 설치된 일반구에 대한 내용은 마산회원구 문서
마산회원구번 문단을
마산회원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창원시/정치
, 마산회원구/정치
,
,
,
,







||
파일:국회선거구 창원시 마산회원구.svg
선거인 수193,467명 (2020)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창원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마산회원구 전역
석전동, 회성동, 봉암동, 구암1동, 구암2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회원1동, 회원2동, 내서읍
이전 선거구마산시 을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한홍



1. 개요[편집]


소선거구제가 처음으로 도입되어 치른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때 처음으로 생긴 선거구인데 당시엔 이곳이 마산시였고 마산시의 인구가 상한선을 넘어서 현재의 마산합포구를 마산시 갑, 마산회원구를 마산시 을로 정했다.

그리고 1990년에 마산시의 행정구역에 '구'가 도입되면서 마산시가 합포구와 회원구로 나뉘어졌고 구 이름으로 선거구 명칭이 바뀌어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마산시 회원구로 불렸고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때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다가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다시 마산시 합포구를 마산시 갑, 마산시 회원구를 마산시 을로 옛날의 명칭으로 환원했다.

이후 2010년 마창진이 통합되어 통합 창원시가 출범하자 마산시 회원구는 창원시 마산회원구로 바뀌었고 선거구 이름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어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지금까지 쭉 사용하고 있는 명칭이다. 해당 지역에 마산역, 마산고속버스터미널, 마산시외버스터미널이 있어 외지인들이 마산으로 들어오는 관문 역할을 맡고 있는것도 나름의 특징.[1]

1980년대까지만 해도 김영삼의 근거지였던 만큼. 마산합포구와 같이 가장 민주당세가 강한 지역이였지만, 3당 합당한일합섬의 몰락으로 대표되는 섬유 산업의 쇠퇴로 인한 인구 유출로 보수세가 압도적으로 강한 지역이 되었다. 하지만 2010년대 즈음 되어서 내서읍창원 메트로시티으로 대표되는 양덕2동의 개발로 인해[2]옆 동네인 마산합포구보단 보수세가 약한 상황이다.

세부적으로 보자면 구시가지 지역인 회원동,석전동 등은 옆 동네인 마산합포구와 보수세가 유사하고, 신시가지인 내서읍과 양덕2동에선 보수세가 약하다. 즉 신시가지와 구시가지의 성향이 꽤 갈리는 곳이라 봐도 무방하다.

현재 이 지역구의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소속 윤한홍 의원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13대강삼재
ta-hash-start=w-c67c47db7c62cf7d1cb62bc14e4c71c6[[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마산시 을
14대
ta-hash-start=w-9e9d7a64df7b2c6d1fdbb4af269454c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마산시 회원구
15대
ta-hash-start=w-4863e1cb2338372056eb9ded8f80f3e2[[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17대안홍준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마산시 을
18대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ta-hash-start=w-2f366fa81a29ac6035a8f478b3bf6ba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창원시 마산회원구
20대윤한홍2016년 5월 30일 ~2020년 5월 29일
21대
ta-hash-start=w-d816da8de8dc66d72d2943512e13b661[[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2.1. 마산시 을 (13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산시 을
석전동, 회성동, 봉암동, 구암1동, 구암2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회원1동, 회원2동, 내서읍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주호(金周浩)30,751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0.78%낙선
2강삼재(姜三載)54,0671위

ta-hash-start=w-5246c96db29909e5fc9432e1db33c2b5[[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4.12%당선
3김창원(金昌源)2,1565위

ta-hash-start=w-1eedf80ea03d586193c3f55f0eacc0b1[[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2.15%낙선
4박경환(朴慶煥)8,0873위

ta-hash-start=w-1e0ddf8ba5592f879f5b1698ed983ef5[[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8.09%낙선
5신건욱(申健郁)2,9754위

ta-hash-start=w-b7e21bd47130fce0c917dda4c3e6e30f[[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2.97%낙선
6박홍기(朴烘基)1,8486위

무소속

1.85%낙선
선거인 수130,779투표율
77%
투표 수100,645
무효표 수761


2.2. 마산시 회원구 (14~16대)[편집]



2.2.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산시 회원구
마산시 회원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삼재(姜三載)47,3701위

ta-hash-start=w-266710f17eae1ddcdbd353dc54f49f0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3.57%당선
2박창규(朴昶圭)8,0923위


9.15%당선
3임수태(林守泰)6,9384위

파일:민중당 1990년 글자.svg

7.84%낙선
4김영길(金永吉)26,0162위
29.42%낙선
선거인 수129,996투표율
68.90%
투표 수89,515
무효표 수1,099


2.2.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산시 회원구
마산시 회원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삼재(姜三載)44,3401위
50.16%당선
2이상기(李相基)2,4525위
2.77%낙선
3박재혁(朴在赫)6,6823위
7.55%당선
4신태성(愼泰晟)4,1014위
4.63%낙선
5김영길(金永吉)28,9852위
32.79%낙선
6이건환(李建煥)1,8356위
2.07%낙선
선거인 수143,515투표율
62.70%
투표 수89,953
무효표 수1,558


2.2.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산시 회원구
마산시 회원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삼재(姜三載)49,7681위
63.41%당선
2김형철(金炯哲)11,0493위
14.07%낙선
4신태성(愼泰晟)6,1024위
7.77%낙선
5이흥식(李興植)11,5662위
14.73%낙선
선거인 수151,466투표율
52.60%
투표 수79,636
무효표 수1,151


2.3. 마산시 을 (17~18대)[편집]



2.3.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산시 을
내서읍, 회원1동, 회원2동, 석전1동, 석전2동, 회성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안홍준(安鴻俊)48,7561위
49.36%당선
3하귀남(河貴男)34,7642위
35.19%낙선
4김영길(金永吉)15,2573위
15.45%낙선
5이흥식(李興埴)--
-사퇴
선거인 수168,042투표율
59.99%
투표 수100,803
무효표 수2,026


2.3.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산시 을
내서읍, 회원1동, 회원2동, 석전1동, 석전2동, 회성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하귀남(河貴男)15,1052위
19.86%낙선
2안홍준(安鴻俊)48,7951위
64.14%당선
6송정문(宋正文)10,6383위
13.98%낙선
7이수철(李守喆)1,5374위
2.02%낙선
선거인 수174,106투표율
44.23%
투표 수77,011
무효표 수936


2.4. 창원시 마산회원구 (19대~)[편집]



2.4.1.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창원시 마산회원구
마산회원구 일원[창원마산회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안홍준(安鴻俊)53,3821위
53.85%당선
2하귀남(河貴男)38,1182위
38.45%낙선
6백상원(白尙源)7,6213위
7.68%낙선
선거인 수175,977투표율
54.66%
투표 수99,967
무효표 수846


2.4.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창원시 마산회원구
마산회원구 일원[창원마산회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한홍(尹漢洪)47,8131위
47.80%당선
2하귀남(河貴男)43,6662위
43.66%낙선
3안성오(安晟吾)8,5333위
8.53%낙선
선거인 수173,197투표율
58.50%
투표 수101,314
무효표 수1,302

20대 총선 경남 창원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윤한홍하귀남안성오
득표수
(득표율)
47,813
(47.80%)
43,666
(43.66%)
8,533
(8.53%)
+ 4,147
(△4.14)
58.5%
내서읍41.19%50.47%8.34%9.2859.13
회원1동58.85%33.78%7.37%25.0754.48
회원2동58.79%33.87%7.33%△24.9253.75
석전1동53.27%39.38%7.35%△13.8955.08
석전2동51.78%40.94%7.27%△10.8455.59
회성동54.10%39.74%6.16%△14.3655.73
양덕1동52.62%37.38%10.0%△15.2452.51
양덕2동47.44%44.69%7.87%△2.7560.74
합성1동51.24%39.80%8.97%△11.4451.74
합성2동55.12%35.45%9.43%△19.6751.65
구암1동52.55%37.90%9.55%△14.6556.11
구암2동49.69%41.33%8.98%△8.3658.58
봉암동49.86%41.76%8.38%△8.1049.66
후보윤한홍하귀남안성오격차
거소·선상투표52.11%31.92%15.96%△20.19
관외사전투표34.71%53.21%12.08%▼18.50
국외부재자투표18.28%70.97%10.75%52.69
새누리당에선 현역 안홍준 의원과 경상남도 윤한홍 전 경남도 행정부지사가 경선을 치렀는데 윤한홍이 공천을 받았다. 그리고 더불어민주당에선 17대 총선부터 계속해서 출마하고 있는 하귀남 변호사가 4번째 도전에 나섰다. 그 밖에도 국민의당에서도 안성오 후보가 출마를 하여 3자 구도가 정립되었다.

보수 성향이 강한 선거구답게 윤한홍 후보가 승리하긴 했으나 신승이었다. 하귀남 후보로선 4번째 도전만에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성과를 올렸고 본인 최고 득표율을 또 다시 갱신하는 성과를 얻었다. 다만 안성오 후보가 두 후보 간 득표율 차보다 더 큰 8.53%를 득표했기에 안성오와의 단일화가 됐으면 당선될 수 있었다는 점이 하귀남 입장에선 매우 아쉬울 듯하다.

윤한홍은 동 지역과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승리했다. 하귀남은 내서읍에서만 무려 2,802표 차로 윤한홍을 크게 이겼고 관외사전투표, 국외부재자투표에서도 승리했다.


2.4.3.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창원시 마산회원구
마산회원구 일원[창원마산회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하귀남(河貴男)48,0182위
41.95%낙선
2윤한홍(尹漢洪)64,5811위
56.42%당선
7조민기(趙敏記)8514위
0.74%낙선
8허양희(許良姬)1,0043위
0.87%낙선
선거인 수164,936투표율
70.21%
투표 수115,805
무효표 수1,351

21대 총선 경남 창원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하귀남윤한홍
득표수
(득표율)
48,018
(41.95%)
64,581
(56.42%)
- 16,563
(▼14.47)
115,805
(70.21%)
회원1동32.32%65.89%▼33.5767.15
회원2동33.04%65.39%▼32.3666.00
석전동39.29%59.19%▼19.9069.74
회성동33.69%64.44%▼30.7568.08
양덕1동36.56%61.38%▼24.8263.98
양덕2동[A]41.89%56.82%▼14.9372.97
합성1동[C]41.11%57.56%▼16.4567.85
합성2동[B]36.03%62.13%▼26.0965.33
구암1동38.32%59.26%▼20.9467.08
구암2동41.47%56.47%▼15.0067.10
봉암동39.12%58.74%▼19.6164.26
내서읍46.36%52.26%▼5.9068.72
후보하귀남윤한홍격차
거소·선상투표44.26%49.72%▼5.46
관외사전투표53.19%44.83%△8.37
재외투표69.49%30.50%△38.98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하귀남 변호사가 다시 출마했고, 미래통합당에서는 윤한홍 의원이 공천을 받아서 리턴매치가 되었다. 4년 전 선거 때엔 민주당 표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으로 분열되었기에 윤한홍이 보수층 + 표 분산에 힘입어 불과 4.14% 차로 승리했다. 하귀남 후보는 4년 동안 착실히 지역구 관리를 하겠다며 권토중래를 다짐했는데 과연 그 동안에 공을 들인 성과가 얼마나 나올 것인지 주목되었다. 또 2년 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김경수 경남도지사자유한국당 김태호를 상대로 이곳 창원시 마산회원구에서 신승을 거두었다는 점, 허성무 창원시장 역시 자유한국당 조진래를 10% 가까운 격차로 승리했던 것도 하귀남에게 큰 힘이 될 듯 했다.

그러나 선거 당일 출구조사 결과 57.8% : 41.3%로 윤한홍이 당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표 결과도 격차가 약간 줄어들었지만 큰 변동 없이 윤한홍이 56.42% : 41.95%로 14.5% 차로 승리하며 재선에 성공했다. 오히려 지난 총선 때보다 표 차가 더 벌어졌다. 이로 볼 때 지난 총선 당시 국민의당에 갔던 표가 윤한홍에게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3]

윤한홍은 전 지역,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승리했다. 하귀남은 관외사전투표, 국외부재자투표에서만 승리하는 데 그쳤다.


2.4.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창원시 마산회원구
마산회원구 일원[창원마산회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마산연안여객선터미널이 마산합포구에 있으나 아무래도 비중은 좀 떨어지는 편이다.[2] 두 지역의 인구를 합치면 마산회원구 인구의 절반이다.[창원마산회원] A B C D 석전동, 회성동, 봉암동, 구암1동, 구암2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회원1동, 회원2동, 내서읍.[A] 창원 메트로시티 및 마산회원구청, 창원 NC 파크, 마산고속버스터미널이 있는 동네[C] 창원롯데캐슬 더퍼스트가 있는 동네[B] 마산시외버스터미널창신대학교가 있는 동네[3] 국민의당이 바른미래당과 합당하고, 그 정당에 있었던 친안들은 21대 총선 직전 미래통합당으로 가고, 안철수도 새 정당을 차리면서 보수성향이 강해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