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창원시청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3리그 참가 축구팀에 대한 내용은 창원시청 축구단 문서
창원시청 축구단번 문단을
창원시청 축구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12><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bgcolor=#00ac6d> [[시(행정구역)|{{{#fff '''자치시'''}}}]] || ||<-3><width=20%><bgcolor=#d0121b> [[거제시|[[파일:거제시 CI_White.svg|height=25]][br]{{{#fff 거제시}}}]] ||<-3><width=20%><bgcolor=#0033a0> [[김해시|[[파일:김해시 CI_White.svg|height=25]][br]{{{#fff 김해시}}}]] ||<-3><width=20%><bgcolor=#e60012> [[밀양시|[[파일:밀양시 CI_White.svg|height=25]][br]{{{#fff 밀양시}}}]] ||<-3><width=20%><bgcolor=#008eaa> [[사천시|[[파일:사천시 CI_White.svg|height=25]][br]{{{#fff 사천시}}}]] || ||<-3><bgcolor=#fff,#000> [[거제시청|{{{#000 거제시청}}}]] ||<-3> [[김해시청|{{{#000 김해시청}}}]] ||<-3> [[밀양시청|{{{#000 밀양시청}}}]] ||<-3> [[사천시청|{{{#000 사천시청}}}]] || ||<-3><width=20%><bgcolor=#d22229> [[양산시|[[파일:양산시 CI_White.svg|height=25]][br]{{{#fff 양산시}}}]] ||<-3><width=20%><bgcolor=#214395> [[진주시|[[파일:진주시 CI_White.svg|height=25]][br]{{{#fff 진주시}}}]] ||<-3><width=20%><bgcolor=#1061af> [[창원시|[[파일:창원시 CI_White.svg|height=25]][br]{{{#fff 창원시 ,,도청,,}}}]] ||<-3><width=20%><bgcolor=#ce0000> [[통영시|[[파일:통영시 CI_White.svg|height=25]][br]{{{#fff 통영시}}}]] || ||<-3><bgcolor=#fff,#000> [[양산시청|{{{#000 양산시청}}}]] ||<-3> [[진주시청|{{{#000 진주시청}}}]] ||<-3> [[창원시청|{{{#000 창원시청}}}]] ||<-3> [[통영시청|{{{#000 통영시청}}}]] ||




파일:창원시 CI.svg
창원시청
昌原市廳 | Changwon City Hall
파일:SSI_20201008152809_O2.jpg

주소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중앙대로 151 (용호동)
국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관할구역경상남도 창원시
직원 수4,924명(2020년 시정현황)
예산3조 2,625억 6,640만 6,000원(2021년 본예산)
시장홍남표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부시장안경원(제1부시장)
조명래(제2부시장)
상급기관경상남도청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2.1.1. 통합 이전 마산시장
2.1.2. 통합 이전 진해시장
3. 조직
3.1. 직속기관
3.2. 휘하 구청
4.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5. 여담



1. 개요[편집]


창원시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 청사이다.[1] 계획도시로 설계된 창원시답게 시청 주변에는 한국은행 경남본부, KBS창원방송총국, 성산아트홀, 창원광장 등 굵직한 중요시설들과 중앙대로를 따라 경상남도청이 위치해 있다.

2. 역사[편집]


1980년 4월 1일 경상남도 창원지구출장소창원시로 신설되면서 창원시청도 들어섰다. 같은 시기에 창원광장도 조성되었다. 시청 주변에는 농협 경남본부, 한국은행 경남본부 등의 관공서가 들어왔고, 창원시의 성장으로 이마트 창원점, 롯데백화점 창원점, 롯데마트 맥스 창원중앙점 등 대형매장들도 입점했다. 2010년 7월 마창진 통합 전 논의사항으로 옛 창원시청사를 임시청사로 사용하고 이후 신청사를 지을 장소로 1순위는 마산종합운동장 및 진해 옛 육군대학 부지, 2순위는 제39보병사단 부지를 후보로 정했으나, 통합 이후 신청사 건설 논의는 흐지부지 되어버렸고 임시청사였던 통합 이전 창원시청사가 그대로 시청으로 존속하고 있다. 신청사 후보지로 정해졌던 지역들의 경우 마산종합운동장은 철거 후 창원 NC 파크가 들어섰고, 옛 육군대학 부지에는 진해연구자유지역에 들어섰고, 제39보병사단 부지는 39사단이 함안군으로 이전한 후 중동 유니시티가 들어섰기 때문에 설령 신청사를 만든다 해도 저 지역들에는 지을 수 없게 되었다.

2.1. 역대 시장[편집]


[창][마][진]은 각각 창원시장, 마산시장, 진해시장 역임자.

초대2대3대4대5대
파일:창1.png파일:창2.png파일:창3.png파일:창4.png파일:창5.png
이재석[마]박용범[진]박부찬[진]이의익[진]곽만섭
1980.4.1 ~ 1980.7.311980.8.1 ~ 1981.12.211982.1.20 ~ 1983.12.261983.12.27 ~ 1985.7.71985.7.8 ~ 1986.12.23
관선(김성주 도정)관선(최종호 도정)관선(이규호 도정)관선(김주호 도정)
6대7대8대9대10대
파일:창6.png파일:창7.png파일:창8.png파일:창6.png파일:창10.png
윤희윤[마][진]곽만섭조해녕윤희윤[마][진]신상돈
1986.12.24 ~ 1987.12.291987.12.30 ~ 1988.6.31988.6.4 ~ 1988.12.311989.1.1 ~ 1989.12.261989.12.27 ~ 1991.1.9
관선(조익래 도정)관선(최일홍 도정)
11대12대13대14대15대
파일:창11.png파일:창12.png파일:창13.png파일:창14.png파일:창15.png
김창수[진]문백송은복정채륭이계진
1991.1.10 ~ 1993.3.151993.3.16 ~ 1993.12.201994.1.3 ~ 1994.6.301994.7.4 ~ 1994.12.301995.1.1 ~ 1995.6.30
관선(김원석 도정)관선(윤한도 도정)관선(김혁규 도정)
16~17대18대19~20대파일:창원시 CI.svg
통합창원시 출범
2010년 7월 1일
초대
파일:창16.png파일:창18.png파일:창19.png파일:창19.png
공민배배한성박완수박완수
1995.7.1 ~ 2002.6.292002.7.1 ~ 2004.3.122004.6.5 ~ 2010.6.302010.7.1 ~ 2014.2.5
민선1기
무소속


민선2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선3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보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선4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선5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대3대
파일:창21.png파일:허성무.jpg
안상수허성무
2014.7.1 ~ 2018.6.302018.7.1 ~ 2022.6.30
민선6기
ta-hash-start=w-8a72ae260baecf45d17439a5b8d51a5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선7기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1.1. 통합 이전 마산시장[편집]


초대2대3대4대5대
파일:마산1.png파일:마산2.png파일:마3.png파일:마4.png파일:마5.png
옥기환김정희정재설이의익곽만섭
1945. 12.15 ~ 1946.5.131946.5.14 ~ 1947.5.91947.5.10 ~ 1947.11.41947.11.5 ~ 1949.6.201949.6.21 ~ 1950.9.22
관선(미군정)관선(김병규 도정)관선(김철수 도정)관선(문시환 도정)
6대7대8대9~10대11대
파일:마6.png파일:마7.png파일:마8.png파일:마9.png파일:마11.png
강봉용허윤수김종신이병진박영두
1950.9.23 ~ 1951.10.41951.10.5 ~ 1952.5.41952.5.5 ~ 1953.5.151953.5.16 ~ 1956.1.51956.1.19 ~ 1960.1.18
관선(양성봉 도정)간선[2]
12대13대14대15대16대
파일:마11.png파일:마13.png파일:마14.png파일:마15.png파일:마16.png
박영두[3]윤상환손성수최병순최병한
1960.2.15 ~ 1960.5.101960.7.2 ~ 1960.11.301960.12.26 ~ 1961.6.131961.10.2 ~ 1963.7.241963.7.25 ~ 1964.11.9
관선(신도성 도정)관선(이기주 도정)민선

관선(양찬우 도정)
17대18대19대20대21대
파일:마17.png파일:마18.png파일:마19.png파일:마20.png파일:마21.png
윤동수김희구[진]변광영안재흥[진]김종구
1964.11.10 ~ 1965.9.251965.9.27 ~ 1966.1.201966.3.8 ~ 1968.5.11968.5.2 ~ 1970.12.41970.12.8 ~ 1971.8.11
관선(이계순 도정)관선(김효영 도정)
22대23대24대25대26대
파일:마22.png파일:마23.png파일:마24.png파일:마25.png파일:마26.png
이남두최재영원병의김태옥성해기
1971.8.13 ~ 1974.11.121974.11.13 ~ 1976.7.251976.7.26 ~ 1976.10.281976.10.28 ~ 1978.4.111978.4.12 ~ 1980.7.31
관선(정해식 도정)관선(강영수 도정)관선(조병규 도정)
27대28대29대30대31대
파일:마27.png파일:마28.png파일:마29.png파일:마30.png파일:마31.png
이재석[창]이판석김영환이의익[창]박종택
1980.8.1 ~ 1981.4.81981.5.18 ~ 1983.12.261983.12.27 ~ 1985.7.71985.7.8 ~ 1986.12.231986.12.24 ~ 1989.12.26
관선(최종호 도정)관선(이규호 도정)관선(김주호 도정)관선(조익래 도정)
32대33대34대35대36대
파일:마32.png파일:마33.png파일:마34.png파일:마35.png파일:마36.png
윤희윤[창][진]안길현[진]김충규[진]김영동[진]여주환[진]
1989.12.27 ~ 1991.1.91991.1.10 ~ 1992.5.151992.5.16 ~ 1993.3.161993.3.17 ~ 1994.12.311995.1.1 ~ 1995.6.30
관선(최일홍 도정)관선(김원석 도정)관선(윤한도 도정)관선(김혁규 도정)
37~38대39~41대파일:창원시 CI.svg
창원시와 통합
2010년 7월 1일~
김인규황철곤
파일:마37.png파일:마39.png
1995.7.1 ~ 2001.3.132001.4.27 ~ 2010.6.30
민선 1기
무소속


민선 2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보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선 3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선 4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1.2. 통합 이전 진해시장[편집]


초대2대3대4대5대
파일:진해1.png파일:진3.png파일:진5.png
정소준김해룡오용길
1955.9.5 ~ 1959.6.271959.9.12 ~ 1960.6.271960.6.28 ~ 1960.12.11960.12.30 ~ 1961.5.301961.6.1 ~ 1963.12.16
간선[4]관선(김규진 도정)관선(이기주 도정)민선

관선(최갑중 도정)
6대7대8대9대10대
파일:진6.png파일:진7.png파일:진8.png파일:진9.png파일:진10.png
김희구[마]안재흥[마]김철년이선철김중도
1964.1.18 ~ 1965.9.241965.9.25 ~ 1968.4.301968.5.1 ~ 1970.12.31970.12.04 ~ 1973.06.301973.7.1 ~ 1975.5.29
관선(이계순 도정)관선(김효영 도정)관선(정해식 도정)
11대12대13대14대15대
파일:진11.png파일:진12.png파일:진13.png파일:진14.png파일:진15.png
허직박용범[창]하황식박부찬[창]윤희윤[창][마]
1975.5.30 ~ 1975.9.301975.10.13 ~ 1978.8.11978.8.2 ~ 1980.7.91980.8.1 ~ 1981.6.301981.7.1 ~ 1983.4.14
관선(강영수 도정)관선(조병규 도정)관선(최종호 도정)
16대17대18대19대20대
파일:진16.png파일:진17.png파일:진18.png파일:진19.png파일:진20.png
안길현[마]김창수[창]김영동[마]김충규[마]이남기
1983.4.15 ~ 1984.12.101984.12.11 ~ 1986.12.231986.12.24 ~ 1988.12.311989.1.1 ~ 1991.11.61991.11.7 ~ 1993.7.20
관선(이규호 도정)관선(조익래 도정)관선(최일홍 도정)관선(김원석 도정)
21대22대23대24~26대27대
파일:진21.png파일:진22.png파일:진23.png파일:진24.png파일:진27.png
서정훈여주환[마]문원경김병로이재복
1993.7.20 ~ 1993.12.311994.1.3 ~ 1994.12.311995.1.1 ~ 1995.6.301995.7.1 ~ 2006.6.302006.7.1 ~ 2009.12.6
관선(윤한도 도정)관선(김혁규 도정)민선 1기
민선 2기
민선 3기
민선 4기
파일:창원시 CI.svg
이후 창원시와 통합 2010년 7월 1일

3. 조직[편집]


  • 시장
    • 시정혁신담당관
    • 시민소통담당관
  • 제1부시장
    • 공보관
    • 감사관
  • 기획예산실
    • 기획관
    • 예산담당관
    • 법무담당관
    • 정보통신담당관
  • 자치행정국
    • 자치행정과
    • 인사조직과
    • 회계과
    • 평생교육과
  • 경제일자리국
    • 경제살리기과
    • 일자리창출과
    • 투자유치단
    • 세정과
  • 스마트혁신산업국
    • 전략산업과
    • 신성장산업과
    • 산업혁신과
  • 안전건설교통국
    • 시민안전과
    • 건설도로과
    • 교통정책과
    • 신교통추진단
    • 하천과
  • 제2부시장
  • 문화체육관광국
    • 문화예술과
    • 체육진흥과
    • 관광과
    • 문화유산육성과
  • 복지여성보건국
    • 사회복지과
    • 여성가족과
    • 보육청소년과
    • 노인장애인과
    • 보건위생과
  • 해양항만수산국
    • 해양정책과
    • 항만물류과
    • 해양사업과
    • 수산과
  • 환경도시국
    • 도시계획과
    • 환경정책과
    • 자원순환과
    • 주택정책과
    • 건축경관과
    • 도시재생과

3.1. 직속기관[편집]



3.2. 휘하 구청[편집]




4. 이용가능한 대중교통[편집]



4.1. 버스[편집]





4.2. 철도[편집]



5. 여담[편집]





[1] 창원시청을 견제하는 창원시의회 또한 시청과 같은 부지를 공유한다.[창] A B C D E F G H [마] A B C D E F G H I J K [진] A B C D E F G H I J K L M N [2] 1952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시의원들에 의한 간접선거로 선출[3] 11대 시장과 동일인물이며, 12대 박영두 시장 재임시절 마산에서 대한민국 역사 상 가장 중요한 사건의 도화선이 된 시위가 발생한다. 이 당시 시위군중이 "인민공화국 만세" 구호를 외쳤다는 허위사실을 유포한게 들통이나 성난 군중들이 시장 사저에 들이닥쳐 집기를 부수는 일이 생긴바 있고, 이 여파로 사임하게 되었으며 사임 후 부정부패 혐의로 구속되었다.[4] 1952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시의원들에 의한 간접선거로 선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