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주 버스 811

덤프버전 :

이 틀과 관련된 토론이 진행 중입니다.
파일:청주시 CI_White.svg
||



파일:811-1 모태안.jpg
파일:811-2 사창.jpg
811-1번811-2번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일 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청주시 CI_White.svg 청주시 시내버스 811-1번
기점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석곡동(석곡사거리)종점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석곡사거리)
첫차05:30막차22:35
평일배차15~35분 (1일 44회)휴일배차20~48분 (1일 35회)
운수사명청신운수인가대수5대
노선석곡사거리 - 충북공고 - 죽림동 - 모태안여성병원 → 개신그린빌아파트 → 복대가경시장 → 산업단지입구 → 사창사거리 → 청주체육관 → 지하상가 → 용두사지철당간 → 육거리시장 → 서원대학교 → 모충동행정복지센터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충북대학교병원 → KBS → 성화개신죽림동행정복지센터 → 성화다안채6단지 → 한전.농협충북본부 → 모태안여성병원 이후 역순

파일:청주시 CI_White.svg 청주시 시내버스 811-2번
기점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석곡동(석곡사거리)종점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석곡사거리)
첫차05:30막차22:30(평일)
22:07(휴일)
평일배차15~48분 (1일 44회)휴일배차20~35분 (1일 35회)
운수사명청신운수인가대수5대
노선석곡사거리 - 충북공고 - 죽림동 - 모태안여성병원 → 성화휴먼시아5단지 → 성화다안채6단지 → 성화개신죽림동행정복지센터 → KBS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모충동행정복지센터 → 서원대학교 → 육거리시장 → 충북도청 → 지하상가 → 청주체육관 → 사창사거리 → 산업단지입구 → 복대가경시장 → 개신그린빌아파트 → 모태안여성병원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청주시시내버스 노선. 석곡사거리에서 출발해, 지하상가를 순환하는 노선이다. 총 운행거리는 811-1번 16.9km, 811-2번 16.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811-1번, 811-2번)


3. 역사[편집]


  • 2006년 개편 전에는 지하상가 - 사직2지구 - 충북대병원 - 충북공고 노선인 560번과 지하상가 - 사창사거리 - 충북대병원 - 충북공고 노선인 561번이 전신이다. 총 4대의[1] 차량으로 운행하였으며, 당시 청주 시내버스의 특성상 2개의 노선이 한번에 운행되었기 때문에 560번은 210번(동부종점-영운동-지하상가), 713번(중앙여중종점-내덕동-지하상가) 노선과 묶였고 561번은 407번(분평단지종점-지하상가)과 묶여 운행하였다. 당시 배차간격은 45회 운행에 약 14~33분 사이 간격이었다.

  • 2005년에 25-1(2)번으로 신설되었으나 2008년, 20-1(2)번 산남지구 연장 이후 811-1(2)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 2017년 10월 15일, 운행시간 현실화를 위해 평일 기준으로 기존 1일 각각 2회씩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 2018년 2월 11일, 노선 변경으로 인한 운행시간 현실화를 위해 평일 기준으로 811-1번은 46회에서 43회로, 811-2번은 45회에서 44회로 운행횟수가 변경되었으며, 성화동 다안채6단지아파트를 경유하도록 노선이 일부 변경되었다.

  • 2019년 11월 9일, 운행시간 부족으로 인해 시간표가 변경되고 1대가 증차되었다.

  • 2021년 1월 1일부터 책임노선제가 시행되며 811-1번은 청신운수, 811-2번은 동양교통이 단독으로 이 노선을 운영하게 되었다.

  • 2021년 3월 정상화에 따라 운행횟수가 복구되었는데, 어째 복구가 된 게 아니라 증차가 된 것인지 코로나 감차 전에는 하루 42회만 운행하던 게 3월 이후로는 무려 51회나 다니게 되었다.

  • 구도심에서 개신지구, 가경3지구를 빠르게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배차간격이 20분인 건 아쉬운 부분이다. 코로나 이전에는 주말 감차 시행으로 40분까지 배차가 벌어졌던 노선이다. 공급을 늘리면 수요가 상당히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노선이지만 51회로 늘어난 배차에도 비어있던 낮 배차만 채운 관계로 체감은 되지 않는다.

  • 2022년 1월 1일, 종점이 학교 앞 정류장(1890/2657)에서 도로 변 정류장(2086/2087)으로 변경되었다.

  • 2023년 5월 5일, 가경아이파크5단지 아파트 주민 편의를 위해 종점이 석곡사거리로 연장되었다.

4. 특징[편집]


  • 811-1번과 811-2번은 서로 역방향 노선이다.

  • 복대로 일부 구간('개신푸르지오아파트~복대삼일아파트')과 구룡산로52번길(성화터널) 구간은 이 노선의 독점 구간이다.[2]



4.1. 시간표[편집]



청주 버스 811-1, 811-2번 시간표
2023년 12월 9일 기준 / 출처
[ 평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811-1811-2
30 4505시30 50
00 25 5006시05 20 45
14 3807시09 33 57
02 26 5008시21 45
14 5009시09 45
26 5010시21 45
14 3811시09 33
14 3712시09 32 55
00 23 4613시18 41
09 32 5514시04 27 50
18 4115시13 36 59
04 27 5016시22 45
13 36 5917시08 31 54
22 4518시17 40
08 31 5419시03 26 49
17 4020시12 35 58
03 26 4921시21 44
12 3522시07 30

[ 휴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811-1811-2
30 5005시30 50
25 5006시05 37
14 3807시09 33 57
26 5008시33
1409시09 45
02 5010시21 57
14 3811시33
1912시09 32
00 23 4613시06 41
20 5514시04 27
18 4115시01 36 59
15 5016시22 56
13 3617시31 54
10 4518시17 51
08 3119시26 49
05 4020시12 46
03 2621시21 44
00 3522시07



4.2. 일 평균 승차량[편집]



파일:청주시 CI_White.svg 청주시 시내버스 811-1번
연도일 평균 승차량전년 대비 변동폭
2016년2062.7
2017년2004.7▽ 58.0
2018년2130.0△ 125.3
2019년1825.0▽ 305.0
2020년1058.0▽ 767.0
2021년1245.0△ 187.0
2022년1465.7△ 220.7
파일:청주시 CI_White.svg 청주시 시내버스 811-2번
연도일 평균 승차량전년 대비 변동폭
2016년2032.3
2017년1992.7▽ 39.6
2018년2119.1△ 126.4
2019년1807.3▽ 311.8
2020년1013.4▽ 793.9
2021년1204.4△ 191.0
2022년1420.1△ 215.7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2:18:59에 나무위키 청주 버스 81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5년 1월 20일 우진교통의 파업 철회 이후 560↔️713번 노선 1대 감차로 5대에서 4대로 운행했다.[2] 특히, 복대동 일부(복대2동 서쪽지역)와 개신동 서쪽 지역은 배차간격에 비해 노선이 매우 빈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