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주 버스 916

덤프버전 :

이 틀과 관련된 토론이 진행 중입니다.
파일:청주시 CI_White.svg
||


파일:청주버스 916-1 상당.jpg파일:916-2 사창.jpg
916-1번.916-2번.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일 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청주시 CI_White.svg 청주시 시내버스 916-1번
기점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분평단지종점)종점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분평단지종점)
첫차05:40막차20:44
22:21(상당공원 종착)
배차 간격85~143분(1일 11회)
운수사명한성운수인가대수3대
노선분평단지종점 - 청주교육대학교 - 육거리시장 - 충북도청 → 지하상가 → 청주체육관 → 사창사거리 → 산업단지입구 → 죽천교 → 서청주우체국 → 솔밭공원 → 외북동 → 엘지로 → 다농엘마트 → 상신동 → 내곡동 → 원평동 → 송절동 → 문암동 → 테크노폴리스지웰푸르지오 → 송천교 → 신봉동 → 내덕시영아파트 → 덕벌초교 → 북부시장 → 청주시청 → 상당공원 → 충북도청 이후 역순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cjmap916re.png
파일:청주시 CI_White.svg 청주시 시내버스 916-2번
기점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분평단지종점)종점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분평단지종점)
첫차05:50(원평동 출발)
06:30
막차19:58
21:35(SK하이닉스.LG화학 종착)
배차 간격81~144분(1일 11회)
운수사명한성운수인가대수3대[1]
노선분평단지종점 - 청주교육대학교 - 육거리시장 - 충북도청 → 상당공원 → 청주시청 → 북부시장 → 덕벌초교 → 내덕시영아파트 → 신봉동 → 송천교 → 테크노폴리스지웰푸르지오 → 문암동 → 송절동 → 원평동 → 상신동 → 내곡동 → 다농엘마트 → 엘지로 → 외북동 → 솔밭공원 → 서청주우체국 → 죽천교 → 산업단지입구 → 사창사거리 → 청주체육관 → 지하상가 → 충북도청 이후 역순

916-1번 중간 종료 정류장
상당공원 22:21

916-2번 중간 출발 정류장
원평동 05:50
916-2번 중간 종료 정류장
SK하이닉스.LG화학 21:35


2. 개요[편집]


청주시시내버스 노선. 분평단지종점에서 출발해, 시내 외곽지역인 문암동 · 원평동 · 상신동 등을 순환하는 노선이다.

총 운행거리는 916-1번, 916-2번 모두 29.7km 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916-1번, 916-2번)


3. 역사[편집]


  • 2013년 12월 1일 개편 당시 상당사거리 - 분평종점 구간을 없애고 비하종점 착발로 전환되었다가 얼마 안가서 다시 분평종점 착발로 변경되었다.[2]

  • 2017년 10월 15일, 운행시간 현실화를 위해 916-1번은 시간표가 변경되었으며, 916-2번은 운행횟수가 기존 1일 14회에서 1일 13회로 변경되었다.

  • 2018년 4월 19일에 두 노선 모두 SK로 경유로 바뀌었으며, 해당 구간의 정류장('남촌', 'SK하이닉스제4공장') 신설과 함께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 2018년 12월 30일, 916-2번 SK로 경유 구간이 916-1번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 2018년 12월 30일, 916-2번은 운행횟수가 기존 1일 13회에서 1일 11회로 변경되었다.

  • 2019년 10월 12일에 두 노선 모두 원평동 벌독정이까지 연장되었고, 운행시간 현실화를 위해 시간표가 조정되었다.

  • 2020년 10월 12일 코로나 특별감차 시행으로 인하여 3대에서 2대로 감차되어 916-1번은 6.5회, 916-2번은 6회 총 12.5회로 감회되었으며 방향별 각각 차량 1대로 전속운행하였다.

  • 2021년 1월 1일 준공영제 실시로 인해 한성운수가 916-1, 2번을 맡아 운행하며, 감차된 차량이 돌아왔고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 2022년 9월 18일 오전 9시부터 청주테크노폴리스 부지 내 개발로 해당 노선이 지나는 내곡로 중 일부가 폐쇄되어, 두 노선 모두 엘지로-송화로-상신로 경로로 우회 운행하며 내곡(1817/1816) 정류장에서 회차하여 운행하고 있다. 버스정보시스템에 우회운행이 반영된 노선도가 적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로가 폐쇄된 이후로는 내곡동(1818/1819), 구.내곡초등학교(1827/1828), 남촌(2344), 에스케이로(1365/1366) 정류장을 지나지 않는다. 대신 다농엘마트 정류장[3]이 버스정보시스템에 등록되었다.

  • 2022년 11월 21일 오전 9시경부터 테크노폴리스 부지 내 개발로 인해 문암동에 있는 문암로 일부가 폐쇄되어 테크노폴리스 주거지구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2023년 4월 15일 오전 9시경부터 테크노폴리스 부지 개발로 인해 문암로가 이설되어 문암동-원평동-내곡동 지역의 운행경로가 일부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다농엘마트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게 되었다.

4. 특징[편집]


  • 시계 방향 노선이 916-1번, 반시계 방향 노선이 916-2번이다.

  • 문암동, 원평동, 상신동, 내곡동 주민들에게 중요한 노선으로, 상신동 LG로에 710번이 정차하게 된 것을 빼면 유일한 버스 노선이다.

  • 한때 해당 노선이 농촌 노선인데도 이례적으로 주말 감차가 적용되었다가 코로나 감차 해제 이후 시행하지 않게되었다.

  • 차량은 3대로 916-1번과 916-2번이 같이 쓰며, 탕수육 게임 방식으로 둘을 번갈아 운행한다.

  • 916-1번과 916-2번이 번갈아서 출발하고 강서2동 연선 지역에서 성안길, 육거리시장 등 원도심을 가는 경우에는 어느 방향으로 가나 거리 손실이 크지 않아서, 강서2동↔원도심 이동 시만큼은 '그래도' 실질적 배차간격이 1시간에 1대 꼴로 좁혀진다. 물론 가는 곳이 원도심이 아니면 답이 없다. 일찍 오는 거 아무거나 타고 나가서 환승하는 게 더 빠를 것이다. 한편 원평종점에서 잠시 정차 후 다시 출발하므로 원평종점을 통과해서 가는 승객의 경우 여기서 시간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 이른 아침이나 퇴근 시간대인 4~5시쯤 상신동에서 하이닉스, 하복대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주 막힌다.

  • 916-1번과 916-2번을 합쳐 보면, 배차간격 1시간 이상 노선 중엔 수요가 비교적 많다.

  • LED 행선판에는 그냥 '분평종점-분평종점'이라고 뜨기 때문에 세부 경유지가 나올 때를 보지 못하고 저것만 보면 대체 분평종점에서 어디를 갔다 온다는 건지 알 수가 없다. 다른 순환노선은 '우진교통-비하순환', '충북공고-지하상가순환' 이런 식으로 뜬다.


4.1. 시간표[편집]



청주 버스 916-1, 916-2번 시간표
2023년 12월 9일 기준 / 출처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916-1916-2
4005시50
06시30
0507시51
5508시
09시45
3110시
11시17
0712시53
3913시
15시17
0216시49
4017시
18시26
1219시58
4420시
21시35
2122시
■ 상당공원 종료 ■ 원평 출발 ■ SK하이닉스.LG화학 종료



4.2. 일 평균 승차량[편집]



파일:청주시 CI_White.svg 청주시 시내버스 916-1번
연도일 평균 승차량전년 대비 변동폭
2016년496.1
2017년464.3▽ 31.8
2018년449.4▽ 14.9
2019년346.1▽ 103.3
2020년145.2▽ 200.9
2021년232.1△ 86.9
2022년276.0△ 43.9
파일:청주시 CI_White.svg 청주시 시내버스 916-2번
연도일 평균 승차량전년 대비 변동폭
2016년483.0
2017년419.3▽ 63.7
2018년467.4△ 48.1
2019년453.4▽ 14.0
2020년153.3▽ 300.1
2021년275.3△ 122.0
2022년348.3△ 73.0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2:19:46에 나무위키 청주 버스 91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916-1번과 차량을 공유한다.[2] 2013년 개편 이전부터 분평종점 착발로 다니고 있었다.[3] 정류장 시설은 만들어졌었으나 경유하는 노선이 없어 한동안 방치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