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넴-보르누 제국

덤프버전 :

카넴-보르누 제국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정치·국가원수마이
민족카누리족 | 투부족
언어카누리어
지리차드 호



카넴-보르누 제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중앙아프리카의 역사
[ 펼치기 · 접기 ]

앙골라적도 기니 · 콩고 · 가봉카메룬 · 중앙아프리카 · 차드[1]
고대부족공동체
중세
~
근대
사오 문명
반투족 소국카넴-보르누 제국유목민족
콩고 왕국소코토
칼리프국
보르누 제국리시족다르푸르 술탄국
마탐바 왕국
은동고 왕국
바기르미 술탄국와다이 술탄국
근대
~
현대
포르투갈령 서아프리카
포르투갈령 앙골라
포르투갈령 기니콩고국제협회
콩고 독립국
독일령 서아프리카
벨기에령 콩고프랑스령 가봉 · 프랑스령 카메룬 · 프랑스령 차드 · 우방기샤리 · 프랑스령 콩고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스페인령 기니
포르투갈령 상투메 프린시페
레오폴드빌 콩고
콩고 전쟁
앙골라 인민 공화국
앙골라 내전

앙골라 공화국
적도 기니
상투메 프린시페
자이르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콩고
공화국
가봉카메룬중앙아프리카공화국차드
[ 각주 펼치기 · 접기 ]
[각주]

[1] 콩고 및 수단 일부 포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33%,#fecb00 33%,#fecb00 66%,#c60c30 3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차드|[[파일:차드 국장.svg|height=40&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차드 관련 문서
جمهورية تشاد
République du Tchad
}}}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카넴-보르누 제국
파일:188px-Kanem_flag_from_dulcerta_1339-pt.svg.png
국기
파일:800px-Kanem-Bornu.svg.png
700 ~ 1893
위치아프리카 중부
수도은지미, 은가자르가무
정치체제군주제
국가원수왕(마이)
공용어아랍어나일사하라어족
국교이슬람교
현재 국가
파일:차드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1. 개요
2. 역사
3. 여담



1. 개요[편집]


중세 시기 지금의 중앙아프리카서아프리카 일부에 걸쳐있었던 제국이었다. 보르누 제국의 영역


2. 역사[편집]


파일:카넴보르누 전사들.jpg
카넴-보르누 제국의 카누리족 전사들.
700년부터 1893년까지 무려 1200년 가까이[1] 지금의 차드 남부 차드 호 일대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국가였으며 전성시 시절에는 카메룬 북부와 리비아페잔, 니제르 남동부, 나이지리아 북동부와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서부를 점령했었다.

엄밀히 따지자면 카넴부의 두구와 왕조(700년-11세기 후반)와 세프와 왕조(11세기 후반-1893년)로 나누어지나 이들을 아울러 부르는 이유는 카넴 제국과 보르누 제국은 별개의 것이 아니고 카넴 제국이 수도 은지미를 잃고 이주한 것이 보르누 제국이기 때문이다.

11세기 말, 12세기 초에는 이슬람을 받아들였으며, 1380년 부터를 보르누 제국이라고 부른다.

특산품들을 수출하여 사하라와 사헬을 드나드는 상인들과의 사하라 종단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해 경제와 국력을 강화시켰다.

카넴 보르누 제국은 마이(국왕) 이드리스 알루마(Idris Alooma 1564~1596년)의 통치 기간 동안, 국력이 정점에 이르렀고 영토가 가장 넓어져서 하우사족들의 땅과 아히르 및 유목민 투아레그족들을 지배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카넴 보르누 제국은 당시 북아프리카를 지배하던 오스만 제국의 영향을 받아 군사 혁신을 단행했는데, 오스만 군대식으로 무장하고 훈련을 받은 기마 소총병과 노예들로 구성된 소총 보병 부대, 사슬 갑옷을 입은 기병 및 보병 부대가 편성되었다. 또한 오스만 제국이 점차 사하라 사막 남쪽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려 하자 카넴 보르누 제국은 모로코의 군주인 아흐마드 알 만수르와 동맹을 맺어 오스만 제국을 함께 견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1800년대에 이르러 부족, 지역 간의 내부갈등과 외세의 침입 등으로 국력이 약화되어 영토는 축소되었고 1892년에는 프랑스 식민제국의 침입으로 망하게 되었고 세프와 왕조의 옛 지역들은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일부가 되었다.

3. 여담[편집]


사하라 사막을 중심으로 거주하는 카누리족이 과거 카넴-보르누 제국의 왕족들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1000여년간 존속한 신라보다 더 오래 유지된 국가다. 종종 신라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군주 국가라 주장하는 이들의 국뽕 논리를 타파하는데 활용되곤 한다. 카넴-보르누 제국 외에도 참파, 덴마크, 로마 제국 등 신라보다 더 오래 지속된 군주 국가도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13:16:20에 나무위키 카넴-보르누 제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기록이 부족하여 그 오랜 기간 국체가 동일했는지는 불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