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티거급 미사일 고속정

덤프버전 :

파일:독일 국기.svg 현대의 독일 연방해군 함정 [[파일:독일 해군기.svg
[ 펼치기 · 접기 ]

독일 연방해군 (1956~현재)
Bundesmarine
잠수함
SSM
202급V/R | 240급R
SS{212CD급} | 212급 | 206급R | 205급R | 201급R
구잠정421 한스 뷔르크너급R | 420 테티스급R
어뢰정 (PT)S149 질버뫼베급R | S142 조벨급R | S141 지아들러급R | S140 야구어급R | S153 페일급V/R | S152 나스티급V/R
미사일 고속정 (FACG)
S148 티거급R | S143A 게파트급R | S143 알바트로스급R
초계함
PCG
K130 브라운슈바이크급
호위함
FFF121 프리가트 70급 | F120 쾰른급R
FFG
{F127급} | {F126급} | F125 바덴-뷔르템베르크급 | F124 작센급 | F123 브란덴부르크급 | F122 브레멘급R
구축함
DDZ101 함부르크급R | Z119 체르슈퇴러 1급R
DDG
Z103 뤼첸스급R
기뢰전함
기뢰함 (MLS)
370급R
소해함 (MSH)
352 엔스도르프급 | 351 울름급R | 343 하멜른급R | 341 스콜피온급R | 340 크레브스급R | 362급R | 369급R | 368급R | 359 슈츠급R | 319급R
연안 소해함 (MSC)
321 페게자크급R | 320 린다우급R
기뢰 탐색함 (MCM)
333 쿨름바흐급R | 332 프랑켄탈급 | 331 풀다급R | 339급R
수로 소해함 (MSI)
394 프라우엔롭급 | 393 아리아드네급R | 392 한자급R | 391 니오베급R | 390 호니스급R
상륙함
LSD
555급R
LSM
551급R | 550급R | 502급R
상륙정
LCM
521급R | 520 바르베급R
지원함
수송함 (AP)
762 작센발트급R | 764급R | 760 베스터발트급R
모함404 엘베급 | 403 란급(AS)R | 402 모젤급R | 401 라인급(AGP)R | 419 오스트급R
급유함 (AO)
{707급} | 704 뢴급 | 703 발첸제급R | 702 베를린급 | 701 뤼네부르크급R
급탄함 (AE)
706 슈바르츠발트급R
수리함 (AR)
708급R
청수함 (AW)
705급R
어뢰 회수정 (AVR)
430급R | 439급R | 438급R
해상 크레인 (YD)
711 히에프급 | 719 멤메르트급R
정보 수집함 (AGS)
{424급} | 423 오스테급 | 422급R
지원정725 노드스트란트급(YTB) | 724 쥘트급(YTB) | 723 뤼체 호른급(YTL)R
예인선 (AT)722 방어루그급 | 720 헬골란트급R | 729 파사트급R
다목적함748 슈베데넥급 | 745 스톨러그룬트급
훈련함{442급} | 441 고르히 포크 | 440 도이칠란트R | 138급R (블랙 스완급/헌트급) | 241 빌헬름 바우어R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V: 시험평가용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개발 취소 함선




파일:LM-37-ex-P6154-S54-Elster-002.jpg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퇴역
5. 수출
6. 동형함 목록
7. 미디어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독일 해군이 최초로 운용한 미사일 고속정.


2. 제원[편집]


티거급 미사일 고속정
Tiger-Klasse Flugkörperschnellboote
함종미사일 고속정
이전급조벨급
다음급알바트로스급
만재배수량265톤
전장47m
전폭7m
흘수선2.7m
기관MTU MD 16V 538 TB90 터보 디젤 엔진 × 4
최대 속도36노트
항속거리15노트 순항시 1,600해리
레이더SMA 3 RM 20 항법 레이더
WM27 수색 및 사격 통제 레이더
무장함포오토멜라라 76mm 함포 1문
보포스 40mm 포 1문
미사일MM38 엑조세 대함 미사일 × 4
대잠기뢰 × 8


3. 상세[편집]


대함 미사일이 등장함에 따라, 재규어급 고속정의 후속 함정으로 독일의 뤼르센과 프랑스 CMN이 공동 개발한 라 콤바탕트 IIA형 고속정의 설계를 기반으로 티거급 미사일 고속정을 건조하게 되었다.


4. 퇴역[편집]


1990년대 말부터 퇴역하여 1,3,9,13,20번함은 칠레 해군에, 2,4,5,7,11,12번함은 그리스 해군에, 6,8,15,16,17번함은 이집트 해군에 매각 하였다.


5. 수출[편집]


퇴역 함선의 매각 이외에 말레이시아 해군에도 페르다나급 고속정이라는 티거급 기반의 함선이 건조되었다.


6. 동형함 목록[편집]


함명은 동물의 이름에서 따왔다.

독일 연방해군
나토 번호함번함명취역일퇴역일상태
1P6141S41FGS[1] 티거 (Tiger)1972년 10월 30일1998년 9월 24일퇴역
2P6142S42FGS 일티스 (Iltis)1973년 1월 8일1992년 10월 15일
3P6143S43FGS 룩스 (Luchs)1973년 4월 9일1998년 8월 27일
4P6144S44FGS 마르더 (Marder)1973년 7월 14일1994년 5월 25일
5P6145S45FGS 레오파르트 (Leopard)1973년 8월 21일2000년 9월 28일
6P6146S46FGS 푹스 (Fuchs)1973년 10월 17일2002년 12월 19일
7P6147S47FGS 야구아 (Jaguar)1973년 11월 13일2000년 9월 28일
8P6148S48FGS 루브 (Löwe)1974년 1월 9일2002년 12월 19일
9P6149S49FGS 볼프 (Wolf)1974년 2월 26일1997년 8월 27일
10P6150S50FGS 판터 (Panther)1974년 3월 27일2002년 9월 29일
11P6151S51FGS 헤아 (Häher)1974년 6월 12일1994년 6월 23일
12P6152S52FGS 스토쉬 (Storch)1974년 7월 17일1992년 11월 12일
13P6153S53FGS 필리칸 (Pelikan)1974년 9월 24일1998년 6월 25일
14P6154S54FGS 엘스터 (Elster)1974년 11월 14일1997년 8월 27일
15P6155S55FGS 알크 (Alk)1975년 1월 7일2002년 5월 13일
16P6156S56FGS 돔멜 (Dommel)1975년 2월 12일2002년 12월 19일
17P6157S57FGS 와이허 (Weihe)1975년 4월 3일2002년 12월 19일
18P6158S58FGS 펭귄 (Pinguin)1975년 5월 22일2002년 6월 28일
19P6159S59FGS 라이허 (Reiher)1975년 6월 24일2002년 9월 27일
20P6160S60FGS 크라니쉬 (Kranich)1975년 8월 6일1998년 9월 24일


7. 미디어[편집]


파일:S41_Tiger_(Type_148).jpg

모던 워쉽에서 1번함 티거함이 1티어 고속정으로 등장한다.
엄청난 선회력과 기동성, 준수한 딜량이 특징이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칠레해군기.png 현대의 칠레 해군 함정 파일:칠레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오브라이언급R, 톰슨급, 오히긴스급
고속정우리베급R, 이키케급R, 카스마급, 그루메테 디아즈급
원양초계함필로토 파르도급, 타이타오급, 프로텍터급
호위함알미란테 라토레급(1986)R, 콘델급R, 알미란테 윌리엄스급, 알미란테 코크란급, 알미란테 블랑코 엔칼라다급, 알미란테 라토레급
구축함블랑코 엔칼라다급R, 알미란테 린치급R, 세라노급R, 알미란테급R, 오렐라급R, 캐피탄 프랫급R
순양함오히긴스급R, 알미란테 라토레급(1971)R
전함알미란테 라토레급(1920)R
상륙함LPD사젠토 알데아급, {Escotillón IV}
LST마이포급
LSM오롬펠로급
군수지원함아라우카노급, 알미란테 몬트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해상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5:00:53에 나무위키 티거급 미사일 고속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Federal German Ship. 원래 독일은 1차대전 이후로 선박 접두어를 사용하지 않으나, NATO에서 국가별 해군 함선을 구별하기 위해 지정한 접두어를 사용.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