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페리노 M1908

덤프버전 :

M1908
Perino Model 1908
페리노 M1908
파일:1143563c574f8393cd4aeb8d1acf6b5a.png
파일:xytcymrp79d11.jpg
종류중기관총
원산지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펼치기 · 접기】
이력
역사1908년~1918년
개발주세페 페리노
개발년도1901년~1914년
생산Fabbrica d'Armi di Terni
생산년도1908년으로 추정~1918년으로 추정
생산수약 150정
사용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
사용된 전쟁제1차 세계 대전
기종
파생형페리노 M1910
세부사항
탄약6.5×52mm 카르카노
급탄20×6발들이 보탄판
작동방식롱 리코일
오픈 볼트
총열길이625mm
전장1,125mm
중량83kg (냉각수, 삼각대, 탄약 전부 포함)
56kg (삼각대 포함)
27kg (총기 자체)
15kg (페리노 M1910)
발사속도450RPM
탄속700m/s
유효사거리2,000m
[1] 비공식적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노획해서 운용한 적이 있었다.
1. 개요
2. 상세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작동 방식 영상

이탈리아 왕국군1차대전 당시 사용했던 중기관총.


2. 상세[편집]


이탈리아의 기병대장인 주세페 페리노가 개발하였으며 이탈리아군이 사용한 최초의 기관총이었다.

1903년부터 1906년까지 맥심 기관총베르크만 기관총[1]과 함께 실험을 치렀으나, 대규모 채용에 이르지 못하고 피아트-레벨리 M1914 기관총에 밀려났다.

총에 고정된 탄통에 탄띠 대신 보탄판을 여러 개 쌓아 두면 기관총이 사격하면서 알아서 이를 끌어넣어 지속사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이는 타 국가의 탄창이나 탄띠를 사용하는 기관총들과 달리, 부사수가 탄통에 보탄판을 계속 쌓아주기만 하면 번거로운 재장전을 거칠 필요 없이 지속사격이 가능하다는 강력한 장점이 되었다. 발사되고 남은 탄피도 보탄판에 다시 끼워진 상태로 배출되었는데, 이는 탄피를 재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기능을 함과 동시에 진격하는 보병들이 배출된 탄피를 밟고 미끄러지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는 독특한 의도가 있었다. 이 특징은 후대에 만들어지는 보탄판식 기관총인 브레다 M37에게 그대로 계승이 된다.

무게는 27kg으로 일반 중기관총 중에서도 무거운 편이었으며 1910년에는 15kg 정도로 경량화시킨 모델인 M1910이 등장했다. 안타깝게도 페리노의 기관총은 이탈리아군에서 극비 병기 취급되어 전선에 나설 수 없었기에 실전을 치르지 못해 개발이 심각하게 제한되었고, 피아트-레벨리 M1914가 곧바고 대량생산에 들어갈 수 있었기에 제식 채용되어 페리노 기관총은 2선급 기관총으로 극소수만이 사용되었다.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편집]


배틀필드 1의 In the Name of the Tsar DLC에서 보급병의 장비로 등장한다. 특유의 장전 방식 및 사격시 클립이 빠져나가면서 탄통에 남은 클립이 기울어지는 것이 잘 구현되었다. 또한 빠져 나가는 탄클립을 잘 보면 깨알같이 클립에 탄피가 그대로 붙은체 빠져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4. 둘러보기[편집]


제1차 세계 대전기의 연합군 보병장비
[ 펼치기 · 접기 ]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군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리-메트포드, 리-네이비, 리-엔필드, P14, M1917 엔필드, 크로파첵 M1884, 르벨 M1886, 베르티에, K11, 베테를리 M1870/87, M1870/87/15, 모신나강, 베르단, 그라, 무라타, 카르카노, 크라그-에르겐센, 마우저 M1889, 마우저 M1893, 로스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레버액션 / 폴링ㆍ롤링ㆍ리프팅블록 / 트랩도어스나이더 Mk.III, 레밍턴 롤링블럭, 크른카 M1867, 스프링필드 M1873,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86, 윈체스터 M1892, 윈체스터 M1894, 윈체스터 M1895, 새비지 M99D
반자동레밍턴 모델 8, M1907 SL, 뫼니에 M1916, RSC M1917, RSC 1918, M1903 Mk 1, 브리티쉬 1918 파콰르-힐, 류장군 소총E
자동리베롤 1918E, 윈체스터 버튼 1917E, M1907/17, 체이-리고티E, 표도로프, M1918 브라우닝
기관단총MAB 18, OVP 1918, 쇼샤-리베롤 기관단총E
산탄총M1897, M1912, 레밍턴 모델 11, 레밍턴 M10, 셰그렌 산탄총, 스티븐스 M520
권총리볼버콜트 M1873, 웨블리, MAS 1873, 보데오 M1889, S&W M10, 웨블리-포스베리E, 콜트 M1901, Mle 1892, 26년식 권총, 나강 M1895, S&W M3, S&W 트리플 락, 콜트 M1909, M1917
자동권총C96, 마스E, FN M1900, FN M1903, 콜트 M1903, 새비지 M1907, FN M1910, 웨블리 권총, 리센티 M1910, M1911, 루비, 스타 M1914, 베레타 M1915/17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마드센 M1902, 루이스, 호치키스 M1909, CSRG M1915, 휴오트E
중기관총가드너, 맥심, M1895/14 콜트-브라우닝, 빅커스, 호치키스, 생테티엔 M1907, 38식 기관총, 3년식 기관총, 페리노 M1908, 피아트-레벨리 M1914, 빌라르-페로사 M15, M1917 브라우닝
박격포2인치 중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유탄발사기마티니 유탄발사기
유탄No.1 수류탄, No.2 수류탄, 밀즈 수류탄, RG-14, F-1, Mk.1, Mk.2, Mk.3, 비방-베시에
경야포빅커스 Q.F. Gun, Mk II, 37mm Mle 1916 보병포
냉병기도검구군도, M1902 세이버, U.S M1917 트렌치 나이프, U.S M1918 Mark I 트렌치 나이프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1] 1차대전 당시에 쓰인 경기관총의 원형인 중기관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