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푸저우시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자로 무주인 중국 장시성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푸저우시(장시성) 문서
푸저우시(장시성)번 문단을
푸저우시(장시성)#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복주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옛 명칭이 복주인 한국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안동시 문서
안동시번 문단을
안동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9
현급행정구
시할구 31, 현급시 11, 42
샤먼시
厦门市
쓰밍구
思明区
하이창구
海沧区
후리구
湖里区
지메이구
集美区
퉁안구
同安区
샹안구
翔安区
푸저우시
성도
福州市
구러우구
鼓楼区
타이장구
台江区
창산구
仓山区
마웨이구
马尾区
진안구
晋安区
창러구[2]
长乐区
푸칭시
福清市
민허우현
闽侯县
롄장현[2]
连江县
뤄위안현
罗源县
민칭현
闽清县
융타이현
永泰县
핑탄현[1]
平潭县
푸톈시
莆田市
청샹구
城厢区
한장구
涵江区
리청구
荔城区
슈위구[2]
秀屿区
셴유현
仙游县
싼밍시
三明市
싼위안구
三元区
사셴구
沙县区
융안시
永安市
밍시현
明溪县
칭류현
清流县
닝화현
宁化县
다톈현
大田县
유시현
尤溪县
장러현
将乐县
타이닝현
泰宁县
젠닝현
建宁县
취안저우시
泉州市
펑쩌구
丰泽区
리청구
鲤城区
뤄장구
洛江区
취안강구
泉港区
스스시
石狮市
진장시
晋江市
난안시
南安市
후이안현
惠安县
안시현
安溪县
융춘현
永春县
더화현
德化县
진먼현[2]
金门县
장저우시
漳州市
샹청구
芗城区
룽원구
龙文区
룽하이구[2]
龙海区
창타이구
长泰区
윈샤오현
云霄县
장푸현
漳浦县
자오안현
诏安县
둥산현
东山县
난징현
南靖县
핑허현
平和县
화안현
华安县
난핑시
南平市
젠양구
建阳区
옌핑구
延平区
사오우시
邵武市
우이산시
武夷山市
젠어우시
建瓯市
순창현
顺昌县
푸청현
浦城县
광쩌현
光泽县
쑹시현
松溪县
정허현
政和县
룽옌시
龙岩市
신뤄구
新罗区
융딩구
永定区
장핑시
漳平市
창팅현
长汀县
상항현
上杭县
우핑현
武平县
롄청현
连城县
닝더시
宁德市
자오청구
蕉城区
푸안시
福安市
푸딩시
福鼎市
샤푸현
霞浦县
구톈현
古田县
핑난현
屏南县
서우닝현
寿宁县
저우닝현
周宁县
저룽현
柘荣县
[1] 핑탄현은 실질적으로 푸젠성 핑탄종합실험구가 관리하고 있다.
[2] 취안저우시진먼현, 푸저우시 롄장현마쭈향, 창러구의 둥취안섬, 시취안섬, 푸톈시 슈위구 메이저우진의 우추섬, 장저우시 룽하이구의 둥딩섬중화민국실효 지배를 하고 있다.
부성급행정구 부성급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의 성도
푸저우시
福州(Fúzhōu(Shì | 福州市(Hók-ciŭ-chê
Fuzhou City
시정부 소재지푸젠성 푸저우시 구러우구 우산루96호
福建省福州市鼓楼区乌山路96号
지역화둥
면적12,231.9km²
하위 행정구역6구 1현급시 6현
시간대UTC+8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8,291,268명 (2020)
인구밀도678명/km²
HDI0.785 (2016)
서기린바오진(林宝金)
시장우젠더(吴贤德)
GRDP전체$1,137억 200만 (2018)
1인당$15,419 (2018)
상징시화자스민
시목반얀
차량번호闽A, 闽K[1]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350100
지역전화번호0591
우편번호350000
ISO 3166-2CN-FJ-01

[1] 闽K는 핑탄현에 한해 쓰인다.
홈페이지
파일:푸저우 중국.jpg
867년 건설된 서선사(西禅寺)와 시가지
파일:중국 푸저우.jpg
민장강과 타이장구의 마천루들
1. 개요
2. 역사
3. 휘하 행정구역
3.1. 시할구
3.2. 현급시
3.3. 현
4. 교통
5. 여담
6. 출신인물



1. 개요[편집]


중국 동남부 푸젠성지급시이자, 푸젠성성도.[1] 인구는 765만 명이다. 시가지 자체만 무려 450만명이 거주하며, 강을 따라 마천루가 즐비하여 아름다운 야경을 자랑한다. 한자 독음은 복주로, 복건 지방의 '복'에 해당한다.

얼핏 보면 항구도시로 착각하기 쉽지만 민장 강 하류에 위치해 있으며, 강북의 구도심과 하중도의 신도심이 7개의 다리로 연결된 구조이다. 현재는 강 하구를 가로지르는 다리들 때문에 큰 배가 드나들지 못하지만, 여러 하중도를 중심으로 여러 부두가 설치되어 있다. 대략적인 위치는 원저우취안저우/샤먼 의 사이에 있고, 대략 100km 정도씩 떨어져 있다.

여담으로, 같은 푸젠성 소속도시인 샤먼부성급시인데, 푸저우는 성도인데도 그냥 지급시이다. 실제 인구나 경제규모로도 푸저우가 그냥 밀린다. 다만 역사성으로는 푸저우가 압도적이다. 5-10세기에 세워진 사찰이 많으며, 그중 화린사는 송대의 건축물이 남아있는 몇 안되는 장소이다. 19세기 중반에는 현지의 유럽인 공동체가 세운 성당들도 남아있다. 푸저우시 롄장현마쭈 열도중화민국이 실효지배중이다. 중국판 서해 5도라고 볼 수 있다.


2. 역사[편집]


파일:중국 푸저우 1.jpg
송대인 964년에 세워진 화림사의 금당. 남중국 최고의 건물이다.

도시는 최초의 통일 제국인 진나라 때에 민중(閩中)군에 속했다가 기원전 202년에 한나라에 의해 야(冶)라는 이름으로 건설되었다. 푸저우라는 이름은 당나라 대인 725년에 붙여졌고 오대십국 시대에 푸저우는 민나라(閩 893 ~ 945년)의 수도였다. 당송 대에 여러 불교 사원들이 지어졌는데 동시에 유학도 흥하여 주희가 머물기도 하였다. 명나라 대에는 당시 쇠퇴해 가던 남쪽의 취안저우를 대신한 무역항으로 기능하였다. 정화의 대원정 함대가 출항한 곳도 바로 푸저우였고 1842년의 난징 조약에서 청나라가 서구에게 개방한 5개의 항구 중 하나였다. 청말의 흠차대신 임칙서가 이곳 출신이다.

1933년부터 1934년까지 잠시동안 건설되었던 사회주의 국가인 중화공화국(中华共和国)[2]의 수도이기도 하였다.

3. 휘하 행정구역[편집]



3.1. 시할구[편집]




3.2. 현급시[편집]




3.3. 현[편집]




4. 교통[편집]


푸저우 창러 국제공항이 존재한다. 그러나 해당 공항은 대한민국에는 제주국제공항과만 연결되어 있어서 제주도 거주자가 아닌 사람이 푸저우에 가려면 샤먼을 거쳐서 가야만 한다. 그 외에는 푸저우 지하철이 2개 노선으로 개통되어 있는 상태이다. 사실 한국인들 입장에서 푸저우는 푸젠성의 샤먼이나 푸젠성 내부 객가인들 거주지와는 다르게 성도인 것 빼면 딱히 놀게 없는 도시이기는 하다.
철로로는푸저우역푸저우난역이 있다.

5. 여담[편집]


타이완에 있는 푸저우역과는 이름의 발음이 같은 동명이역이다. 푸저우에서 타이완 섬까지 직선 거리로 200km 가량 떨어져 있다. 또한 대만 치하인 난간 섬(중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으로는 같은 푸저우에 속한다.)으로 가는 배도 있다.

푸젠성의 푸가 이 도시이다. 젠은 현재 싼밍시에 속하는 젠닝현(建寧縣).


6. 출신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분류:푸저우시 출신 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7:02:15에 나무위키 푸저우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푸젠성최대도시경제특구 지역인 샤먼시이다.[2]중화인민공화국의 전신인 중화소비에트공화국과는 다른 국가다. 설립주체 역시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은 중국공산당이 주체지만 이 중화공화국은 생산인민당(生产人民党)이 주체였다. 다만 같은 사회주의 국가였고 서로 국경을 마주하였기에 영향를 많이 주고받기는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