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메이지 시대
이토 (1)구로다산조 잠정야마가타 (1)마쓰카타 (1)
이토 (2)마쓰카타 (2)이토 (3)오쿠마 (1)야마가타 (2)
이토 (4)가쓰라 (1)사이온지 (1)가쓰라 (2)사이온지 (2)
다이쇼 시대
가쓰라 (3)야마모토 (1)오쿠마 (2)데라우치하라
다카하시가토 도모사부로야마모토 (2)기요우라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 (1)
ta-hash-start=w-aa40d567c94a14b2e9c126c1b043457d'''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전'''
다나카 기이치하마구치와카쓰키 (2)이누카이사이토
오카다히로다하야시고노에 (1)하라누마
아베 노부유키요나이고노에 (2)고노에 (3)도조
고이소스즈키 간타로히가시쿠니노미야시데하라요시다 (1)
(개, 개헌 전) / (개, 개헌 후)
ta-hash-start=w-8c203562649c8b57b30f64b549b688f8'''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후'''
가타야마아시다요시다 (2)요시다 (3)
(1개, 2개, 3개)
요시다 (4)
요시다 (5)하토야마 이치로 (1)하토야마 이치로 (2)하토야마 이치로 (3)이시바시
기시 (1) (개)기시 (2) (개)이케다 (1)이케다 (2)
(1개, 2개, 3개)
이케다 (3) (개)
사토 (1)
(1개, 2개, 3개)
사토 (2)
(1개, 2개)
사토 (3) (개)다나카 가쿠에이 (1)다나카 가쿠에이 (2)
(1개, 2개)
미키 (개)후쿠다 다케오 (개)오히라 (1)오히라 (2)스즈키 젠코 (개)
나카소네 (1)나카소네 (2)
(1개, 2개)
나카소네 (3)다케시타 (개)
헤이세이 시대
우노가이후 (1)가이후 (2) (개)미야자와 (개)호소카와
하타무라야마 (개)하시모토 (1)하시모토 (2) (개)오부치
(1개, 2개)
모리 (1)모리 (2)
(개, 개편 전) / (개, 개편 후)
고이즈미 (1)
(1개, 2개)
고이즈미 (2) (개)고이즈미 (3) (개)
아베 신조 (1) (개)후쿠다 야스오 (개)아소하토야마 유키오
(1개, 2개)
노다
(1개, 2개, 3개)
아베 신조 (2) (개)아베 신조 (3)
(1개, 2개, 3개)
아베 신조 (4)
(1개)
레이와 시대
아베 신조 (4)
(2개)
스가기시다 (1)기시다 (2)
(1개, 2개)
* 총리 성명 옆 (1, 2...) 표시는 총리의 중임으로 조성된 내각의 회차를 말한다.
* (개), (1개, 2개...) 표시는 총리가 국무대신 (장관)의 교체를 목적으로 다시 조성한 개조내각을 말한다.




헤이세이 시대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鳩山由紀夫内閣 | Hatoyama Yukio Cabinet
2009년 9월 16일 ~ 2010년 6월 8일
출범 이전이후
아소 내각간 내각
||
내각총리대신하토야마 유키오 / 제93대 (제7대 민주당 대표, 제38~45대 중의원 의원)
부총리간 나오토 / (제79대 후생대신, 제13대 재무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국가전략국 담당), 제36~45대 중의원 의원)
여당

연립여당




파일:하토야마 유키오 내각.jpg
▲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출범 기념사진

1. 개요
2. 상세
3. 국회 총리 지명 선거
4. 각료 목록


1. 개요[편집]


일본 역사상 처음으로 단독 정당에 의한 수평적 정권교체를 성공시키고 출범한 내각. 여러 정치적 문제로 단명했다. 조부 하토야마 이치로의 내각과 구별[1]하기 위해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이라 부른다.


2. 상세[편집]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을 앞두고 자민당을 압승할 것이라는 여론조사가 나오고, 참의원에서는 당시 제1당을 차지했으나 자민당과 의석수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사민당, 국민신당과 연립을 고려하고 있었다.

그리고 제45회 총선에서 압승을 하고, 3당이 연정에 대한 구성을 가졌다. 후텐마 미군기지 이전 정책을 두고 갈등이 있었다. 사민당이 미일안보조약 개정과 이전 부지 검토 요구 끝에 민주당이 일단 수용했다. 9월 9일. 3당 연립정부 합의 문서를 서명했다.

3. 국회 총리 지명 선거[편집]


  • 참의원 득표수는 회파별 득표수 결과로, 실제 소속 정당의 득표수와 다를 수도 있음.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중의원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토야마 유키오327표[2]1위


68.1%지명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카바야시 마사토시119표[3]2위


24.8%낙선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야마구치 나쓰오21표[4]3위


4.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이 가즈오9표[5]4위


1.9%낙선
히라누마 다케오4표[6]5위

무소속

0.8%낙선
총 투표수480표과반
240표
유효표480표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참의원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토야마 유키오124표[7]1위


51.2%지명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카바야시 마사토시84표[8]2위


34.7%낙선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야마구치 나쓰오21표[9]3위


8.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이 가즈오7표[10]4위


2.9%낙선
총 투표수237표과반
118표
유효표236표


4. 각료 목록[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7:47:53에 나무위키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마찬가지로 후쿠다 야스오 내각후쿠다 야스오의 부친 후쿠다 다케오의 내각과 구별하기 위해 후쿠다 부자(父子)의 내각은 모두 성씨와 이름까지 붙여서 쓴다.[2] 민주당 308표, 사회민주당 7표, 모두의 당 5표, 국민신당 3표, 신당일본 1표, 신당대지 1표, 의장 1표, 무소속 2표[3] 자유민주당 118표, 부의장 1표[4] 공명당 21표[5] 일본공산당 9표[6] 무소속(국익과 국민의 생활을 지키는 모임) 3표, 무소속 1표[7] 민주당·신록풍회 117표, 사회민주당 5표, 무소속 2표[8] 자유민주당 84표[9] 공명당 21표[10] 일본공산당 7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