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소 내각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메이지 시대
이토 (1)구로다산조 잠정야마가타 (1)마쓰카타 (1)
이토 (2)마쓰카타 (2)이토 (3)오쿠마 (1)야마가타 (2)
이토 (4)가쓰라 (1)사이온지 (1)가쓰라 (2)사이온지 (2)
다이쇼 시대
가쓰라 (3)야마모토 (1)오쿠마 (2)데라우치하라
다카하시가토 도모사부로야마모토 (2)기요우라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 (1)
ta-hash-start=w-a39ff1fdae1147076e02047ae82a19fc'''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전'''
다나카 기이치하마구치와카쓰키 (2)이누카이사이토
오카다히로다하야시고노에 (1)하라누마
아베 노부유키요나이고노에 (2)고노에 (3)도조
고이소스즈키 간타로히가시쿠니노미야시데하라요시다 (1)
(개, 개헌 전) / (개, 개헌 후)
ta-hash-start=w-2517e55b4bfe200e1e2c7dfd27e8fd5f'''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후'''
가타야마아시다요시다 (2)요시다 (3)
(1개, 2개, 3개)
요시다 (4)
요시다 (5)하토야마 이치로 (1)하토야마 이치로 (2)하토야마 이치로 (3)이시바시
기시 (1) (개)기시 (2) (개)이케다 (1)이케다 (2)
(1개, 2개, 3개)
이케다 (3) (개)
사토 (1)
(1개, 2개, 3개)
사토 (2)
(1개, 2개)
사토 (3) (개)다나카 가쿠에이 (1)다나카 가쿠에이 (2)
(1개, 2개)
미키 (개)후쿠다 다케오 (개)오히라 (1)오히라 (2)스즈키 젠코 (개)
나카소네 (1)나카소네 (2)
(1개, 2개)
나카소네 (3)다케시타 (개)
헤이세이 시대
우노가이후 (1)가이후 (2) (개)미야자와 (개)호소카와
하타무라야마 (개)하시모토 (1)하시모토 (2) (개)오부치
(1개, 2개)
모리 (1)모리 (2)
(개, 개편 전) / (개, 개편 후)
고이즈미 (1)
(1개, 2개)
고이즈미 (2) (개)고이즈미 (3) (개)
아베 신조 (1) (개)후쿠다 야스오 (개)아소하토야마 유키오
(1개, 2개)
노다
(1개, 2개, 3개)
아베 신조 (2) (개)아베 신조 (3)
(1개, 2개, 3개)
아베 신조 (4)
(1개)
레이와 시대
아베 신조 (4)
(2개)
스가기시다 (1)기시다 (2)
(1개, 2개)
* 총리 성명 옆 (1, 2...) 표시는 총리의 중임으로 조성된 내각의 회차를 말한다.
* (개), (1개, 2개...) 표시는 총리가 국무대신 (장관)의 교체를 목적으로 다시 조성한 개조내각을 말한다.




헤이세이 시대
아소 내각

麻生内閣 | Aso Cabinet
2008년 9월 24일 ~ 2009년 9월 16일
출범 이전출범 이후
후쿠다 야스오 내각
(개조내각)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
내각총리대신아소 다로 / 제92대 (제23대 자유민주당 총재, 제35·36·38~44대 중의원 의원)
여당

연립여당

중의원 해산일2009년 7월 21일

파일:아소 내각.jpg
▲ 아소 내각 출범 기념사진

1. 개요
2. 상세
3. 국회 총리 지명 선거
4. 각료 명단




1. 개요[편집]


중의원 의원이자 제23대 자유민주당 총재 아소 다로가 제92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어 구성된 일본의 내각이다.


2. 상세[편집]


중의원참의원이 지명하는 내각총리대신과 달리 당시 열린 제170회 국회에서 중의원은 내각총리대신에 아소 다로 자유민주당 총재를 지명했고, 참의원은 내각총리대신에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대표를 지명했다. 양원은 협의회를 열어 합의를 시도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고 결국 중의원의 권한 중 하나인 '우선적 총리 인선권'에 따라 아소 다로 자유민주당 총재가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었다.

이후 2009년 7월 21일 중의원을 해산하고 8월 30일 열린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이 과반수 의석을 차지하자 9월 16일 내각 총사퇴를 결의하고 해산하였다.


3. 국회 총리 지명 선거[편집]


  • 참의원 득표수는 회파별 득표수 결과로, 실제 소속 정당의 득표수와 다를 수도 있음.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중의원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소 다로337표[1]1위


70.3%지명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자와 이치로117표[2]2위


24.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이 가즈오9표[3]3위


1.9%낙선
파일:일본 국민신당 로고.svg와타누키 다미스케7표[4]4위


1.5%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후쿠시마 미즈호7표[5]4위


1.5%낙선
히라누마 다케오1표[6]5위

무소속

0.2%낙선
총 투표수478표과반
239표
유효표478표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참의원 1차 투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자와 이치로120표[7]1위


50.0%결선 진출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소 다로108표[8]2위


45.0%결선 진출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이 가즈오7표[9]3위


2.9%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후쿠시마 미즈호5표[10]4위


2.1%낙선
총 투표수240표과반
121표
유효표240표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참의원 결선 투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자와 이치로125표[11]1위


53.6%지명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소 다로108표[12]2위


46.4%낙선
총 투표수233표
유효표233표



4. 각료 명단[편집]


직책성명소속특명 담당비고
내각총리대신아소 다로자유민주당 (아소파)자유민주당 총재
총무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지방분권개혁담당)
하토야마 구니오중의원 / 자유민주당 (츠시마파)2009년 6월 12일 사임
사토 쓰토무중의원 / 자유민주당 (고가파)2009년 6월 12일 임명
법무대신모리 에이스케중의원 / 자유민주당 (아소파)
외무대신나카소네 히로후미참의원 / 자유민주당 (이부키파)
재무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금융담당)
나카가와 쇼이치중의원 / 자유민주당 (이부키파)2009년 2월 17일 사임
요사노 가오루중의원 / 자유민주당 (무파벌)2009년 2월 17일 임명
문부과학대신시오노야 류중의원 / 자유민주당 (마치무라파)국립국회도서관 연락조정위원
후생노동대신마스조에 요이치참의원 / 자유민주당 (무파벌)연임
농림수산대신이시바 시게루중의원 / 자유민주당 (츠시마파)
경제산업대신니카이 도시히로중의원 / 자유민주당 (새로운 파도)연임
국토교통대신나카야마 나리아키중의원 / 자유민주당 (마치무라파)2008년 9월 28일 사임
가와무라 다케오중의원 / 자유민주당 (고가파)2008년 9월 28일 임명
2008년 9월 29일 사임
가네코 가즈요시2008년 9월 29일 임명
환경대신사이토 데쓰오중의원 / 공명당연임
방위대신하마다 야스카즈중의원 / 자유민주당 (무파벌)
내각관방장관가와무라 다케오중의원 / 자유민주당 (이부키파)납치문제 담당
국가공안위원장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담당)
(방재담당)
사토 쓰토무중의원 / 자유민주당 (고가파)2009년 7월 2일 사임
하야시 모토오중의원 / 자유민주당 (야마자키파)2009년 7월 2일 임명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경제, 재정정책담당)
요사노 가오루중의원 / 자유민주당 (무파벌)2009년 7월 2일 면직
하야시 요시마사참의원 / 자유민주당 (고가파)2009년 7월 2일 임명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규제개혁담당)
아마리 아키라중의원 / 자유민주당 (야마자키파)행정개혁 담당
공무원제도 개혁담당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과학기술정책 담당)
(식품안전 담당)
(소비자 담당)
노다 세이코중의원 / 자유민주당 (무파벌)소비자 행정 추진 담당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저출산대책 담당)
(양성평등 담당)
오부치 유코중의원 / 자유민주당 (츠시마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0:53:52에 나무위키 아소 내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자유민주당 303표, 공명당 31표, 의장 1표, 무소속 2표[2] 민주당·무소속 클럽 113표, 부의장 1표, 무소속 3표[3] 일본공산당 9표[4] 국민신당·신당대지·무소속회 7표[5] 사회민주당·시민연합 7표[6] 무소속(국익과 국민의 생활을 지키는 모임) 1표[7] 민주당·신록풍회·국민신당·신당일본 118표, 무소속 2표[8] 자유민주당 83표, 공명당 21표, 신당 개혁 4표[9] 일본공산당 7표[10] 사회민주당·호헌연합 5표[11] 민주당·신록풍회·국민신당·신당일본 118표, 사회민주당·호헌연합 5표, 무소속 2표[12] 자유민주당 83표, 공명당 21표, 신당 개혁 4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