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강수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bgcolor=#FFFACD,#003318> 초대
강원채 ||<bgcolor=#FFFACD,#003318> 2대
김판규 ||<bgcolor=#FFFACD,#003318> 3대
유학성 ||<bgcolor=#FFFACD,#003318> 4대
전성각 ||<bgcolor=#FFFACD,#003318> 5대
김종구 ||
||<bgcolor=#FFFACD,#003318> 6대
나동원 ||<bgcolor=#FFFACD,#003318> 7대
이광로 ||<bgcolor=#FFFACD,#003318> 8대
김상언 ||<bgcolor=#FFFACD,#003318> 대리
김영규 || 9대
정진권 ||
|| 10대
정호근 || 11대
여운건 || 12대
최평욱 || 13대
송응섭 || 14대
김정현 ||
|| 15대
이현부 || 16대
이재달 || 17대
이유수 || 18대
양인목 || 29대
이종옥 ||
|| 20대
김승광 || 21대
이선민 || 22대
김장수 || 23대
김병관 || 24대
김근태 ||
|| 25대
김영후 || 26대
박성규 || 27대
이준구 || 28대
임국선 || 29대
박찬주 ||
|| 30대
장재환 || 31대
이종섭 || 32대
이정기 || 33대
윤의철 || 34대
허강수 ||
|| 35대
고현석 || 36대
김호복 || || || ||
||<-5><bgcolor=#15832d> ※ 초대~8대: 동해안경비사령관(소장) ▸ 9대~현재: 제7기동군단장(중장) ||
||<-5><bgcolor=#15832d>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제2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
||<bgcolor=#F08080,#5c6169> 초대
이형석 || 2대
김봉철 || 3대
김계원 || 4대
정래혁 || 5대
이치업 ||
|| 6대
박경원 || 7대
김동수 || 8대
전부일 || 9대
안광영 || 10대
이준학 ||
|| 11대
임지순 || 12대
나희필 || 13대
윤흥정 || 14대
최영식 || 15대
김선일 ||
|| 16대
권영각 || 17대
정진권 || 18대
정순현 || 19대
김찬기 || 20대
편동수 ||
|| 21대
윤인하 || 22대
편장원 || 23대
양상태 || 24대
오형근 || 25대
김현수 ||
|| 26대
이풍길 || 27대
김승광 || 28대
김기성 || 29대
김군식 || 30대
이명구 ||
|| 31대
하정열 || 32대
이승우 || 33대
김인동 || 34대
전인범 || 35대
이진원 ||
|| 36대
김종태 || 37대
김정수 || 38대
허강수 || 39대
정해일 || 40대
정진팔 ||
|| 41대
민인기 || 해체 ||




파일:중장 허강수.jpg
복무대한민국 육군
1986년 ~ 2022년
학력충주고등학교 (졸업 / 39회)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안보학 / 석사)[1]
임관육군3사관학교 (23기)
최종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제7기동군단
주요 보직지상군 페스티벌 행사기획단장
제27보병사단
제7포병여단
제3야전군사령부 대화력전과장
제5포병여단 제1포병단장

1. 개요
2. 생애
3. 주요 직위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장군이다. 최종 계급은 중장으로, 최종 보직으로 제7기동군단장을 2년 6개월 역임하였다.


2. 생애[편집]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다불리 출신이며 충주고등학교(39회)[2]를 졸업하고 육군3사관학교(23기)에 입교하여 1986년 졸업 후 포병 소위로 임관하였다.[3]

부인 신미경 씨와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으며 딸 두 명은 출가하였다.


3. 주요 직위[편집]




4. 여담[편집]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4:56:14에 나무위키 허강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석사 학위 논문: 韓·美 軍事同盟關係의 發展方向 : 韓·美 相互防衛條約과 安保協議機構 및 軍事指揮體制를 中心으로 (2002)[2] 동기로 이인영 국회의원이 있으며, 군 관계 인사로 1년 선배인 유무봉 전 국방부 국방개혁실장, 3년 후배로 윤병호 공군참모차장이 있다.[3] 1998년 이전의 육군3사관학교 출신 장교들은 지금처럼 전문대 졸업생 또는 4년제 대학 2년 이상 수료자가 편입학하는 방식이 아닌 입교 후 오로지 군사훈련만 받고 임관하였기에 소대장을 마친 후 중위때 2년간 3사관 학사학위과정 교육을 받았으며 입교기준으로는 88군번과 같이 인사관리가 이뤄지는 동기그룹(year그룹)이며 진급 시기도 이들과 같다. 이 기준으로는 김현종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육사 44기), 박양동 제6군단장(학군사관 26기) 등과 동기라고들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엄연히 임관년도 기준으로는 선배다.[4] 후술할 간증 인터뷰에서 언급하지만 원래 대령 진급이 잘 나오는 요직 부서로 가기로 되어 있었는데, 30사단에서 핵심 참모를 맡고 있다 보니 훈련 끝나고 가라고 붙잡았고, 훈련이 끝나고 보니 원래 가기로 되어 있던 자리엔 이미 다른 사람이 가 있고 본인은 한직인 지통실로 보내져 낙담했다고 한다. 그런데 전화위복으로 여가 시간이 많이 나오는 보직에서 목 디스크 치료도 하고, 주에 한 번 하는 총장 배석 브리핑을 맡아 평소 자신 있던 영역에서 능력을 보여주는 데에 성공하여 대령 1차 진급을 했다고 한다.[5] 준장 진급률이 높은 요직이다. 똑같이 포병 대령급 요직인 합참 화력과장과는 달리 비육사에게 개방된 보직이기도 하다. 당시에도 브리핑을 했었는데 잘한다는 칭찬을 들었다고 한다. 김현집 사령관이 보고는 참모들에게 ‘야, 저 허강수는 왜 아직 장군이 안됐냐. 장군으로 내보내라’고 했다는 거다.[6] 후임 여단장 이귀우 준장은 육사 41기로 7군단에서 짬밥 넘버원이었다. 당시 군단장인 윤의철보다 2년 선배. 그리고 허 장군 본인이 군단장에 취임하면서 전역신고를 받게 되었다.[7] 전임은 김정수, 후임은 정해일[8] 무려 31개월 간 지휘관을 지냈다. 긴 기간 안정적으로 군단을 이끌며 능력을 보여줬기에 정권 교체 후 육사 위주의 인사 기조로의 복귀와 기수 물갈이만 없었다면 대장 진급도 노려볼만 했으나 좌절되었다. 전임은 윤의철, 후임은 고현석[9] 본인은 매일 10km구보를 개인적으로 시행했다.[10] 심지어 본인과 똑같은 포병 출신이다. 다만 소위 임관은 허강수가 3개월 빠르다.[11] 윤의철 시절때는 반대로 참모들이 7군단에서 탈출하려는 시도가 많았다고 한다.[12] 청와대에 몸담은 적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