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양동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bgcolor=#8FBC8F><width=20%> 초대
박정희 ||<bgcolor=#8FBC8F><width=20%> 2대
박현수 ||<bgcolor=#8FBC8F><width=20%> 3대
김용순 ||<bgcolor=#8FBC8F><width=20%> 4대
신재식 ||<width=20%><bgcolor=#8FBC8F> 5대
노재현 ||
|| 6대
최주종 || 7대
이규학 || 8대
이동화 || 9대
고광도 || 10대
임지순 ||
|| 11대
김용휴 || 12대
이범준 || 13대
김학원 || 14대
박찬긍 || 15대
안종훈 ||
|| 16대
최영구 || 17대
문응식 || 18대
김용진 || 19대
류근무 || 20대
정숭렬 ||
|| 21대
김상호 || 22대
배일성 || 23대
이중환 || 24대
최경근 || 25대
유재열 ||
|| 26대
김석원 || 27대
안성용 || 28대
정중민 || 29대
김기성 || 30대
류우식 ||
|| 31대
양원모 || 32대
이봉원 || 33대
이상돈 || 34대
전동운 || 35대
정항래 ||
|| 36대
이정근 || 37대
박주경 || 38대
황대일 || 39대
박양동 || 40대
엄용진 ||
||<-5><#228B22> ※ 초대~5대: 소장 / 6대~현재: 중장 ||
||<-5><#228B22>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 초대
이한림 || 2대
백인엽 || 3대
강영훈 || 4대
김웅수 || 5대
최홍희 ||
|| 6대
김계원 || 7대
정래혁 || 8대
한신 || 9대
김희덕 || 10대
이세호 ||
|| 11대
박원근 || 12대
이소동 || 13대
김용휴 || 14대
이재전 || 15대
신현수 ||
|| 16대
강영식 || 17대
김홍한 || 18대
안필준 || 19대
박명철 || 20대
나병선 ||
|| 21대
임인조 || 22대
김재창 || 23대
최경근 || 24대
이재관 || 25대
서경석 ||
|| 26대
김판규 || 27대
서종표 || 28대
김충배 || 29대
류우식 || 30대
송기석 ||
|| 31대
정두근 || 32대
이홍기 || 33대
서길원 || 34대
김학주 || 35대
이범수 ||
|| 36대
박종진 || 37대
김성진 || 38대
김성일 || 39대
박양동 || 40대
강건작 ||
||<-5><bgcolor=#004ea2> 관련 직위 둘러보기 ||




{{{#fff 대한민국 제39대 육군군수사령관}}}
박양동
Park Yang Dong
파일:박양동 군수사령관.jpg
학력금오공업고등학교 (졸업)
금오공과대학교 (공학 / 학사)
임관학군사관 (26기)
복무대한민국 육군
1988년 ~ 2022년
최종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육군군수사령관
주요 보직제6군단
합동참모본부 민군작전부장
제39보병사단
수도방위사령부 참모장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실장
합동참모본부 특수전과장
제3군단 교훈참모
제12보병사단 참모장
제12보병사단 제52보병연대
제2보병사단 제32보병연대 제2대대장

1. 개요
2. 생애
3. 주요 보직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으로 최종 계급은 중장, 최종 보직은 육군군수사령부 사령관이다.


2. 생애[편집]


전라북도 고창군 출신으로 해리중학교(27회)를 졸업하였다.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금오공업고등학교(9회)와 금오공과대학교(84학번,기계공학전공)[1]를 졸업하고 1988년 학군사관 26기로 임관하였다. 병과는 보병이다.


3. 주요 보직[편집]




4. 여담[편집]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2:15:55에 나무위키 박양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금오공대는 당시 육해공군 ROTC가 설치된 유일한 대학이었으며 현재는 현역 장성을 가장 많이 배출한 학군단 중 하나이다. 현재 까지 해당 출신으로 가장 최고 계급은 육군은 박양동 중장, 해군은 박재갑 예)소장(안보지원사 참모장), 공군은 이동원 예)소장(전 방공유도탄사령관)이며 현재는 금오공고RNTC와 금오공대ROTC 연계제도가 금오공고의 공립화로 없어져 금오공대는 육군 ROTC만으로 편성되어 있다.[2] 대대장이 마치 상병처럼 일이병을 갈군다고 이 당시 별명이 박상병이었다고 한다. 그래도 KCTC훈련에서 역대급 성과를 내서 제1야전군사령관 표창을 수상하였다.[3] 연대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연대 참모, 사단 참모부의 실무자들이 업무가 미진할 시 갈굼을 자행했다.[4] 계엄령 문건 당시 재임중이었다. 다행히도 직속상관이었던 구홍모 전 육군참모차장이 反알자회성향이라서 휘말리지 않았다.[5] 전임자 문병호, 후임자 박안수[6] 전임자 김종철, 후임자 정철재[7] 취임식 사진1사진2[8] 전임자 김성일, 후임자 강건작[9] 전임 사령관이였던 황대일중장과 마찬가지로 非군수직능으로서 군수사령관으로 취임하였다.[10] 전임자 황대일, 후임자 엄용진[11] 강창구, 김현종, 박정환, 허강수 소장과 함께 중장으로 진급하게 되었다.[12] 금오공고에서 3년 + 금오공대에서 4년 + 학군단 의무복무기간 2년 4개월 = 총 9년 4개월, 금오공대 학군단 입단 시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로 자동편입되었다. 그러나 단기복무 할 경우 9년만 복무하면 전역할 수 있었고 전체 임관자 중 약 20%정도가 단기 복무?(9년)후 전역하였고 직업보도반 제도가 도입된 이후 추가로 약 20%정도의 인원이 직업보도반 후(11년 복무) 전역하였다.[13] 육사는 기본 의무복무기간이 10년이라 졸업과 동시에 장기복무가 된다.[14] 육사 44기는 방종관, 이진형, 김종철, 강인순 등 소장 1차 진급자는 강창구 중장을 제외하고선 대부분 예편하거나 한직에 있고, 박정환, 김현종, 김도균 등 2, 3차 진급자들이 대거 중장 진급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