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판술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보건복지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사회부장관 (1948~1955)
초대
전진한
제2대
이윤영
제3대
허정
제4대
최창순
제5대
박술음

보건부장관 (1948~1955)
초대
구영숙
제2대
오한영
제3대
최재유


보건복지가족부장관 (2008~2010)
제46대
김성이
제47대
전재희

보건복지부장관 (2010~현재)
제47대
전재희
제48대
진수희
제49대
임채민
제50대
진영
제51대
문형표
제52대
정진엽
제53대
박능후
제54대
권덕철
제55대
조규홍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제1선거구)
제10대
정대철
민관식
제11대
이종찬
김판술
선거구 개편
이종찬[A]
이민우[A]

[A] A B 종로구·중구의 제12대 국회의원

대한민국 제7대 보건사회부 장관
김판술
金判述 | Kim Pan-sul
파일:김판술 장관.png
출생1909년 2월 22일
전라북도 옥구군 북면 신풍리
(現 전라북도 군산시 신풍동)
사망2009년 3월 31일 (향년 100세)
본관김해 김씨#
도암(道庵)
재임기간제7대 보건사회부 장관
1961년 1월 30일 ~ 1961년 5월 18일
[ 펼치기 · 접기 ]

자녀아들 김일양
딸 김경원, 김영자
학력군산공립중학교 (졸업)
우츠노미야고등농림학교 (졸업)
교토제국대학 (농림화학부 / 졸업)
종교천주교
의원 선수3
의원 대수3, 5, 11
약력군산어업조합장
이리농사시험장장
농정국 제2농정과장
제3대 국회의원 (군산시)
제7대 보건사회부 장관
제5대 민의원의원 (군산시 일원)
제11대 국회의원(종로구·중구)


파일:/image/089/2008/05/07/2008050818755546.jpg
2008년 백수연 당시 모습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정치인.


2. 생애[편집]


1909년 전라북도 옥구부 북면 신풍리(현 군산시 신풍동)#에서 태어났다. 군산공립중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도치기현 우츠노미야(宇都宮)고등농림학교[1]교토제국대학 농화학부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 군산어업조합장, 이리농사시험장장, 경기도 수원농사시험장 화학부장 등을 지냈다.

8.15 광복 이후 농림부 소속 공무원으로서 농정국 제2농정과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전라북도 군산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자유당 김원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1년 1월부터 5월까지 민주당 신파 몫으로 보건사회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같은 해 5월 장면 국무총리에 의해 농림부 장관에 내정되었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무산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전라북도 군산시-옥구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정당 고형곤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차형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72세의 나이로 민주한국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후보인 이종찬과 동반 당선되었다. 1987년 김대중평화민주당을 창당하자 평화민주당 당무지도위원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100세까지 장수하였다.


3. 기타[편집]


  • 대한민국 정치인들 가운데 유난히 장수한 인물이기도 한데, 2009년10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여담이지만 그의 여동생인 김마소판예 여사(1911년생)도 2017년에 해외에서 106세의 나이에 숨을 거두었다(#). 아마 장수 집안 내력이 있는 듯하다. 김판술은 100세까지 산 김허남, 장경순, 김창규와 동등한 나이에 사망했고, 이보다 더 오래 산 정치인은 2020년 101세로 별세한 현승종 前 총리와 현재 104세인 김종호 뿐이며 외국으로 귀화한 인물을 포함하더라도 105세인 박갑동 외에는 없다.


4. 선거 이력[편집]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연도선거종류소속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여부비고
1954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군산시)

14,507표 (47.57%)당선초선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군산시)

13,530표 (41.58%)낙선 (2위)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군산시)

22,719표 (72.7%)당선재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군산시-옥구군)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7,366표 (24.97%)낙선 (3위)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군산시-옥구군)
ta-hash-start=w-fca7f2fed753e5050f4c6c70dfa608e0[[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40,748표 (47.91%)낙선 (2위)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ta-hash-start=w-894c2685de4b2d7094c90aeed56e00e2[[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57,053표 (23.9%)당선3선[2]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52 - 1955정계 입문


1955 - 1961합당[3]

무소속

1961 - 1963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정당 해산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3 - 1965입당

ta-hash-start=w-9b917ee3f96993d92e524926f5a024c9[[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5 - 1967합당[4]

ta-hash-start=w-7473ee855ddfe8e6ff4b309d905a4ddc[[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 - 1969합당[5]

무소속

1969자진 정당 해산

ta-hash-start=w-585f0bc49103ac4d59049fa6eeed7086[[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9 - 1978정당 재등록

무소속

1978 - 1981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89fc953180939c7a4045612329f8b3e4[[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1 - 1987창당

무소속

1987탈당

ta-hash-start=w-c88dfe563215eebee4e01fd314f4b61d[[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7 - 1991창당

ta-hash-start=w-90f7fda5a95f9d6c73d5fa8d7bf3487a[[파일:신민주연합당 로고타입.svg
1991당명 변경
1991 - 1995합당[6]
정계 은퇴
1995 - 1997합당[7]
1997 - 2002합당[8]
2002 - 2009탈당
사망


6. 둘러보기[편집]






[1] 현 우츠노미야대학[2] 민주정의당 후보 이종찬과 동반 당선[3] 민주당에 흡수 합당.[4] 민정당과 신설 합당.[5] 신한당과 신설 합당.[6] 민주당과 신설 합당.[7] 개혁신당과 신설 합당.[8] 신한국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