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홈런 더비

덤프버전 :

1. 개요
2.1. 역대 우승자 목록
3.1. 역대 우승자 목록
3.2. 관련 기록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ugapaintline.com/josh-hamilton-homerun-derby.jpg
2008년 양키 스타디움에서 열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홈런 더비에 출전한 조시 해밀턴.

Home Run Derby.

KBO 리그, 일본프로야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등 세계 각지 프로야구 리그에서 올스타전 전야제식으로 열리는 식전 행사. 리그에서 홈런을 잘 치는 강타자들이 선발되어 어느 선수가 가장 많은 홈런을 치는지 겨루는 이벤트를 말한다.

일반 경기에서와 다르게 타자가 홈런을 치기 쉽도록 공을 던져주기 때문에 여기서 우승한 것과 실제 경기에서의 홈런 능력과는 차이가 날 수 있다.[1][2]

홈런 더비에서 아무리 타구가 좋아도 담장을 넘어가지 않는 공은 의미가 없으므로 참가자들은 대부분 풀스윙을 하고 기록을 의식하여 몸에 힘이 평소보다 더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홈런 더비가 참가 선수들의 타격 밸런스에 악영향을 줘서 이후 타격 부진에 빠지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현장 지도자들은 소속 선수들의 홈런 더비 참가를 달가워하지 않으며 선수들도 불참하는 경우도 많다.[3]

사실 홈런 더비는 치는 타자보다는 던지는 투수가 얼마나 홈런을 치기 좋게 지속적으로 던지는지가 더 중요하다. 우승후보임에도 투수가 배팅볼을 안더지고 보더라인에 걸치는 변화구를 계속 던져서 탈락하는 사례는 매년 나오고 있다.[4] 물론 투수가 잘 던지고 타자도 우승 후보면 거의 무조건 30개는 넘기는 기록이 나오며 정말 잘 치는 타자는 투수가 치기 어렵게 던져도 다 밀어서 넘겨버릴때가 있다. 이때문에 형평성을 위해서 피칭머신을 도입하자는 의견도 조금씩 나오고 있다.

2. KBO 리그[편집]


1993년부터 시작되었다. 메이저리그와 달리 홈런 더비가 아니라 홈런 레이스(Home Run Race)라 불리며, 원래 KBO 올스타전 중간에 진행되었지만 2013시즌부터 예선은 MLB처럼 올스타전 하루 전 KBO 퓨처스 올스타전이 끝나고 진행되며, 결승은 올스타전 본경기의 5회말이 끝나고 진행된다. 홈런 레이스 우승 선수에게는 2018시즌을 기준으로 상금 300만원과 트로피, 그리고 스폰에서 후원하는 부상이 수여되며 준우승 선수에게는 상금 100만원 및 트로피가 수여된다.

가장 최신의 룰을 설명하자면, 2018시즌 기준으로 예선에서 드림 1명, 나눔 1명이 진출해 결승전에서 맞붙는다. 예선은 7아웃제, 결승은 10아웃제로 진행되며, 동점 시 서든데스 방식을 적용한다. 다만 이 룰로는 홈런이 너무 안 나와 외야 펑고 레이스(...)냐며 오명을 쓰고 있어서 메이저리그처럼 시간제로 바꿔야 한다는 얘기가 많다.바꿔도 거기서 거기일지도

1993년 초대 우승자는 양준혁이며, 최다 우승자는 박재홍, 김태균, 양준혁, 이대호(3회)이다. 역대 최장 비거리 홈런은 1999년 박재홍과 2015년 테임즈가 때려낸 150m.

2023년부터는 개인전으로 치르지 않고, 아웃카운트 없이 제한시간 20분에 드림과 나눔의 팀 단위 매치로 치를 예정이었으나 최정의 부상으로 인해 예년처럼 개인전으로 치르기로 결정됐다.

2.1. 역대 우승자 목록[편집]


연도개최구장선수소속팀기록비고
1993사직 야구장양준혁삼성 라이온즈10회 타격 5홈런
1994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김기태쌍방울 레이더스10회 타격 3홈런
1995사직 야구장마해영롯데 자이언츠10회 타격 6홈런
1996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심재학LG 트윈스10회 타격 2홈런연장전 우승
1997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박재홍현대 유니콘스5아웃 2홈런
1998무등 야구장양준혁삼성 라이온즈10회 타격 5홈런
1999수원 야구장박재홍현대 유니콘스11회 타격 4홈런
2000마산 야구장/
제주 야구장
타이론 우즈두산 베어스10아웃 9홈런내, 외국인 홈런레이스 승자끼리 결승전
내국인 승자는 심정수, 이승엽
2001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양준혁LG 트윈스7아웃 4홈런연장전 우승
2002문학 야구장틸슨 브리또삼성 라이온즈5아웃 2홈런
2003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김동주두산 베어스10아웃 5홈런
2004사직 야구장박용택LG 트윈스7아웃 4홈런
2005문학 야구장김태균한화 이글스7아웃 5홈런
2006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이택근현대 유니콘스10아웃 1홈런역대 홈런 레이스 사상 최소 홈런 우승[5]
2007사직 야구장김태균한화 이글스10아웃 9홈런
2008문학 야구장박재홍SK 와이번스7아웃 7홈런월드 홈런 레이스[6]
2009무등 야구장이대호롯데 자이언츠10아웃 5홈런
2010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김현수두산 베어스7아웃 10홈런
2011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박정권SK 와이번스10아웃 7홈런예선에서는 7아웃 6홈런을 기록
2012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김태균한화 이글스10아웃 6홈런예선에서는 14개 홈런으로 예선부문 신기록, 2위 박용택(3개)
2013포항 야구장이승엽삼성 라이온즈10아웃 6홈런2위 나지완(2개)
2014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김현수두산 베어스10아웃 14홈런역대 홈런 레이스 사상 최다 홈런, 2위 이재원
2015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황재균[7]롯데 자이언츠10아웃 11홈런2위 테임즈(2개)[8]
2016고척 스카이돔루이스 히메네스LG 트윈스10아웃 5홈런2위 박경수(3개)
2017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윌린 로사리오한화 이글스10아웃 8홈런2위 이대호(4개)
2018울산 문수 야구장이대호롯데 자이언츠10아웃 3홈런서든데스 우승(1개)
2위 호잉 (본경기 3개, 서든데스 0개)
2019창원 NC 파크제이미 로맥SK 와이번스10아웃 7홈런2위 샌즈(2개)[9]
2020인천SK행복드림구장양의지NC 다이노스11점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늦은 시즌 개막으로 언택트 올스타전으로 변경[10][11]
2022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이대호롯데 자이언츠8아웃 5홈런[12]2위 김현수(본경기 4개, 서든데스 1개)[13]
2023사직 야구장채은성한화 이글스7아웃 5홈런2위 박병호(4개)

3.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편집]


1985년 처음 시작되었으며, 통상적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하루 전에 열린다.

아메리칸리그 선수 4명과 내셔널리그 선수 4명 합계 8명의 선수가 참가하며, 참가 선수는 본래 메이저리그 사무국의 선정과 초청으로 결정되었지만 2011년 올스타전부터는 각 리그 별로 주장 1명을 선출해서 주장이 해당 리그에서 본인 외 3명의 선수를 발탁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때문에 만약에 주장이 홈런 더비에서 올스타전이 열리는 홈구단의 선수를 뽑지 않으면, 그 홈구단의 팬들한테 욕과 야유를 듬뿍 먹기도 한다. 2011년 내셔널리그의 주장 프린스 필더저스틴 업튼을, 2012년의 아메리칸리그의 주장 로빈슨 카노빌리 버틀러를 뽑지 않아 폭풍 야유를 당했다.

최희섭이 한국인 선수로서는 최초로 2005년 MLB 홈런 더비에 참가한 적이 있다. 올스타에 선정되지는 못했지만, 다음 시즌에 열리는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을 기념해서 한국 대표로 참가한 것. 결과는 1라운드를 뚫지 못하고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알렉스 로드리게스조시 해밀턴 등 일부 선수 중엔 홈런 더비에 참가하면 일시적으로 조정한 큰 스윙으로 인해 자신도 모르게 타격폼이 무너지고, 체력방전이나 부상위험 등으로 정규시즌까지 영향을 준다고 생각해 홈런 더비 참가를 고사하는 이들도 있다. 물론 실제로 바비 아브레이유, 데이비드 라이트, 개럿 앤더슨, 저스틴 모어노, 조시 해밀턴 등과 같이 홈런 더비에 참가한 이후에 후반기 성적이 폭망한 선수들도 많이 존재하지만, 라이언 하워드프린스 필더처럼 오히려 홈런 더비에 참가한 이후에도 후반기 홈런이 늘어난 선수들도 있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이는 개인의 차이일 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는 주장이 있다. 이에 대해 맷 홀리데이는 "수도 없이 많은 스윙을 하는데 고작 홈런 더비에서의 20~40번 스윙 때문에 매커니즘이 무너진다는 건 애초에 스윙 자체가 좋지 않다는 것이다"라는 식의 주장을 폈다.2018년에도 많은 스타플레이어들이 상기한 이유로 홈런 더비 출장을 고사해서 사무국이 고심을 하기도 했다.대신 다음날 올스타전에서 양 팀 도합 10개의 홈런을 쏘며 올스타게임 최다 홈런 기록을 수립하였다. 팬들 중에는 '올스타전에서 홈런더비 치르네'라는 반응을 보이는 이들도 있었다.

홈런 더비의 룰은 그 동안 몇 번씩 변화되어 왔는데, 2014년까지의 룰은 총 3라운드로 진행되며 라운드당 선수들은 10번의 아웃카운트를 갖게 된다, 1라운드에 참가한 8명의 선수 가운데 홈런수 상위 4명의 선수가 2라운드에 진출한다. 그리고 파이널 라운드인 3라운드는 1라운드와 2라운드에서 때려낸 홈런수의 합계가 많은 상위 2명의 선수가 올라간다. 3라운드에선 1,2라운드에서 때려낸 홈런수와 상관없이 해당 라운드에서 가장 많은 홈런을 때려낸 선수가 우승 트로피를 거머쥔다.

배팅볼러가 던져주는 볼을 쳐서 타구가 홈런이 되지 않았을 시에는 파울이든 페어타구이든 무조건 아웃 카운트가 하나씩 증가한다.(헛스윙도 카운트에 집계된다.) 단, 타자가 볼이라고 판단해서 치지 않을 경우에는 아웃카운트가 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홈런 더비는 뻔뻔해야 우승한다라는 우스개 소리도 있다 선수 본인은 친분이 있는 지인이나 같은 팀의 코칭 스태프, 선수 등 볼을 던져주는 배팅볼러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로빈슨 카노브라이스 하퍼는 자신의 아버지가 던져줬고, 조시 해밀턴은 고교 시절의 은사를 초빙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참가선수들은 9아웃 이후엔 특별 제작된 황금공(Gold Balls)을 치게 되며, 이 공으로 홈런을 칠 시에 홈런 한 개당 2만1000달러씩 자선단체에 기부되었다.

2015년부터는 룰이 개정되어서 아웃카운트 내에 더 많이 치는 게임에서 제한시간 내에 얼마나 많이 치는지로 바뀌었다. 2015년 홈런더비 룰은 첫 배팅볼이 던져지는 순간 부터 제한시간 4분[14], 비거리 425피트 이상 홈런이 2개 나오면 30초가 추가되며, 동률일 때 90초 동안 스윙 세 번을 하여 승자를 결정했다.[15] 이 때문에 종전 룰의 폐해이자 홈런 더비를 늘어지게 만드는 주범이었던 안 치고 좋은 공 나올 때까지 기다리기 신공이 없어져서 더욱 극적이고 박진감이 넘쳐졌다는 평이 많았다. 또한 시간 제한룰로 인해 선수들의 집중력이 향상되면서 2015년 MLB 올스타전 홈런더비는 역사상 역대 최다인 159개의 홈런이 쏟아졌다. 이후 2018년에는 30초 추가시간 룰이 425피트에서 440피트로 개정되었다. 2019년은 우승상금 100만 달러를 걸고 대결을 펼쳤는데 무려 312개의 홈런이 쏟아졌다. 다만 8강부터 토너먼트다 보니 홈런을 많이 치고도 떨어지는 사례가 매번 나와 8강은 이전 방식으로 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3.1. 역대 우승자 목록[편집]


연도개최 구장 (홈 구장 팀)선수소속팀소속리그
1985휴버트 H. 험브리 메트로돔 (MIN)데이브 파커신시내티 레즈내셔널리그
1986[16]애스트로돔 (HOU)월리 조이너[17]캘리포니아 에인절스아메리칸리그
대릴 스트로베리뉴욕 메츠내셔널리그
1987오클랜드-앨러메다 카운티 콜리세움 (OAK)안드레 도슨시카고 컵스내셔널리그
1988우천 취소
1989애너하임 스타디움 (CAL)에릭 데이비스신시내티 레즈내셔널리그
1990리글리 필드 (CHC)라인 샌드버그시카고 컵스내셔널리그
1991스카이돔 (TOR)칼 립켄 주니어볼티모어 오리올스아메리칸리그
1992잭 머피 스타디움 (SD)마크 맥과이어오클랜드 애슬레틱스아메리칸리그
1993오리올 파크 앳 캠든 야즈 (BAL)후안 곤잘레스텍사스 레인저스아메리칸리그
1994쓰리 리버스 스타디움 (PIT)켄 그리피 주니어시애틀 매리너스아메리칸리그
1995더 볼파크 인 알링턴 (TEX)프랭크 토마스시카고 화이트삭스아메리칸리그
1996베테랑스 스타디움 (PHI)배리 본즈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내셔널리그
1997제이콥스 필드 (CLE)티노 마르티네즈뉴욕 양키스아메리칸리그
1998쿠어스 필드 (COL)켄 그리피 주니어시애틀 매리너스아메리칸리그
1999펜웨이 파크 (BOS)켄 그리피 주니어시애틀 매리너스아메리칸리그
2000터너 필드 (ATL)새미 소사시카고 컵스내셔널리그
2001세이프코 필드 (SEA)루이스 곤잘레스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내셔널리그
2002밀러 파크 (MIL)제이슨 지암비오클랜드 애슬레틱스아메리칸리그
2003U.S. 셀룰러 필드 (CHW)개럿 앤더슨애너하임 에인절스아메리칸리그
2004미닛 메이드 파크 (HOU)미겔 테하다오클랜드 애슬레틱스아메리칸리그
2005코메리카 파크 (DET)바비 아브레우필라델피아 필리스내셔널리그
2006PNC 파크 (PIT)라이언 하워드필라델피아 필리스내셔널리그
2007AT&T 파크 (SF)블라디미르 게레로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아메리칸리그
2008구 양키 스타디움 (NYY)저스틴 모노미네소타 트윈스아메리칸리그
2009부시 스타디움 (STL)프린스 필더밀워키 브루어스내셔널리그
2010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 (LAA)데이비드 오티즈보스턴 레드삭스아메리칸리그
2011체이스 필드 (ARI)로빈슨 카노뉴욕 양키스아메리칸리그
2012카우프만 스타디움 (KC)프린스 필더디트로이트 타이거스아메리칸리그
2013시티 필드 (NYM)요에니스 세스페데스오클랜드 애슬레틱스아메리칸리그
2014타겟 필드 (MIN)요에니스 세스페데스오클랜드 애슬레틱스아메리칸리그
2015그레이트 아메리칸 볼파크 (CIN)토드 프레이저신시내티 레즈내셔널리그
2016펫코 파크 (SD)지안카를로 스탠튼마이애미 말린스내셔널리그
2017말린스 파크 (MIA)애런 저지뉴욕 양키스아메리칸리그
2018내셔널스 파크 (WSH)브라이스 하퍼워싱턴 내셔널스내셔널리그
2019프로그레시브 필드 (CLE)피트 알론소뉴욕 메츠내셔널 리그
2020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늦은 시즌 개막으로 올스타전 취소
2021쿠어스 필드 (COL)피트 알론소뉴욕 메츠내셔널 리그
2022다저 스타디움 (LAD)후안 소토워싱턴 내셔널스내셔널 리그
2023T-모바일 파크 (SEA)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토론토 블루제이스아메리칸리그

3.2. 관련 기록[편집]


2.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2019 4강) - 40개
3. 작 피더슨(2019 4강) - 39개
4. 피트 알론소(2021 8강), 랜디 아로자레나(2023 4강) - 35개
6. 훌리오 로드리게스(2022 8강) - 32개
7. 후안 소토(2021 8강), 훌리오 로드리게스(2022 4강) - 31개

  • 단일 더비 최다 홈런 기록
  •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2019) - 91개[18]
2. 랜디 아로자레나(2023) - 82개[19]
3. 훌리오 로드리게스(2022) - 81개[20]
4. 피트 알론소(2021) - 74개[21]
5.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2023) - 72개[22]
6. 지안카를로 스탠튼(2016), 훌리오 로드리게스(2023) - 61개[23]
8. 작 피더슨(2019) - 60개[24]
9. 트레이 만시니(2021) - 59개[25]
10. 피트 알론소(2019) - 57개[26]

2.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2019, 2023) -163개
3. 훌리오 로드리게스(2022, 2023) - 142개
4. 알버트 푸홀스(2007, 2009, 2015, 2022) - 106개
5. 작 피더슨(2015, 2019), 후안 소토(2021, 2022) - 99개
7. 토드 프레이저(2014, 2015, 2016) - 91개
8. 지안카를로 스탠튼(2014, 2016, 2017) - 83개
9. 랜디 아로자레나(2023) - 82개
10. 프린스 필더(2009, 2012) - 81개


더 자세한 내용은 위키피디아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1:06:13에 나무위키 홈런 더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는 3할 30홈런을 치는 타자가 2할2푼 20홈런을 치는 공갈포보다 당연히 홈런을 잘치겠지만 20홈런 치는 공갈포의 순수파워가 30홈런 치는 타자의 순수파워보다 좋다면 치라고 던져주는 배팅볼에 헛스윙하지 않는 이상 순수파워가 더 좋은 쪽이 이긴다. 그리고 사실 배팅볼에 헛스윙할 정도의 안좋은 컨택을 가진 선수라면 올스타는 무슨 프로선수가 되지도 못했을 것이다.[2] 실제로 요에니스 세스페데스가 2013,2014년에 홈런 더비를 2연속 우승하였지만, 그 당시의 세스페데스는 홈런왕급 타자라고는 보기 어려웠다.[3] 2018년도 메이저리그 올스타전 홈런더비에선 애런 저지, 지안카를로 스탠튼, 마이크 트라웃 같은 리그를 대표하는 거포들이 모두 불참했는데 저런 악영향을 우려해서 불참했을 것이라고 보는게 중론이다. 실제로 저지는 2017년 홈런 더비 참가하고 나서 8월에 엄청 부진하기도 했고.....[4] 강민호가 이대호에게 엄청 치기 어려운 공만 계속 던져서 이대호가 홈런 0개로 탈락하는 굴욕적인 사례도 나온적 있다.[5] 결승에 진출한 양준혁이 0개를 기록하면서 이택근이 달랑 하나 치고 우승을 먹었다(...). 심지어 이택근이 선공이라서 1개로 마무리하자 불안했다는데 후공인 양준혁은 1개도 못 친것이다.[6]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네덜란드 대표팀과 쿠바 대표팀이 국내에 전지훈련을 온 상황에서 각 대표팀에서도 홈런 레이스 출전선수를 선발하였다. 올스타 선수들간의 대결에서 1위를 한 박재홍은 네덜란드와 쿠바 선수 마저 제치고 우승을 차지하였다.[7] 여담으로 배팅볼을 던진 사람은 선수가 아니라 불펜포수다. 황재균이 고생하는 불펜포수를 꼭 올스타 무대에 한번 세워주고 싶었다고 했다.[8] 예선에서 중앙 상단 테이블쪽으로 쳤다. 그리고 결선에서 전광판을 맞춰 전광판 불을 나가게 했다.[9] 2위를 거둔 샌즈는 최장 비거리 상을 받았다.(130M)[10] 올스타전은 취소되었지만 인터넷 팬 투표로 2020 KBO 올스타전 선수를 선정하기로 했다. 올스타에 선정된 각 포지션 별 선수들은 유니폼에 부착할 수 있는 올스타 패치를 수여한다. 그리고 언택트 올스타전이라고 올스타에 선정된 선수들이 소속팀에서 정규시즌을 그대로 치루면서 9월 8일부터 9월 27일까지의 홈런 점수로 결정되었다.[11] 홈런 점수는 만루홈런→4점, 쓰리런→3점, 투런→2점, 솔로→1점[12] 10아웃 제도이나 최고 기록이 4개인 상황에서 마지막 타자로 들어선 이대호가 8아웃에서 5번째 홈런을 날려 그대로 홈런더비가 종료되었다. 끝내기 홈런을 친 셈.[13] 황대인, 김현수, 한유섬, 나성범, 박병호가 모두 4개를 때려 공동 2위를 기록한 상황에서 서든데스를 진행하였다.[14] 45초 타임아웃 : 1라운드와 준결승은 1번, 결승은 2번 사용 가능[15] 당초에는 제한시간 5분, 425피트 이상시 추가시간 1분, 거기다 475 피트 이상 비거리가 나오면 역시 추가시간이 주어지는 룰이 있었으나 신시내티 현지 기상 상태로 인해 룰이 조금 바뀐 상태에서 진행되었다. [16] 공동 수상자.[17] 참고로 팬투표로 올스타에 뽑힌 최초 신인이었다.[18] 8강 29개, 4강 40개, 결승 22개[19] 8강 24개, 4강 35개, 결승 23개[20] 8강 32개, 4강 31개, 결승 18개[21] 8강 35개, 4강 16개, 결승 23개[22] 8강 26개, 4강 21개, 결승 25개[23] 스탠튼 8강 24개, 4강 17개, 결승 20개
로드리게스 8강 41개, 4강 20개
[24] 8강 21개, 4강 39개[25] 8강 24개, 4강 13개, 결승 22개[26] 8강 14개, 4강 20개, 결승 2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