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근혜 즉각 퇴진 1차 총파업 시민불복종

덤프버전 :

파일:external/image.kmib.co.kr/201612010038_11130923651635_1.jpg

1. 설명
2. 선언문 및 호소문
2.1. 선언문
2.2. 호소문
3. 개요
3.1. 참가단체
4. 주요 시위 장소
4.1. 예정 루트
5. 참가자 추산
6. 틀 둘러보기



1. 설명[편집]


1차 총파업 - 시민불복종은 11월 30일 민주노총에서 진행하는 총파업이다. 보도자료 파업 후 광화문광장에 모여 집회/시위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해가 진 뒤 청운 효자동 주민센터까지 행진한 것은 최초이다. 국민일보

2. 선언문 및 호소문[편집]



2.1. 선언문[편집]


파일:external/bisang2016.net/dc137129726e119d8e729b87e185b16c180724.jpg

2.2. 호소문[편집]


파일:external/bisang2016.net/9583bbac4aaa8ad912f04da67d340d0b180728.jpg

3. 개요[편집]


오후 3시 : 서울광장 총파업 집회
오후 6시 : 광화문광장 촛불집회

촛불집회가 끝난 후 청와대로 행진이 예정돼 있는데 역대 청와대 행진 중에서 청와대 정문과 가장 가까운 100m(!!!) 앞까지 행진하겠다고 주최 측이 예고했다. 청와대 앞 100m 지점은 영빈관 앞 분수대 지점이다. 그야말로 청와대 코앞. 당연히 경찰은 불허했고 법원에서는 200m 지점인 청운동 주민센터까지 허용했다. 특기할 점은 밤 10시 30분까지 야간행진을 법원에서 수용했다는 점. 이에따라 주말집회에서도 야간행진이 허용될 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3.1. 참가단체[편집]


금속노조
- 11/21 금속노조 대의원대회에서 총파업 결의
- 11/23-24 금속노조 전조합원 총파업 찬반투표
- 11/30 4시간 총파업 돌입
공공운수노조
- 11/16 공공기관사업본부 대표자회의 30일 파업돌입 결정
- 11/17 비상 중집, 중앙위 결정
‘민주노총의 투쟁방침에 따라 11월 30일(수) 총파업에 집중 돌입한다. 파업을 하지 못하는 조직은 총회.교육.연가 등을 통해 총파업대회 조합원 참석을 최대 조직한다.’
건설산업연맹
- 민주노총 방침에 따라 4시간 이상 파업 및 지역별 총파업대회 결합
- 주말 촛불 및 평일 촛불 결합 방침
보건의료노조
- 11/30(수) “박근혜 즉각 퇴진-박근혜 정책 폐기 총파업” 전개
전국공무원노조
- 11월 30일 조합원 연가투쟁으로 총파업에 복무 (수도권대회 집중)
- 11/22 박근혜정권 퇴진 공무원노조 농성 돌입
전교조
- 11월 30일 조합원 연가투쟁으로 총파업에 복무
- 11월 30일 14시 전국교사대회 개최 후 민주노총 총파업대회(수도권) 결합
서비스연맹
- 11/22 학교비정규직노조 중집에서 총파업 결합방침 논의(6개지부 쟁의권 확보)
⑧ 민주일반연맹
- 전 조합원 총회 투쟁으로 총파업 대회 결합
언론노조
-11/24 중집에서 총파업 결합방침 논의
화학섬유연맹
- 전국순회 총파업 조직 중

4. 주요 시위 장소[편집]



4.1. 예정 루트[편집]



5. 참가자 추산[편집]


  • 집회 전 추산 인원
  • 집회 후 추산 인원
    • 오후 6시: 주최 측 추산 3만 명, 경찰 추산 2천 명


2016년-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하야 / 탄핵 요구 집회 연 참가인원(전국)
연도 일시 차수 경찰 추산* 주최 측 추산** 누적 연인원(주최 측 기준) 비 고
2016년10월 29일1차12,00050,00050,000민중총궐기 주최측 주도
11월 5일2차48,000300,000350,000
11월 12일3차280,0001,060,0001,410,0006차 민중 총궐기
11월 19일 4차272,000960,0002,370,000
11월 26일5차330,0001,900,0004,270,000
11월 30일총파업8,000¹60,000¹60,000¹1차 총파업 ***
12월 3일6차430,0002,320,0006,590,000경찰 추산 최대규모 촛불집회
정부 수립이래 사상 최대규모
12월 10일7차166,0001,040,0007,630,000전날(12월 9일)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12월 17일8차77,000770,0008,400,000
12월 24일9차53,000702,0009,102,000
12월 31일10차83,0001,104,00010,206,000누적 연인원 1,000만명 돌파
2017년1월 7일11차38,000643,38010,849,380
1월 14일12차비공개146,70010,996,080경찰 추산 '비공개' 전환
1월 21일13차352,40011,348,480
1월 28일--11,348,480설 합동 차례로 대체
2월 4일14차425,50011,773,980
2월 11일15차806,27012,580,250
2월 18일16차844,86013,425,110
2월 25일17차1,078,13014,503,2407차 민중 총궐기
3월 1일18차300,00014,803,240
3월 4일19차1,050,89015,854,130
3월 11일20차708,16016,562,290전날(3월 10일) 대통령 박근혜
탄핵 인용(파면) 결정
최종 누적 연인원
(공식 누적 연인원)
16,562,290명
(16,581,160명)
괄호 안은 평일집회 등을 모두 포함한
주최측 공식 누적인원
2017년3월 25일21차비공개102,40016,664,690
4월 15일22차
109,60016,774,290
4월 29일23차
50,00016,852,360
* 순간최대인원으로 추산 / ** 연인원으로 추산 / *** 촛불집회 인원과는 별도로 집계


6. 틀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8:13:03에 나무위키 박근혜 즉각 퇴진 1차 총파업 시민불복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