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7년 2월 민중총궐기

덤프버전 :

파일:16640742_1412452232158831_427282116193519948_n.jpg파일:225PT3.jpg
민중총궐기 포스터퇴진행동 포스터
1. 설명
1.1. 주요 집회 장소
1.2. 행진 경로
2. 참가자 추산
3. 집회 진행 및 생중계
4. 지역 집회
4.1. 수도권
4.2. 강원도
4.3. 충청도
4.4. 전라도
4.5. 경상도
4.6. 제주도
4.7. 국외
5. 반응
5.1. 한국 언론 반응
5.2. 외신 반응 기사
6. 기타
7. 둘러보기


1. 설명[편집]


파일:candlelight2-25.jpg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와 퇴진 그리고, 탄핵을 요구하며 매주 토요일에 진행되는 17번째 대규모 촛불집회이자 11월 12일에 진행된 6차 민중총궐기에 이어 촛불집회 중에 두 번째로 진행되는 7차 민중총궐기이다.

이번 민중총궐기대회 이름은 "박근혜 4년(다른 뜻의 ), 너희들의 세상은 끝났다!"가 될 듯하다. 민중총궐기 페이스북.
그리고, 촛불집회의 이름은 박근혜 4년(다른 뜻의 ), 이제는 끝내자! 2.25 전국 집중 17차 범국민행동의 날이 될 듯하다. 퇴진행동 페이스북.

위에 서술되어 있듯이 이번 집회는 박근혜 정권이 시작된 지 정확히 4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번 집회가 민중총궐기로 진행되는 이유도 이 때문.

1.1. 주요 집회 장소[편집]


촛불집회는 이전 집회들과 동일하게 광화문광장에서 모여 6시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민중총궐기는 지난 민중총궐기가 열렸던 서울광장을 친박단체의 집회 때문에 사용하지 못한다. 때문에, 이번 민중총궐기는 광화문광장에서 모여서 오후 4시부터 시작한다.

따라서, 집회(민중총궐기)에 참석할 예정이라면 시청역보다 광화문역, 경복궁역, 안국역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1]

다만, 친박집회가 기존 촛불집회가 행진하던 경로로 행진하겠다고 밝히면서(!!!) 두 집회 간의 유혈충돌이 우려된다. 이 사람들 진짜 패싸움이라도 하자는 건가? 다만 경찰이 유혈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을 우려해서 양 집회 장소 사이에 차벽을 두 줄로 세워 100 m 가량의 넒직한 완충지대를 만들어 결국 우려하던 일은 없었다.

헌법재판소로 행진을 했다가 다시 복귀하는 행진대열에 종각역 인근에서 태극기를 든 탄핵 반대 집회 참여자로 보이는 한 남성이 행진하는 대열에 난입하려 했던 상황이 있었지만 초기에 제지되어 문제가 발생하진 않았다.


1.2. 행진 경로[편집]



2. 참가자 추산[편집]



2016년-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하야 / 탄핵 요구 집회 연 참가인원(전국)
연도 일시 차수 경찰 추산* 주최 측 추산** 누적 연인원(주최 측 기준) 비 고
2016년10월 29일1차12,00050,00050,000민중총궐기 주최측 주도
11월 5일2차48,000300,000350,000
11월 12일3차280,0001,060,0001,410,0006차 민중 총궐기
11월 19일 4차272,000960,0002,370,000
11월 26일5차330,0001,900,0004,270,000
11월 30일총파업8,000¹60,000¹60,000¹1차 총파업 ***
12월 3일6차430,0002,320,0006,590,000경찰 추산 최대규모 촛불집회
정부 수립이래 사상 최대규모
12월 10일7차166,0001,040,0007,630,000전날(12월 9일)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12월 17일8차77,000770,0008,400,000
12월 24일9차53,000702,0009,102,000
12월 31일10차83,0001,104,00010,206,000누적 연인원 1,000만명 돌파
2017년1월 7일11차38,000643,38010,849,380
1월 14일12차비공개146,70010,996,080경찰 추산 '비공개' 전환
1월 21일13차352,40011,348,480
1월 28일--11,348,480설 합동 차례로 대체
2월 4일14차425,50011,773,980
2월 11일15차806,27012,580,250
2월 18일16차844,86013,425,110
2월 25일17차1,078,13014,503,2407차 민중 총궐기
3월 1일18차300,00014,803,240
3월 4일19차1,050,89015,854,130
3월 11일20차708,16016,562,290전날(3월 10일) 대통령 박근혜
탄핵 인용(파면) 결정
최종 누적 연인원
(공식 누적 연인원)
16,562,290명
(16,581,160명)
괄호 안은 평일집회 등을 모두 포함한
주최측 공식 누적인원
2017년3월 25일21차비공개102,40016,664,690
4월 15일22차
109,60016,774,290
4월 29일23차
50,00016,852,360
* 순간최대인원으로 추산 / ** 연인원으로 추산 / *** 촛불집회 인원과는 별도로 집계

광화문에 약 107만 명의 인원이 모여 10차 범국민행동 이후로 참가자 수가 오랜만에 100만을 넘겼으며, 2017년에 진행된 집회 중에서는 19차 범국민행동과 함께 100만을 넘긴 집회가 되었다. 이 기록은 19차 범국민행동 집회가 일어나기 전에는 2017년 집회 중 유일하게 100만 명을 넘긴 집회였다.

3. 집회 진행 및 생중계[편집]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이번 민중총궐기는 서울시청 앞 광장(서울시청은 탄핵 반대집회가 있음.)이 아닌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다.


서울에서는 다음과 같이 집회가 진행될 예정이다.

오후 4:00 - 5:00민중총궐기
오후 5:00 - 6:00사전공연과 시민발언대
오후 6:00 - 7:3017차 범국민대회
오후 7:30 - 9:00행진
오후 9:00집회 종료

생중계는 오마이tv와 팩트tv 등에서 한다.

4. 지역 집회[편집]


대동하야지도
http://tadream.tistory.com/17250 참고

4.1. 수도권[편집]


-

4.2. 강원도[편집]


-

4.3. 충청도[편집]


-

4.4. 전라도[편집]


오후 6시 부터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에서 촛불집회가 있었다.
참가한 시민들은 자유한국당사까지 행진하여 특검 연장및 자유한국당의 해체를 외쳤다.

4.5. 경상도[편집]


오후 6시부터 창원시청광장에서 집회가 진행되었다.

부산에서는 오후 6시부터 서면 중앙대로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7시 30분경 행진을 할 계획이라고 한다.

대구에서는 오후 6시 부터 동성로(중앙로) 중앙 파출소 앞의 대중교통전용도로를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진행되었다. 3000명 정도가 참석하였고, 문명고 한국사 역사 국정 교과서에 반발하는 서명운동도 이뤄졌다.

4.6. 제주도[편집]


-

4.7. 국외[편집]


-

5. 반응[편집]


-

5.1. 한국 언론 반응[편집]


-

5.2. 외신 반응 기사[편집]


-

6. 기타[편집]



6.1. 친박 단체 맞불 집회[편집]


이 날 있었던 박근혜 탄핵 및 하야를 반대하는 14차 맞불집회 문서는 박근혜 탄핵 반대 집회/경과.

6.2. 그 외[편집]


[민중총궐기 홍보영상] 2017 2.25 민중총궐기[팩트TV] (2.23) 박근혜 퇴진행동 기자간담회
  • 이번 집회는 서울로 집중되는 집회(민중총궐기)에, 3월 첫째주 탄핵 선고 예상 시 마지막 집회가 될 수도 있고, 특검연장 거기에 박근혜 대리인단의 지연 전술과 우병우의 구속영장이 기각되면서 이것에 분노한 시민들이 더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 퇴진행동 측에선 48시간 비상행동을 펼칠 예정인 듯하다. 아마도, 집회를 홍보하기 위해서인 듯하다.

  • 이날 촛불집회에서 횃불을 들고 행진했던 2명의 시위 참석자에 대해 경찰이 집시법 위반 건으로 내사에 착수했다고 3월 6일에 밝혔다. # 경찰은 이와 함께 "몽둥이 맛 좀 봐야 한다" 발언을 했던 장기정 씨 등의 사례에 대해서도 함께 내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 이번 집회에서도 정치인들이 대거 참여했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9:23:53에 나무위키 2017년 2월 민중총궐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번 집회는 꽤나 로 집회가 진행될수 있기 때문에 1회용 교통카드를 쓰는 사람이라면, 미리 집으로 가는 1회용 교통카드를 사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귀가하는 시간대에 1회용 교통카드 발권기에 사람이 몰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차라리 티머니를 소지하는 게 나을 지도(...). 이는 집회 장소와 인접한 역에서 안내문을 붙여 안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