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60 로마 올림픽/축구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1960 로마 올림픽



--

파일:1960 로마 올림픽 로고.png
올림픽 축구
대회기간1960년 8월 26일 ~ 9월 10일
본선 진출국16개국
우승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준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3위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득점왕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밀란 갈리치 | 7골
이전·이후 대회
1956년
멜버른
1960년
로마
1964년
도쿄

1. 개요
2. 경기장
3. 본선 진출국
4. 조 편성
4.1. 조 편성 결과
5. 선수 명단
6. 대회 진행
7. 최종 순위
8. 여담


1. 개요[편집]


1960 로마 올림픽축구 종목에 대하여 서술하는 문서.

지금의 올림픽 축구 16개국 본선 진출 체제의 원형이 완성된 첫 대회다.


2. 경기장[편집]




3. 본선 진출국[편집]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
유럽
(UEF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개최국1장8회1952금메달
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1960 로마 올림픽
유럽 지역예선
예선 1조 1위7장6회1952은메달
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예선 2조 1위4회19524위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48-1967).svg불가리아예선 3조 1위4회1956동메달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예선 4조 1위7회1956은메달
파일:영국 국기.svg영국예선 5조 1위8회1956금메달
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예선 6조 1위7회19524위
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예선 7조 1위5회1952금메달
남미(CONMEBOL)
북미(NAFC)
중미/카리브 (CCC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1960 로마 올림픽
아메리카 예선
우승3장2회1960은메달
파일:페루 국기.svg페루준우승2회19368강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3위2회19528강
아프리카
(CAF)
파일:시리아 국기.svg아랍연합공화국[1]1960 로마 올림픽
아프리카 지역예선
최종예선 우승2장7회19524위
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최종예선 2위첫 출전--
아시아
오세아니아 (AFC)
파일:대만 국기.svg중화민국[2]1960 로마 올림픽
아시아 - 오세아니아 지역예선
최종예선 승자[3]3장3회[4]19361R
파일:인도 국기.svg인도4회19564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터키6회19528강
  • 영국 아마추어 대표팀이 유럽 예선을 뚫어낸 마지막 대회다. 이 대회 이후 영국은 1972 뮌헨 올림픽 지역예선까지 참가했다가 76년 대회부턴 단일팀 구성을 포기하고 참가를 안했다. 그러다 2012년 자국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면서야 40년만에 영국 대표팀이 다시 조직된다.
  • 남미와 북중미가 함께 예선을 치른 마지막 대회다. 총 3장이 걸린 아메리카 통합예선에서 남미 3개국이 티켓을 모두 쓸어갔으며 북중미는 결국 한 국가도 본선에 오르지 못했다.
  • 현재 차이니즈 타이페이라는 이름으로 국기를 걸지 못하고 나오는 대만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국제 축구 대회 본선에 진출한 대회다. 당시 중화민국은 아시아 최종예선에서 대한민국을 만나 홈에서 두 경기를 모두 치를 수 있게 된 유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1차전을 1-2로 졌다. 그리고 2차전에서 이른 시간 선제골을 넣고 균형을 맞춘 뒤 심판이 중화민국의 페널티킥까지 선언하면서 역전 찬스를 맞이했다. 경기 내내 편파판정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한 대한민국 선수들이 심판 판정에 격분해 심판을 공격(!!)하는 상황이 발생했고, 그대로 경기는 종료되어 후일 대한민국에게 몰수패가 선언되어 중화민국이 우여곡절끝에 본선에 진출했다. 1948년 런던 올림픽 이후 12년만의 본선 진출이자 국부천대 이후로는 첫 진출이었다.
  • 또한 터키가 아시아 예선을 치르고 본선에 올라간 처음이자 마지막 대회다. 터키는 중동 국가들이 모인 아시아 3조에서 이라크, 레바논을 누르고 본선에 진출했다. 이후 터키는 1962년부터 UEFA에 가입해 유럽 예선을 치르고 있다.


4. 조 편성[편집]



4.1. 조 편성 결과[편집]




5. 선수 명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60 로마 올림픽/축구/참가팀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대회 진행[편집]



6.1. 조별리그[편집]



6.1.1. A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210134+95
2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48-1967).svg불가리아21083+55
3파일:시리아 국기.svg아랍연합공화국012411-71
4파일:튀르키예 국기.svg터키012310-71
결선 진출 | 탈락


6.1.2. B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21094+55
2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201106+44
3파일:영국 국기.svg영국1118803
4파일:대만 국기.svg중화민국003312-90
결선 진출 | 탈락


6.1.3. C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30084+46
2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20164+24
3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10275+22
4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003311-80
결선 진출 | 탈락


6.1.4. D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300153+126
2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11139-63
3파일:페루 국기.svg페루10269-32
4파일:인도 국기.svg인도01236-31
결선 진출 | 탈락


6.2. 토너먼트[편집]





6.2.1. 결선 토너먼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60 로마 올림픽/축구/결선 토너먼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최종 순위[편집]



1960 로마 올림픽 남자축구 우승국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두번째 우승


8. 여담[편집]


  • 처음으로 올림픽 축구에 조별리그가 도입되었다. 1908년 처음 국가대항전으로 올림픽 축구가 치러진 이래 52년만의 대회 방식 변화인데, 다만 일정의 타이트함을 고려해 16강 조별리그 이후 각 조 1위만 4강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4년 뒤 대회에서는 각 조 2위까지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보편적인 8강 토너먼트 체제가 도입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8:33:16에 나무위키 1960 로마 올림픽/축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이집트, 시리아 연합[2] 당시 본토의 중화인민공화국은 정식 인가를 받지 못한 국가였고 타이완 섬의 중화민국이 유일 합법 중국정부로 인정받고 있었기에 국호를 그대로 쓰면서 올림픽에 나올 수 있던 시절이었다.[3] 홈 앤드 어웨이의 완전 토너먼트로 치러졌다.[4] 중화민국의 국부천대 이후로는 첫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