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9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사우디아라비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3768><width=20%><rowcolor=#fff> 1회 ||<width=20%> 2회 ||<width=20%> 3회 ||<width=20%> 4회 ||<width=20%> 5회 ||
||<rowbgcolor=#fafafa,#24252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92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95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97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멕시코 국기.svg
1999
멕시코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1
한국·일본
||
||<rowcolor=#ff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rowbgcolor=#fafafa,#242528> 파일:프랑스 국기.svg
2003
프랑스
|| 파일:독일 국기.svg
2005
독일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09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3
브라질
||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7
러시아
||
||<-5><bgcolor=#fafafa,#242528>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멕시코 1997™
1997 FIFA Confederations Cup.
1997 السعودية
파일:1997_FIFA_Confederations_Cup.png
대회기간 1997년 12월 12일 ~ 1997년 12월 21일
개최국 사우디아라비아
진출팀 8개팀
대회 결과
우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준우승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4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1]
골든볼 파일:브라질 국기.svg 데니우송
골든슈 파일:브라질 국기.svg 호마리우 (7골)
이전·이후 대회
1995년
사우디아라비아
1997년
사우디아라비아
1999년
멕시코

1. 개요
2. 진출국
3. 조 편성
4. 선수 명단
5. 조별리그
5.1. A조
5.2. B조
6. 결선 토너먼트



1. 개요[편집]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된 컨페더레이션스컵의 3번째 대회이자, 8개국으로 확장되어 정식 FIFA 주관 대회로 치러지는 첫 번째 대회다.

대회 전신인 킹 파드컵을 개최했던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렸으며, 이 대회에서부터 6대륙 챔피언과 직전 FIFA 월드컵 우승국, 개최국이 참가하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컨페더레이션스컵의 진출권 배분 시스템이 갖춰졌다.


2. 진출국[편집]


  • 진출권을 확보한 순서대로 나열하였다.
참가 자격국가대륙대회통산 출전최근 출전최고 성적비고
개최국
아시아 챔피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우승3회1995준우승 (1992)
월드컵 챔피언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1994 FIFA 월드컵 미국 우승첫 출전--[2]
남미 챔피언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1995 코파 아메리카 우루과이 우승첫 출전--[3]
북중미 챔피언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1996 CONCACAF 골드컵 우승2회19953위 (1995)-
아프리카 챔피언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공화국199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첫 출전--
유럽 준우승파일:체코 국기.svg체코UEFA 유로 1996 준우승첫 출전--[4]
오세아니아 챔피언파일:호주 국기.svg호주1996 OFC 네이션스컵 우승첫 출전--
아시아 준우승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준우승첫 출전--[5]


3. 조 편성[편집]


  • A조: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멕시코, 호주
  • B조: 아랍에미리트, 우루과이, 남아프리카공화국, 체코


4. 선수 명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9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사우디아라비아/참가팀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조별리그[편집]


현지시간 기준.


5.1. A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21062+47
2파일:호주 국기.svg호주11132+14
3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10286+23
4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10218-73
결선 진출 | 탈락

경기 일자경기 시간홈팀경기 결과원정팀관중경기장
1997. 12. 1216:15사우디아라비아0 : 3브라질80,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1997. 12. 1219:00멕시코1 : 3호주15,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1997. 12. 1416:15사우디아라비아0 : 5멕시코15,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1997. 12. 1420:00호주0 : 0브라질15,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1997. 12. 1616:15사우디아라비아1 : 0호주55,45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1997. 12. 1620:00브라질3 : 2멕시코20,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5.2. B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30084+49
2파일:체코 국기.svg체코11195+44
3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10228-63
4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공화국01257-21
결선 진출 | 탈락

경기 일자경기 시간홈팀경기 결과원정팀관중경기장
1997. 12. 1317:50아랍에미리트0 : 2우루과이13,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1997. 12. 1320:00남아프리카공화국2 : 2체코7,5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1997. 12. 1517:50아랍에미리트1 : 0남아프리카공화국11,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1997. 12. 1520:00체코1 : 2우루과이9,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1997. 12. 1717:50아랍에미리트1 : 6체코8,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1997. 12. 1720:00우루과이4 : 3남아프리카공화국8,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6. 결선 토너먼트[편집]


  • 4강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홈팀경기 결과원정팀관중경기장
1997. 12. 1915:15브라질2 : 0체코28,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1997. 12. 1919:00우루과이0 (asdet) 1호주22,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 3·4위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홈팀경기 결과원정팀관중경기장
1997. 12. 2117:50체코1 : 0우루과이27,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 결승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홈팀경기 결과원정팀관중경기장
1997. 12. 2121:00브라질6 : 0호주65,000명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리야드

브라질은 결승전에서 호나우두호마리우가 해트트릭를 기록하면서 호주를 6:0로 완파하고 우승을 차지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2:41:46에 나무위키 199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사우디아라비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5위 멕시코, 6위 UAE, 7위 사우디, 8위 남아공[2] 1997 코파 아메리카 볼리비아 우승으로 남미 출전권도 중복으로 차지해 우루과이에게 티켓이 양도되었다.[3] 1997 코파 아메리카 볼리비아 우승국 브라질이 이미 월드컵 챔피언 자격으로 티켓을 확보한 상태이기 때문에 2년 전 대회 챔피언인 우루과이에게 티켓이 양도되었다.[4] 유로 1996 우승팀인 독일 국가대표팀이 출전에 난색을 표하면서 준우승팀인 체코가 대신 출전했다.[5] 1996 AFC 아시안컵 우승팀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미 개최국으로써 티켓을 확보했기 때문에 준우승팀 아랍에미리트에게 티켓이 양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