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덤프버전 :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Africa Cup of Nations Egypt 2006
2006 كأس أمم أفريقيا
파일:2006_Africa_Cup_of_Nations_logo.svg.png
대회기간1월 20일 ~ 2월 10일
개최국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참가팀16개팀
대회 결과
우승이집트파일:Egypt_FA.png
준우승코트디부아르파일: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위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위세네갈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수상
골든볼파일:Egypt_FA.png 아메드 하산
골든부트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사뮈엘 에토 (5골)
연표
이전 대회200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튀니지)
다음 대회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나)

1. 개요
2. 경기장
3. 참가팀
4. 조별리그
4.1. A조
4.2. B조
4.3. C조
4.4. D조
4.5. 결선 라운드
5. 결과
6. 여담



1. 개요[편집]


아프리카 축구 연맹 주관의 25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이집트에서 개최되었다.


2. 경기장[편집]




3. 참가팀[편집]


독일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예선이 네이션스컵의 예선을 겸했다. 당시 월드컵 최종예선 다섯 개 조에서 각 조 1위 5팀은 월드컵 본선과 네이션스컵 본선에 모두 진출했으며, 각 조 2~3위 10팀이 추가적으로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했다. 개최국 이집트가 3조 3위로 진출권을 중복해서 획득했기 때문에 이집트의 출전권은 3조 4위 리비아에게 양도되었다.

  • 1조 : 토고 (1위), 세네갈 (2위), 잠비아 (3위)
  • 2조 : 가나 (1위), 콩고민주공화국 (2위), 남아프리카공화국 (3위)
  • 3조 : 코트디부아르 (1위), 카메룬 (2위), 이집트 (개최국, 3위) + 리비아 (4위)
  • 4조 : 앙골라 (1위), 나이지리아 (2위), 짐바브웨 (3위)
  • 5조 : 튀니지 (1위), 모로코 (2위), 기니 (3위)


4. 조별리그[편집]



4.1. A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21061+57
2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2014406
3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02101-12
4파일:리비아 국기(1977–2011).svg리비아01215-41
결선 진출 | 탈락

4.2. B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30071+69
2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 DR1112204
3파일:앙골라 국기.svg앙골라11145-14
4파일:토고 국기.svg토고00327-50
결선 진출 | 탈락

4.3. C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기니 국기.svg기니30071+69
2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20164+26
3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11123-13
4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공화국00305-50
결선 진출 | 탈락

4.4. D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30051+49
2파일:세네갈 국기.svg세네갈1023303
3파일:가나 국기.svg가나10223-13
4파일:짐바브웨 국기.svg짐바브웨10225-33
결선 진출 | 탈락


4.5. 결선 라운드[편집]


경기대진표경기대진표경기대진표
A8강 1경기
이집트 4:1 콩고DR
E4강 1경기
이집트 2:1 세네갈
G결승
이집트 0:0 (4:2)[1] 코트디부아르
B8강 2경기
기니 2:3 세네갈
-
C8강 3경기
카메룬 1:1 (11:12)[2] 코트디부아르
F4강 2경기
코트디부아르 1:0 나이지리아
D8강 4경기
나이지리아 1:1 (6:5)[3] 튀니지
H3/4위전
세네갈 0:1 나이지리아

2006 CAF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5번째 우승


5. 결과[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이집트6420123+914우승
2코트디부아르632165+111준우승
3나이지리아641173+4133위
4세네갈620478-164위
5카메룬431082+6108강
6기니430194+598강
7튀니지421175+278강
8콩고DR411236-348강
9앙골라311145-141라운드
10가나310223-131라운드
11잠비아310236-331라운드
12짐바브웨310225-331라운드
13모로코302101-121라운드
14리비아301215-411라운드
15토고300327-501라운드
16남아프리카공화국300305-501라운드


6. 여담[편집]


  • 2006 FIFA 월드컵 독일 대회를 약 5개월 앞두고 열린 대회라 국내에서도 대한민국의 본선 상대인 토고의 경기를 생중계로 편성하며 방영했었다. 당시 토고는 3전 전패를 하면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 앙골라와의 경기에선 2-3으로 아깝게 지는 등 마냥 무기력하지만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국내 축빠들을 긴장시키기도 했다.

  • 세네갈은 대회 4위에 올랐으나, 단 2승만을 거두는 참 신기한 전적을 작성했다. 조별리그를 1승 2패 세 팀이 물리는 진풍경 속에 행운의 2위를 차지해 뚫었고, 이후 8강전을 승리했으나 4강과 3위 결정전을 내리 패하면서 이 전적이 완성된 것이다. 결국 단기 토너먼트 대회에서는 살아남는 팀이 강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입증한 셈이다.

  • 반면 차기 월드컵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대회 전체 꼴찌를 기록하며 체면을 구겼다. 심지어 조별리그 3경기 전패에 무득점 5실점이라는 경기 내용적으로도 최악의 모습을 보이며 4년 뒤 월드컵에 대해서도 매우 좋지 않은 전망만 유발하고 말았다.

  • 이 대회 본선 진출국들 중 독일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국가들이 토고, 가나, 코트디부아르, 앙골라, 튀니지 5개국이었는데, 5개국 중 코트디부아르가 해당 대회 준우승을 차지하며 본선 진출국들의 체면을 살렸다. 토고와 앙골라, 가나는 광탈하면서 독일 월드컵 본선 진출국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저조한 성적으로 대회를 마쳤고[4], 튀니지는 초장부터 2승이나 거두면서 본선 진출국들 중 가장 잘 나가는가 싶었지만, 기니와의 최종전에서 그들의 돌풍을 막지 못하고 조 2위로 8강에 갔고, 결국 8강에서 지역예선에서 탈락한 나이지리아와 승부차기까지 간 끝에 패하고 탈락했다. 반면 독일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한 나이지리아, 카메룬, 세네갈 등 전통의 강호들은 각각 3위, 4위, 8강 등의 성적을 내면서 본선 진출 실패의 한을 원없이 풀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6:56:46에 나무위키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승부차기[2] 승부차기[3] 승부차기[4] 그래서 이들의 본선에서의 성적에 대해서 회의감을 가진 팬들이 많았지만, 이 대회 본선 진출국들 중 가나는 첫 본선 진출부터 죽음의 조를 뚫고 16강에 진출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