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앙골라

덤프버전 :




201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앙골라
2010 Africa Cup of Nations
Taça de África das Nações de 201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Orange_Africa_Cup_Of_Nation_2010.svg.png
대회기간1월 10일 ~ 1월 31일
개최국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참가팀16개팀
대회 결과
우승이집트파일:Egypt_FA.png
준우승가나파일: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위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위알제리파일:Algeria_NFT_(logo).png
수상
골든볼파일:Egypt_FA.png 아메드 하산
골든부트파일:Egypt_FA.png 게도 (5골)
골든글러브파일:Egypt_FA.png 에삼 엘하다리
연표
이전 대회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나)
다음 대회201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적도기니/가봉)

1. 개요
2. 경기장
3. 참가팀
4. 본선
4.1. 조별 리그
4.2. 결선 라운드
5. 결과
6. 이런저런 이야기



1. 개요[편집]


아프리카 축구 연맹 주관의 27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앙골라에서 개최되었다.


2. 경기장[편집]


  • Estádio 11 de Novembro (루안다) - 50,000석
  • Estádio Nacional do Chiazi (카빈다) - 20,000석
  • Estádio Nacional de Ombaka (벵겔라) - 35,000석
  • Estádio Nacional da Tundavala (루방고) - 20,000석


3. 참가팀[편집]


다음 16개 팀이 참가했다. 예선은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아프리카 지역 예선으로 대체되었다.
  • 앙골라 (개최국)
  • 가나
  • 가봉
  • 나이지리아
  • 말라위
  • 말리
  • 모잠비크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알제리
  • 이집트
  • 잠비아
  • 카메룬
  • 코트디부아르
  • 토고
  • 튀니지

사상 최초로 아프리카에서 열리는 월드컵인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같은 해에 먼저 열리는 대회라 많은 관심을 받았다. 그런데 정작 남아공은 예선 광탈을 했기 때문에 선수단 코빼기도 비치지 않았다.

예선 결과 서아프리카는 웃고 동아프리카는 울었다. 개최국 포함 16장의 본선 티켓 중 서아프리카 축구 연합(WAFU) 소속 국가대표팀이 절반에 해당하는 8장의 티켓을 따냈다. 반면 동아프리카 축구 협의회(CECAFA) 소속 국가대표팀은 전멸했다.

여기서 토고는 중도 기권했다. 대표팀이 카빈다 지역에서 무장괴한에게 총격을 받은 사건 때문.


4. 본선[편집]



4.1. 조별 리그[편집]


A조 (앙골라, 말리, 알제리, 말라위)
보기경기득점실점득실승점승자승
A앙골라312064+25
A알제리311113-24알제리: 3 Pts
말 리: 0 Pts
말리311176+14
말라위310245-13

앙골라4 : 4말리
말라위3 : 0알제리
말리0 : 1알제리
앙골라2 : 0말라위
앙골라0 : 0알제리
말리3 : 1말라위





B조 (코트디부아르, 가나, 토고, 부르키나파소)
보기경기득점실점득실승점승자승
A코트디부아르211031+24
A가나210123-13
부르키나파소201101-11

코트디부아르0 : 0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3 : 1가나
부르키나파소0 : 1가나





C조 (이집트, 나이지리아, 베냉, 모잠비크)
보기경기득점실점득실승점승자승
A이집트330071+69
A나이지리아320153+26
베냉301225-31베  냉: 1 Pts
모잠비크: 1 Pts
모잠비크301227-51

이집트3 : 1나이지리아
모잠비크2 : 2베냉
나이지리아1 : 0베냉
이집트2 : 0모잠비크
이집트2 : 0베냉
나이지리아3 : 0모잠비크





D조 (카메룬, 튀니지, 잠비아, 가봉)
보기경기득점실점득실승점승자승
A잠비아31115504잠비아: 3 Pts
카메룬: 3 Pts
가 봉: 3 Pts
A카메룬31115504
가봉31112204
튀니지30303303
승자승 원칙에 의한 3팀간 전적표
보기경기득점실점득실승점
A잠비아21014403
A카메룬21013303
가봉21012203

카메룬0 : 1가봉
잠비아1 : 1튀니지
가봉0 : 0튀니지
카메룬3 : 2잠비아
가봉1 : 2잠비아
카메룬2 : 2튀니지






4.2. 결선 라운드[편집]


경기대진표경기대진표경기대진표
A8강 1경기
앙골라 0:1 가나
E4강 1경기
가나 1:0 나이지리아
G결승
가나 0:1 이집트
B8강 2경기
잠비아 0:0(4:5)[1] 나이지리아
-
C8강 3경기
코트디부아르 2:3[2] 알제리
F4강 2경기
알제리 0:4 이집트
D8강 4경기
이집트 3:1[3] 카메룬
H3/4위전
나이지리아 1:0 알제리







2010 CAF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7번째 우승


5. 결과[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이집트6600152+1318우승
2가나53024409준우승
3나이지리아631264+2103위
4알제리621359-474위
5앙골라412165+158강
6잠비아412155058강
7코트디부아르311154+148강
8카메룬411268-348강
9말리311176+141라운드
10가봉311122041라운드
11튀니지303033031라운드
12말라위310245-131라운드
13부르키나파소201101-111라운드
14베냉301225-311라운드
15모잠비크301227-511라운드

  • 득점왕: 게도[4] (EGY), 5골


6. 이런저런 이야기[편집]


  • 개막전(앙골라 대 말리)에서 앙골라가 4:0으로 앞서다가 후반 34분 실점을 시작으로 4연속 실점으로 무재배를 하고 말았다. 특히 후반 추가시간 3분 지나고 연속으로 두 점을 내주며 동점이 되는 본격 예능축구를 선보이며 앙골라 팬들을 뒷목잡게 만들었다. 그리고 1년 뒤 이 상황은 잉글랜드의 어떤 클럽에게도 재현되는데...

  • 튀니지는 조에서 3전 전무를 거두고 나머지 3팀이 1승 1패로 물고 물리는 접전을 펼쳐 그 나머지 3팀이 승점 4점이 되고 튀니지만 승점 3점으로 무패 탈락+꼴찌가 됐다.

  • 알제리가 8강에서 드록국 코트디부아르를 연장전 끝에 3:2로 제압했다.[5] 그런데 여기서 힘을 너무 많이 써서인지 이집트한테 0:4로 맥없이 무너지고 3위 결정전에서 나이지리아한테도 0:1로 패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8:09:45에 나무위키 201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앙골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승부차기[2] 연장[3] 연장[4] 본명: 모헤미드 나기[5] 이 여파로 코트디부아르를 2연속 월드컵 본선에 진출시킨 바히드 할릴호지치 감독은 월드컵 본선을 불과 4개월 앞두고 경질되었다. 하지만 그는 4년 뒤 알제리 감독으로 월드컵 16강을 이루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