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

덤프버전 :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올림픽 야구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svg
종목야구
참가 인원240명
참가국8개국
기간2008년 8월 13일 ~ 8월 23일
경기장우커송 메인 야구장
우커송 제2구장
우커송 제3구장
홈페이지
1. 개요
2. 경기장
3. 선수단
4. 지역 예선 및 본선 진출 국가
4.1. 2006 IBAF 베이징 올림픽 아메리카 예선
4.2. 2007 오세아니아야구선수권대회
4.5. 2007 IBAF 베이징 올림픽 아프리카 예선
5. 참가국
6. 중계
7. 예선 풀리그
7.1. 예선라운드 순위
8. 결선 토너먼트
9. 최종 성적
10. 베이징 올림픽 이후
11. 대한민국 대표팀 선전 의의



1. 개요[편집]



2008 베이징 올림픽의 야구 종목으로 대한민국 대표팀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여자 핸드볼의 금메달 이후 16년 만의 단체 구기 종목 금메달을 따냈다.[1]


2. 경기장[편집]


'''{{{#ffffff 北京五棵松体育中心棒球场 / Wukesong-Baseball field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우커송 야구장.jpg
베이징 우커쑹 스포츠센터 메인 야구장(15,000석)

중국에는 프로야구리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정식 규격의 야구장 건설이 부담스러웠고 베이징시에 위치한 우커숭원화티위중신(五棵松文化体育中心)의 공터에 조립식 야구장을 건설했다. 메인 경기장을 포함해 총 3개의 경기장이 건설 되었으며 이후 중국야구리그의 베이징 타이거즈의 홈구장으로 사용하려 했으나 결승전이 열린 메인 스타디움을 비롯한 모든 야구 경기장은 올림픽이 끝나자마자 몇달도 안가 철거되어서 야구팬들에게 아쉬움을 안겨주었다.

한편 우커송 구장의 베이스는 한국야구회관빌딩 지하 1층의 아카이브 센터에서 보관 중이다. 계획대로라면 2019년에 개장할 한국 야구의 전당 및 야구박물관에 전시될 예정.##[2]

한때 한국에선 KBO가 올림픽 금메달의 영광을 함께한 이 구장의 베이스라도 소장하겠다고 중국 당국과 협상했지만 국가재산이라고 하면서 중국측이 완강히 거부해서 결국 불발되었다고 알려져있지만, 실제로는 공식적인 협상을 통해 2009년에 중국국가체육총국으로부터 2루 베이스를 기부받은 것이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이 건설 지원을 해주었으며, 크기는 센터 122m, 좌우 98m로 고척 스카이돔의 넓이(센터 122m, 좌우 99m)와 거의 같다.


3. 선수단[편집]


김경문호/2008년 항목 참고.


4. 지역 예선 및 본선 진출 국가[편집]


지역 예선 결과


4.1. 2006 IBAF 베이징 올림픽 아메리카 예선[편집]


순위참가국승률득점실점비고
아메리카 1위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610.8576932본선 직행
아메리카 2위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610.8576318
3위파일:WBSC 멕시코 국기.png 멕시코 520.7143824최종예선 진출
4위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430.5714338
2006년 8월 25일부터 9월 7일까지 열린 예선전. 미국과 쿠바가 본선에 진출했고, 멕시코와 캐나다가 최종 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4.2. 2007 오세아니아야구선수권대회[편집]


순위참가국승률득점실점비고
오세아니아 1위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 000.00000최종예선 진출
2007년 2월 8일부터 2월 11일까지 열릴뻔 했던 대회. 호주와 뉴질랜드 2개국이 최종예선을 놓고 대결을 펼치려 했으나 뉴질랜드가 기권을 선언하며 호주가 자동 진출하게 되었다.


4.3. 2007 유럽야구선수권대회[편집]


순위참가국승률득점실점비고
유럽 1위파일:WBSC 네덜란드 국기.png 네덜란드 501.0005414본선 직행
2위파일:WBSC 영국 국기.png 영국 32.6003524최종예선 진출[A]
3위파일:WBSC 스페인 국기.png 스페인 32.6004132최종예선 진출
4위파일:WBSC 독일 국기.png 독일 32.6002924최종예선 진출[A]
2007년 9월 7일부터 16일까지 개최되었다.


4.4. 2007 아시아야구선수권[편집]


순위참가국승률득점실점비고
아시아 1위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301.000245본선 직행
2위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21.667217최종예선 진출
3위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중화 타이베이 12.3331315

3전 3승을 기록한 일본이 본선으로 직행했고, 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이 대회로 인해 김경문 감독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졌고 선수 차출과 관련되어서 잡음이 일어나자 김경문 감독은 "이럴 거면 대표팀 감독 안한다!"는 배수진을 치기도 했다.


4.5. 2007 IBAF 베이징 올림픽 아프리카 예선[편집]


순위참가국승률득점실점비고
아프리카 1위파일:WBSC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png 남아프리카 공화국 501.000923최종예선 진출
원래 올림픽 아프리카 예선은 아프리칸 게임이 대체했으나 2007년 올아프리카 게임의 개최국인 알제리에는 야구, 소프트볼, 필드하키가 제외됨에 따라 별도의 올림픽 예선을 치뤘다.


4.6. 2008 베이징 올림픽 최종 예선[편집]


순위참가국승률득점실점비고
1위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61.857--본선 진출
2위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61.857--
3위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중화 타이베이 52.714--


5. 참가국[편집]


출전자격출전확정일자진출횟수최근 출전종전 최고성적WBSC 랭킹
파일:WBSC 중국 국기.png 중국 개최국 자동진출2001년1회첫 참가첫 참가-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IBAF 아메리카 예선 1위2006년 9월 7일4회2000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3]-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IBAF 아메리카 예선 2위2006년 9월 7일5회2004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4]-
파일:WBSC 네덜란드 국기.png 네덜란드 CEB 유럽야구선수권대회 우승2007년 9월 16일4회20045위[5]-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BFA 아시아선수권 우승2007년 12월 3일5회2004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6]-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IBAF 베이징 올림픽 최종예선 1위2008년 3월 14일2회20044위[7]-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IBAF 베이징 올림픽 최종예선 2위2008년 3월 14일3회2000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8]-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중화 타이베이 IBAF 베이징 올림픽 최종예선 3위2008년 3월 14일3회1992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9]-

각 대표팀 로스터


6. 중계[편집]


TV중계는 예선전에는 낮에 열린 중국전을 제외하고는 3사가 돌아가면서 중계했으며, 준결승 이후부터는 3사가 동시중계했다. 시청률의 승자는 허구연의 MBC.

네이버에서는 문자중계에 유명 야구인사들을 초빙하여 문자중계에 해설을 맡겼다. 김인식 한화 감독, 이만수 SK 코치, 서용빈 LG 코치, SK 박재홍 선수, 김동수 히어로즈 선수, 송재우 해설위원, 최훈 작가 등.


7. 예선 풀리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예선 풀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1. 예선라운드 순위[편집]


순위경기득점실점승률승차승자승비고
1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77041221.0004강 진출
2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76152230.8571
3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75240220.7142
4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74330140.5713
5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중화 타이베이 72529330.28651승 0패예선 탈락
6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72529200.28650승 1패
7파일:WBSC 네덜란드 국기.png 네덜란드 7169500.14361승 0패
8파일:WBSC 중국 국기.png 중국 71614600.14360승 1패

한국은 전승을 거두면서 결선리그에 진출했다. 매 경기 아슬아슬한 승부와 수비실책으로 인해 야구 팬들의 눈에는 이번 대표팀의 성적을 비관적으로 보는 견해가 많았으나, 의외로 SBS 특별 해설위원으로 위촉된 김성근 감독은 전승에 금메달을 예상했고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


8. 결선 토너먼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결선 토너먼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최종 성적[편집]


순위국가경기비고최종 성적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990금메달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972은메달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963동메달
4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9454위
5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725조별리그
6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725조별리그
7파일:WBSC 네덜란드 국기.png 네덜란드716조별리그
8파일:WBSC 중국 국기.png 중국716조별리그

2008 베이징 올림픽 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external/ph.idomin.com/263640_203531_235.jpg
첫번째 우승대한민국


"Nine starting players. Nine games. Nine wins. Perfect."

"9명의 선발 선수. 9번의 경기. 9번의 승리. 완벽하다."

MLB.com 소속 기자 마크 뉴먼#


불과 1년 전 만해도 선수 선발 과정에서의 잡음과 아시아 예선에서 탈락하며 삿포로 참사 2탄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조별 예선에서 중국에게 쩔쩔 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10] 크게 이기던 대만에게 따라잡혀 질뻔 하기도 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대호, 오승환, 정근우로 대표되는 82라인이승엽, 정대현등 국제대회의 강자들, 그리고 김현수, 류현진, 김광현, 이종욱, 윤석민, 강민호[11] 등 리그를 대표하는 신인급 선수들의 맹활약을 펼치며 남자 구기종목 최초의 금메달을 따는 데 성공했다.


10. 베이징 올림픽 이후[편집]













11. 대한민국 대표팀 선전 의의[편집]


베이징올림픽 당시에는 집에서 TV로 경기를 봤다. 그때는 2002한일월드컵 이후라 야구가 침체돼 있었다. 어떻게 하면 야구를 살리느냐를 놓고 고민했을 때다. 동네엔 온통 축구만 했다. 그런데 이변이 일어났다. 베이징올림픽에서 우리 선수들이 선전을 하자 금방 분위기가 바뀌었다. 야구경기를 하는 날이면 온 동네가 떠들썩했다. 동네 주차장에서도 아이들이 야구를 했다. 좋은 기회다 싶었다. 당시 초등학생이던 작은 아이가 동네 클럽에서 축구를 했다. 축구하는 학부모들에게 '내가 야구를 가르쳐도 되겠나'라고 물어봤는데 모두 좋다고 했다. (중략) 잘 하는 아이들은 리틀 야구 보냈다. 이후 야구붐이 일어났고, 동네에 축구 클럽이 없어졌다. 2009, 2010년 학교 운동장에는 거의 대부분 야구를 했다.

양해영 KBO 사무총장 인터뷰 中

리그에서 젊은 국가대표급 선수들을 계속 볼 수 있게 되었다는 점도 있었지만, 이제 대한민국 야구계 스스로 자신들의 실력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났다. 이는 다음해 열린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도 좋은 성적으로 연결되었고, 대한민국에 야구 붐이 더욱더 일어나는 계기로서 작용되었다.

유소년 야구도 대폭 증가하게 되었는데, 초·중·고·대 선수들은 2006년 6,400명에서 2015년 16,000명으로 늘어났다. 팀은 282팀에서 455팀으로 173개팀이나 늘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이후 침체되어 있던 야구계가 다시금 재도약하게 되었고, SK 와이번스두산 베어스를 필두로 여성 관중들의 대거 유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며[15]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게다가 베이징 올림픽 다음 해의 2009년에는 KIA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를 인수한 이후 처음으로 정규시즌과 한국시리즈를 우승하며 팬이 또다시 대량으로 흡수[16] 되는 등 관심도가 대폭 올라가면서 자금의 유입 규모가 커졌고 이는 야구계 인프라 산업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게 되었는데 2008년의 선전이 아니었다면 불가능했을 일.

당시 프로야구와 대등한 싸움을 하던 K리그에도 타격이 있었는데, 축구기자간의 대담에서도 이때의 충격이 상당했음을 보여준다. ##

참고로 이때 처음 야구본 사람을 일컬어 베이징 뉴비라 부르며 에드먼턴 키즈 이후 베이징 키즈가 생기면서 다시 전성기를 열었다.

반대로 씁쓸한 일이 있는데 이 당시 한국야구대표팀 단장이 바로 하일성이었다. 2016년 자살로 삶을 끝낸 그가 살아 생전, 묘비명을 올림픽 야구단장 하일성이라고 적어달라고 강조했던 걸 보면 그도 이 올림픽 금메달이 가장 인생에서 좋았던 일로 생각한 모양이지만 결승전 이후 대표팀 선수들과 웃으며 사진찍은 게 하일성을 기억할 때 씁쓸하게 남게 되었다.
[1] 남자 구기 종목 중에선 최초.[2] 해당 기사에서는 고척 스카이돔에 들어설 한국야구박물관에 기증한다고 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건설될 예정인 KBO 명예의 전당이 건설 되면 그곳에 전시될 계획이라고 한다.[A] A B 예선에 필요한 경비 1억이 모자라 영국은 최종 예선 출전을 포기했고 대신 4위를 기록했던 독일이 참가했다.[3] 2000.[4] 1992, 1996, 2004.[5] 1996, 2000.[6] 1996.[7] 2004[8] 2000.[9] 1992.[10] 사실 한국이 부진했었고 경기도 잘 안 풀렸던게 사실이지만 그 대회에서 대만을 잡는 이변을 연출하는 등 중국이 선전했던 점도 컸다.[11] 최초의 제주도 출신 메달리스트이다.[12] 극소수이긴 하지만 엄연히 여자 야구 선수와 남자 소프트볼 선수도 있다. 일본에서는 아예 여자프로야구도 있을 정도이다.[13] 그것도 FA대박을 2번씩이나 치면서 진갑용과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14] 반면 일본은 절치부심해서 13년 전의 굴욕을 완벽하게 씻어냈다. 공교롭게도 베이징 때와는 정반대의 결과가 된 셈.[15] 더구나 이 두 팀은 KBO 한국시리즈에서의 맞대결을 통해 주가도 높았던 팀들이다.[16] 많은 사람들이 알겠지만 원년 클래식 팀인 롯데와 KIA의 팬수는 다른 구단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많으며 골수 팬들이 즐비해 있다. 허구연이 한국 프로야구가 흥행하려면 롯데와 KIA가 잘해야 된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것이 과장이 아닌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