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회2회3회4회5회
ta-hash-start=w-e97986091ee430b881ba8fc9755a64a8[[파일:스웨덴 국기.svg
2011
스웨덴
ta-hash-start=w-8928157317a66f146e4f2d5617537336[[파일:미국 국기.svg
2012
미국
ta-hash-start=w-8928157317a66f146e4f2d5617537336[[파일:미국 국기.svg
2013
미국
ta-hash-start=w-0f8845776cbc3caff29b9f694fd40d1c[[파일:대만 국기.svg ta-hash-start=w-d805b6758ed06f65b516d0d960ad39d2[[파일:싱가포르 국기.svg ta-hash-start=w-fe60c129a74980578dc8fb0f8fe39b3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대만 · 싱가포르 · 대한민국
ta-hash-start=w-5a47e8396aec590c7706662f94114ebe[[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5
유럽
6회7회8회9회10회
ta-hash-start=w-8928157317a66f146e4f2d5617537336[[파일:미국 국기.svg
2016
미국
ta-hash-start=w-7959dda442f1f4b2f96a56a70c692ed6[[파일:중국 국기.svg
2017
중국
ta-hash-start=w-fe60c129a74980578dc8fb0f8fe39b3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대한민국
ta-hash-start=w-5a47e8396aec590c7706662f94114ebe[[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9
유럽
ta-hash-start=w-7959dda442f1f4b2f96a56a70c692ed6[[파일:중국 국기.svg
2020
중국
11회12회13회14회15회
ta-hash-start=w-50f9999b2ee27e222c5513e945e9ea9c[[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2021
아이슬란드
ta-hash-start=w-a6e2b1a32cacd804b63045e88f659624[[파일:멕시코 국기.svg ta-hash-start=w-8928157317a66f146e4f2d5617537336[[파일:미국 국기.svg
2022
멕시코 · 미국
ta-hash-start=w-fe60c129a74980578dc8fb0f8fe39b3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대한민국
ta-hash-start=w-d207678f6407819552de1a052f26a501[[파일:영국 국기.svg
2024
영국
ta-hash-start=w-eb8d99edd6f237b1d907626b12a10310[[파일:국기.svg
2025
미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
Samsung Galaxy파일:logo-ig.png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결승 MVP
박재혁
(SSG Ruler)
가오전닝
(IG Ning)
가오톈량
(FPX Tian)
파일:31823266648_df0321e38f_k.jpg

파일:1654258876177.png
파일:Worlds 2018.png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대회 기간2018년 10월 1일 ~ 11월 3일
주최라이엇 게임즈
주관
개최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 추첨식2018년 9월 23일[1]
참가팀24개 팀
패치 버전8.19
경기장 플레이-인 스테이지
서울 LoL PARK
그룹 스테이지/8강
부산 BEXCO 오디토리움
4강
광주여자대학교 유니버시아드 체육관
결승전
인천문학경기장 주경기장
일정플레이-인 스테이지
1라운드 - 10월 1일 ~ 10월 4일
2라운드 - 10월 6일 ~ 10월 7일
그룹 스테이지
10월 10일 ~ 10월 17일
녹아웃 스테이지
8강 - 10월 20일 ~ 10월 21일
4강 - 10월 27일 ~ 10월 28일
결승 - 11월 3일
국내 중계OGN, 네이버 TV, 카카오 TV, 트위치, 아프리카 TV
스폰서마스터카드[2], ACER, ACER Predator 시리즈, 로지텍
중계진캐스터
전용준, 성승헌
해설자
이현우, 김동준, 고인규, 강승현
분석가 [3]
하광석, 한왕호[4]
통역 및 인터뷰어
박지선[5]
대회 결과
우승Invictus Gaming
준우승Fnatic
결승 MVP가오전닝(IG Ning)
1. 개요
3. 참가팀
4. 일정
5. 대회 진행
6. 총평 및 결과
8. 기념 스킨
8.1. 챔피언십 카직스(Championship Kha'Zix)
8.2. Invictus Gaming 스킨
9. 여담
9.1. 라이엇 선정 TOP 20 플레이어
9.2. ESPN 선정 라인별 TOP 5 플레이어
9.3. 라이엇 코리아의 운영
9.4. 메타에 대한 평가
9.5. 번외: 제6회 다데상
9.6. 주요 기록
9.7. 결승전 진행 문제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8 LoL World Championship Moments and Memories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3일까지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제8회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 대표 선발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참가팀[편집]


  • 그룹 스테이지 진출팀: LCK 3팀[6] + 나머지 5대 리그의 1·2시드팀 + VCS 종합 포인트 1등팀[7]
  •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팀: LCK를 제외한 나머지 5대 리그의 3시드팀 + 5대 리그와 VCS를 제외한 나머지 리그의 종합 포인트 1등팀


지난 2년 간 5대 리그 중 최하위의 성적을 거뒀으며 MSI에서 4강에 들지 못한 LCS NA는 2팀 모두 2번 풀에 배정되고, 기타 리그 중 2018 MSI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거둔 VCS는 서머 우승팀이 그룹 스테이지 2번 풀로 직행한다. LPL이 올해의 MSI와 리프트 라이벌즈를 전부 석권했지만, 지난 대회의 우승 리그인 LCK의 3팀이 아직까지는 작년과 동일하게 모두 그룹 스테이지로 직행하게 된다.

  • 5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최다 출전팀
    • LCK - Gen.G Esports(5회 출전)[8]
    • LPL - Edward Gaming(5회 출전)[9], Royal Never Give Up(5회 출전)[10]
    • LMS - Flash Wolves(4회 출전)[11]
    • LCS NA - Cloud9(6회 출전)[12]
    • LCS EU - Fnatic(6회 출전)[13]

  • 5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최다 연속 출전팀
    • LCK - Gen.G Esports(3년 연속 출전)[14]
    • LPL - Edward Gaming(5년 연속 출전)
    • LMS - Flash Wolves(4년 연속 출전)
    • LCS NA - Cloud9(6년 연속 출전)
    • LCS EU - G2 Esports(3년 연속 출전)

  • 5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첫 출전팀
    • LCK - Afreeca Freecs
    • LPL - 없음
    • LMS - MAD Team, G-Rex
    • LCS NA - Team Liquid, 100 Thieves
    • LCS EU - Team Vitality

3.1. 로스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로스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일정[편집]






5. 대회 진행[편집]


[ 플레이-인 스테이지 펼치기 · 접기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logo-edg.png
EDG311일차 전승
2
파일:logo-ie.png
INF221일차 전패, 2일차 전승
3
파일:logo-dw.png
DW132일차 전패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B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logo-g2.png
G2412일차 전승, TB
2
파일:logo-sm.png
SUP321일차 전승, TB
3
파일:logo-ag.png
ASC04전패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C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logo-c9.png
C940전승
2
파일:logo-det.png
DFM232일차 전패, TB
3
파일:logo-kabum.png
KBM141일차 전패, TB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D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logo-grex.png
GRX40전승
2
파일:logo-gam.png
GMB22
3
파일:logo-kaos.png
KLG04전패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플레이-인 스테이지 2라운드
경기
조 1위
결과
조 2위
10/7파일:logo-c9.pngC932GMB파일:logo-gam.png
파일:logo-edg.pngEDG30DFM파일:logo-det.png
10/8파일:logo-g2.pngG231INF파일:logo-ie.png
파일:logo-grex.pngGRX31SUP파일:logo-sm.png
파랑색: 그룹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 그룹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logo-afs.png
AFs422R 전승
2
파일:logo-g2.png
G243TB
3
파일:logo-fw.png
FW34TB
4
파일:logo-pvb.png
PVB24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B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logo-rng.png
RNG521R 전승, TB
2
파일:logo-c9.png
C9432R 전승, TB
3
파일:logo-vit.png
VIT33
4
파일:logo-geng.png
GEN152R 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C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logo-kt.png
KT511R 전승
2
파일:logo-edg.png
EDG42
3
파일:logo-tl.png
TL33
4
파일:logo-mad.png
MAD06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D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logo-fnc.png
FNC612R 전승, TB
2
파일:logo-ig.png
IG521R 전승, TB
3
파일:logo-100.png
10024
4
파일:logo-grex.png
GRX06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8강 1경기 (10/20)
KT
C조 1위
파일:logo-kt.png2
IG
D조 2위
파일:logo-ig.png3

4강 1경기 (10/27)
파일:logo-ig.png3
파일:logo-g2.png0

FINALS (11/3)
파일:logo-ig.png3
파일:logo-fnc.png0
||
8강 2경기 (10/20)
RNG
B조 1위
파일:logo-rng.png2
G2
A조 2위
파일:logo-g2.png3
||
8강 3경기 (10/21)
AFS
A조 1위
파일:logo-afs.png0
C9
B조 2위
파일:logo-c9.png3

4강 2경기 (10/28)
파일:logo-c9.png0
파일:logo-fnc.png3
||
8강 4경기 (10/21)
FNC
D조 1위
파일:logo-fnc.png3
EDG
C조 2위
파일:logo-edg.png1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월드 챔피언십 우승



6. 총평 및 결과[편집]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LoL 2018
월드 챔피언
||
파일:logo-ig.png
순위표
순위경기득실상금비고
1위Invictus Gaming17143+11$2,418,750우승
2위Fnatic16115+6$870,750준우승
3위Cloud912((21)7((14)5((7)+2((+7)$451,5004강
4위G2 Esports14((22)6((12)8((10)-2((+2)
5위kt Rolster1174+3$258,0008강
6위Royal Never Give Up1165+1
7위Edward Gaming10((17)5((11)5((6)0((+5)
8위Afreeca Freecs945-1
9위Flash Wolves[R]6330$145,125그룹 스테이지
3위
10위Team Liquid6330
Team Vitality6330
12위100 Thieves624-2
13위Phong Vũ Buffalo624-2$80,625그룹 스테이지
4위
14위Gen.G Esports615-4
15위G-Rex[15]6((14)0((7)6((7)-6((0)
16위MAD Team606-6
17위Bahçeşehir SuperMassive8440$48,375플레이-인
2R 탈락
18위Gambit Esports945-1
19위Infinity eSports CR835-2
20위DetonatioN FocusMe716-5
21위KaBuM! e-Sports[R]413-2$32,250플레이-인
1R 탈락
22위Dire Wolves413-2
23위Ascension Gaming404-4
Kaos Latin Gamers404-4
이번 월즈 공식 결과표에는 순위 결정전의 결과를 승패 득실에 합산하지 않으며, 아래 표기도 공식 결과표에 따른다. 이에 따라 작년 표기와 달리 플레이-인 스테이지 1라운드에서 순위 결정전으로 탈락한 경우 오히려 표 순위상 높게 체크되지만, 획득 상금은 한 그룹으로 묶이므로 실질적으로는 바뀌는 게 없다.

대회의 기본 상금은 $2,250,000이며, 크라우드 펀딩으로 챔피언십 카직스와 2018 챔피언십 와드의 매출액 각 12.5%가 상금에 추가돼 총 상금은 약 $6,450,000이다. 상금 분배율은 다음과 같다.



6.1. 결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결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공식 영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공식 영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기념 스킨[편집]



8.1. 챔피언십 카직스(Championship Kha'Zix)[편집]


파일:khazix_Championship.jpg
가격1350RP(한정판)동영상#

한국에서 개최된 2018 월드 챔피언십 기념 스킨.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스킨. 챔피언십 스킨이니 만큼 훌륭한 퀄리티와 일러스트를 자랑한다. 팀 별로 크로마도 출시되었다.


8.2. Invictus Gaming 스킨[편집]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2018 시즌[16]
파일:2019_iG.jpg
피오라
(TheShy)
이렐리아
(Duke)
카밀
(Ning)
르블랑
(Rookie)
카이사
(JackeyLove)
라칸
(Baolan)



9. 여담[편집]






















9.1. 라이엇 선정 TOP 20 플레이어[편집]


월드 챔피언십은 전 세계 최고의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들이 모이는 정점입니다. 그들이 일 년간 기울인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는 무대죠. 100명이 넘는 선수들이 소환사의 컵을 들어 올리기 위해 자웅을 겨루게 됩니다. 지역 최고들만 모였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은 관중 속의 또 다른 얼굴로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이 중 일부만이 날아오를 수 있겠죠. 이미 이름을 널리 알린 선수들도 있고, 이전 대회에서 우승하며 살아 있는 전설로 기억되고 있는 선수들도 있습니다. 2018 월드 챔피언십 무대를 빛낼 20명의 선수들을 소개합니다.

최고의 선수 20인 명단은 “Jatt” 조슈아 리스맨, “Deficio” 마틴 린지 그리고 “PapaSmithy” 크리스 스미스에 의해 선정되었습니다. 이번 명단은 선수들의 현재 기량, 2018 시즌 및 이전 월드 챔피언십에서의 성적 그리고 올해 월드 챔피언십에서 기대되는 활약 등을 고려했습니다.

한국 공식 홈페이지 최고의 선수 20인 소개글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포지션최종 성적
1지안즈하오Uzi파일:logo-rng.png파일:Bot_icon.png
BOT
8강
2송의진Rookie파일:logo-ig.png파일:Mid_icon.png
MID
우승
3고동빈Score파일:logo-kt.png파일:Jungle_icon.png
JGL
8강
4김기인Kiin파일:logo-afs.png파일:Top_icon.png
TOP
8강
5박재혁Ruler파일:logo-geng.png파일:Bot_icon.png
BOT
그룹 스테이지 4위
6송경호Smeb파일:logo-kt.png파일:Top_icon.png
TOP
8강
7후숴제SwordArt파일:logo-fw.png파일:Support_icon.png
SPT
그룹 스테이지 3위
8시썬밍Ming파일:logo-rng.png파일:Support_icon.png
SPT
8강
9라스무스 뷘터Caps파일:logo-fnc.png파일:Mid_icon.png
MID
준우승
10이성진CuVee파일:logo-geng.png파일:Top_icon.png
TOP
그룹 스테이지 4위
11홍하오쉬안Karsa파일:logo-rng.png파일:Jungle_icon.png
JGL
8강
12김혁규Deft파일:logo-kt.png파일:Bot_icon.png
BOT
8강
13조세형Mata파일:logo-kt.png파일:Support_icon.png
SPT
8강
14강승록TheShy파일:logo-ig.png파일:Top_icon.png
TOP
우승
15황이탕Maple파일:logo-fw.png파일:Mid_icon.png
MID
그룹 스테이지 3위
16이서행Kuro파일:logo-afs.png파일:Mid_icon.png
MID
8강
17리위안하오Xiaohu파일:logo-rng.png파일:Mid_icon.png
MID
8강
18이예찬Scout파일:logo-edg.png파일:Mid_icon.png
MID
8강
19손우현Ucal파일:logo-kt.png파일:Mid_icon.png
MID
8강
20이량 펭Doublelift파일:logo-tl.png파일:Bot_icon.png
BOT
그룹 스테이지 3위
10월 9일, 그룹 스테이지가 시작하기 전날에 월즈 TOP 20 플레이어가 공개되었다.

전년도에 이어 이번에도 한국인 선수는 총 20명 중 12명이 선정되었지만, LCK 선수들은 9명만이 선정되었다. 유일하게 KT 주전 선수들은 모두 선정되었다.[23] 또한, 최초로 LCK 선수(한국인)가 1위에 선정되지 못했다.[24]

2015 월즈에 이어 순위 선정 방식에 많은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소드아트가 서포터 순위 1등인 점이나 룰러가 5등인 점, 유칼이 미드 7명 중 7등인 점, 우승 미드 샤오후의 저평가와 루키의 고평가, 국제 대회 경력이 없는 더샤이가 고평가된데 비해 경험 많은 메이플은 저평가하는 등 순위 선정 방식에 일관성이 없다는 평. 커리어와 현재 폼, 할당제 등을 다 섞다보니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8강이 끝나니 Rookie, Caps, TheShy 만 살아남았다. 8강에서 TOP 20 중 3명이 살아남은 것은 정말 희귀한 경우.

9.2. ESPN 선정 라인별 TOP 5 플레이어[편집]


9월 25일, ESPN에서 자체적으로 라인별 TOP 5 순위를 정리하여 공개하였다.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
1송경호Smebkt Rolster
2김기인KiinAfreeca Freecs
3강승록TheShyInvictus Gaming
4김찬호Ssumday100 Thieves
5옌쥔쩌LetmeRoyal Never Give Up
탑솔러의 나라 한국답게 1위부터 4위까지 모조리 한국인이 차지하였다. 기인은 월즈 첫 출전이기 때문에 2위로 밀려났다는 것이 중론이지만 정규시즌 1라운드와 결승전에서 불안한 모습을 보였던 스멥이 1위인 것도 ESPN다운 점 중 하나.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
1고동빈Scorekt Rolster
2홍하오쉬안KarsaRoyal Never Give Up
3이다윤SpiritAfreeca Freecs
4제이크 푸체로XmithieTeam Liquid
5가오전닝NingInvictus Gaming
스코어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스피릿이 3위를 기록한 점이 눈에 띈다. 기복은 여전하지만 캐리력 하나만큼은 뛰어난 점을 높게 본 듯하나 비슷한 스타일인 Mlxg와 하루는 순위에 기록되지 않았다. 또한 작년 월챔의 주인공인 앰비션 역시 부진으로 인해 이름을 올리지 못 하였다.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
1송의진RookieInvictus Gaming
2이서행KuroAfreeca Freecs
3손우현Ucalkt Rolster
4리위안하오XiaohuRoyal Never Give Up
5라스무스 뷘터CapsFnatic
팀을 이끈 루키가 1위를 차지했고 쿠로가 유칼보다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유칼이 경험이 적은 점을 반영한 듯하다. 우승 후보 RNG의 미드 샤오후가 4위를 기록한 점도 눈에 띈다.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
1지안즈하오UziRoyal Never Give Up
2김혁규Deftkt Rolster
3박재혁RulerGen.G Esports
4위원보JackeyloveInvictus Gaming
5피터 펭DoubleliftTeam Liquid
1위는 당연히 올 한해 모든 대회를 석권한 우지의 차지가 되었고 그런 우지를 2년 전에 LPL에서 압도한 적이 있는 데프트가 2위를 달성했다. 3위는 작년 월즈 결승 MVP 룰러.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
1후숴제SwordArtFlash Wolves
2조세형Matakt Rolster
3시썬밍MingRoyal Never Give Up
4조용인CoreJJGen.G Esports
5톈예MeikoEdward Gaming
가장 많은 소리가 나오고 있는 포지션으로 소드아트가 1위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에 와서 역시 ESPN은 재미로 보는 것 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한국인 선수는 25명 중 13명으로 절반이 넘게 선정되었고, LCK에서 뛰는 선수는 각 라인별로 2명씩 10명이 선정되었다. 또한 KT 선수들과 RNG 선수들은 주전이 모두 선정되었다.


9.3. 라이엇 코리아의 운영[편집]


이번 월즈부터 라이엇에서 자체 제작을 하게 되었는데 상태가 영 좋지가 않다.

월즈 개막 당일까지는 공식 홈페이지 최신화가 전혀 안 돼 있었다. 월즈에 관련된 정보는 공지사항에 올라온 글 하나뿐이다.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작년 2017년 월즈 정보만 있다. 일본, 북미, 브라질 등 다른 사이트를 들어가면 ESPORTS 탭을 누르면 현재 경기 상황이나 일정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만 유일하게 라이엇 코리아만 이런 상태이다. 롤 클라이언트로 접속하면 정보가 뜨긴 한다. 중계 방송도 라이엇 게임즈 공식 중계에 비해 화질도 떨어지고, 영어 클라이언트로 인게임 화면이 송출되며, 한국어 중계는 경기 직전에 중계를 시작해서 시작 전 사전 데이터에 대한 해설이 없어 시청자 입장에선 여러모로 불편하다. 누구를 위한 롤드컵인가 10월 2일부터 2018 시즌 정보로 업데이트 되었으나 VOD는 영어, 터키, 브라질 스트리밍만 존재한다.

10월 2일자 일정인 플레이-인 스테이지 1R 2회차의 경기 시작 후 트위치를 통한 송출 과정에서 화질이 720p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는 현상이 지속되어 트위치 공식 중계 채널을 통해 월즈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불만이 일어났다. 설상가상으로 타 국가 트위치 채널은 1080p 으로 지원하면서 한국쪽 채널만 720p 이상으로 적용되지 않는단 사실이 알려지면서 채팅창은 격한 항의 잔치로 도배되었다. 그나마 첫 경기였던 EDG vs INF가 끝난 직후 방송 재부팅을 통해 1080p 화질로 재송출되며 반발이 수그러들기는 했으나 상술한 문제와 겹쳐 한국에서 하는 대회를 한국 매체를 통해 보는데 한국인이 가장 불편하게 시청을 해야 한다는 미묘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이후 그룹 스테이지를 거치면서 점점 방송의 질이 나아지고 있다. 일단 앞에서 언급한 화질 문제는 본 방송과 같은 화질로 송출되고 있다. 또한 그동안 부족했던 경기 외 컨텐츠 문제도 중간중간 경기 하이라이트나 인터뷰를 추가했고 8강부터는 빛돌이 진행하는 분석 데스크 또한 운영할 예정이어서 점점 풍성해질 예정이다. 무엇보다 경기 진행이 매우 빠르고 매끄러운 건 팬들의 찬사를 받고 있다. 딜레이 없는 경기 진행과 항상 국제 대회에서 문제되는 퍼즈 문제도 선수들의 개인 사정을 제외하곤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다. 물론 여전히 음향이 겹친다거나 인터뷰 과정에서 방송 사고가 난다던지 화면 전환이 잘못돼서 캐스터의 사담이 방송에 들어간다던지 하는 방송의 기초적인 문제들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어 더욱 개선이 필요하다는 평이다.

그러나 기어이 결승전에서 발운영의 문제점이 터졌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


9.4. 메타에 대한 평가[편집]


2018 시즌 들어 라이엇 게임즈는 메타의 방향이 적극적인 교전과 초반 스노우볼링 위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패치를 진행했는데[25][26] 그 결과물이 2018 월즈에서 터져 나오게 됐다. 그리고 그 수혜를 톡톡히 본 지역은 메타가 운영 위주던 시절에도 교전을 좋아했으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던 LPL과 유럽이었다. 이들 중 LPL이야 꾸준히 최강 LCK를 위협하던 강력한 2인자였던데다가 월즈 전부터 심상치 않은 기세였으니 그렇다고 쳐도, 부족한 자금력 때문에 핵심 선수들 상당수가 북미와 LCK로 유출됐던 유럽의 선전은 정말 의외였다.

또한 메타에 대한 여론도 역대 시즌에 비해 최고로 재미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금까지의 월즈는 모든 시즌 공통으로 주도권을 쥔 쪽이 와드 밭을 깔고 싸움을 피하면서 바론, 드래곤 나올때까지 오브젝트 컨트롤 반복 후 한타 한 번으로 게임을 굳히거나 끝내는 소위 운영 의존 메타가 판을 쳐 관객 입장에서 경기가 길고 지루하다는 불만이 많았다. 하지만 서머부터 시작된 적극적인 교전으로 이득을 보는 메타가 월즈에서 완전히 자리잡은 결과 모든 경기에서 치열한 라인전, 소규모 교전, 한타 빈도가 대폭 증가했으며 평균 경기 시간도 크게 줄어들면서 매 경기마다 긴장감과 화끈함, 재미를 다 가져가게 되었다. 다만 OP 챔피언은 이전 시즌에 비해 굉장히 많이 나왔다.[27][28]

아직은 더 지켜봐야겠지만, Gen.G Esports의 그룹 스테이지 광탈, kt Rolster, Royal Never Give Up의 8강 석패 등의 결과만으로 특정 리그의 몰락이라기 말하기 어렵다. 오히려 진정한 전세계 리그의 상향 평준화 시대가 도래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면 때문에 '운영'을 잘하는 LCK는 불리하고 타 지역은 '한타'를 잘해서 유리한 메타였다 라고 할 수도 있지만, 정확하게 본다면 'LCK 선수들의 기량이 타 지역에 비해 떨어졌다.' 라고 보는 게 정확하다. 흔히 말하는 운영은 '인원 배치를 통해서 라인, 오브젝트를 유리하게 이끌어감. → 골드 및 템의 우위.' 라고 요약할 수 있는데, 이러한 운영도 기량이 더 뛰어나야 할 수 있는 것이다. 예시로 스플릿 푸쉬 운영을 할 때 1명이 푸쉬 한다면 필연적으로 4:5 상황이 나오는데 당연히 기량이 더 좋은 팀이어야지 4:5를 버티며 운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LCK 팀들이 패배한 건 이런 기량이 딸리는 상황에서의 운영 시도가 잘 굴러갈 리가 만무했고, 해외팀들의 노림수에 쉽게 약점을 내줬기 때문이다.

그러면 '운영'이란 요소는 이전만큼 중요하지 않은가? 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것도 아니다. LCK가 잘못한 것은 불리한 상황에서 운영하고 유리한 상황에서 한타를 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반대로 해외 팀들은 불리한 상황이면 뒤엎기 위해 적극적으로 달려들었고, 유리한 상황을 굳히기 위해서 운영적인 측면 또한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대회 중 클템 해설의 "상대가 달려들 생각조차 못하고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스플릿 푸쉬 운영을 하는 거죠!" 라는 말로 요약이 가능하다. 즉 이기기 위해 한타를 했던 타 지역과, 지지 않으려고 한타를 피했던 LCK가 비교되던 대회였다.

다만 소위 S급 아웃복서나 가자미류 선수들이 완전히 몰락한 것과 더불어 4강부터 불리한 팀이 후반을 도모하는 운영이 불가능할 정도로 스노우볼링이 굴러가는 모습에 정립된 상남자 메타는 단조로운 모습이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런 비판의 골자는 결승전 이후 강해졌는데, 초반 교전 승리 = 주도권 획득 = 승리 라는 1차원적 공식에 개인 기량 이외에 어떤 전략적 변수도 작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역전이 불가능한 메타라는 점이 게임 양상을 획일화 한다. 극단적으로 말해 라인전 솔킬 한번 나면 해당 라인에서는 절대로 주도권을 얻을 수가 없고, 글골 2천 차이만 나도 게임 승패가 정해지는 메타란 이야기다. 물론, 선수 개개인의 기량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기량과는 별개로 선수들의 플레이 스타일을 무조건적으로 초반 라인전에만 투자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게임 양상이 원사이드 해진다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9.5. 번외: 제6회 다데상[편집]


비공식 제6회 다데상 수상자: RNG Uzi

다데상 항목 참조.


9.6. 주요 기록[편집]



9.6.1. 펜타킬[편집]


이름(ID)소속 팀포지션챔피언상대 팀일자경기비고
레나토 갈레고스
(Renyu)
파일:300px-Infinity_eSports_CRlogo_square.png파일:Bot_icon.png
BOT
파일:kaisa_portrait.png파일:600px-Dire_Wolveslogo_square.png2018.10.042018 플레이-인 스테이지
1라운드 22경기
영상
[ 정보 ]
리산드라 - 스카너 - 바루스 - 아트록스 - 탐 켄치 순서.
벌카이 아식쿠준
(Zeitnot)
파일:Bahçeşehir SuperMassive.png파일:Bot_icon.png
BOT
파일:kaisa_portrait.png파일:300px-G-Rexlogo_square.png2018.10.072018 플레이-인 스테이지
2라운드 4경기 1세트
영상
[ 정보 ]
그라가스 - 알리스타 - 오른 - 자야 - 카시오페아 순서.
2017 시즌까지 역대 원딜 펜타킬은 전부 다른 챔피언으로 기록되어 왔었는데, 이번 월즈에서 2연속 카이사가 나오며 그 기록이 깨졌다. 그만큼 대회 패치 버전인 8.19에서 원딜 카이사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며, 최초의 한 대회 복수 펜 타킬 챔피언이었던 2015 시즌의 다리우스와 비견될 만한 위용을 자랑한다.[29] 어떤 팀이 우승하던 상관없이 원딜 스킨은 카이사가 먹는 게 아니냐는 전망이 압도적인 주류가 될 정도이며, 안 그래도 월즈 시즌 중 K/DA 스킨을 받았는데 거기에 월즈 스킨까지 추가로 받게 되면 자야를 뛰어 넘는 역대 최고 대접을 받는 원딜이 될 것으로 보인다.


9.7. 결승전 진행 문제[편집]


이럴거면 진짜 집에서 편하게 치킨 뜯으면서 봤지.. 푸드트럭 줄도 오질나게 길어서 뭐 사먹을엄두조차 안 났고...2시간 걸려서 인천 왔는데 쫄딱 굶고 3대떡 경기 잘보고 갑니다.14년엔 스킨 줬다는 얘기도 있는데, 이번엔 그런거 1도 없고.티모팔찌 하나 받아가네요ㅎㅎ

들어가기 전에 부스나 볼거리 진짜 하나도 없었고 이벤트는 sns인증해서 우주애쉬스킨 주는게 끝인데 내 인생 그렇게 긴 줄은 2014롤드컵 골드석 입장줄 이후로 처음봄ㅋㅋㅋ 서볼까 하다가 라이엇직원이 지금서도 못받을 수 있다길래 걍 포기함.직관안하고 집에서 뜨시게 본 님들이 승리자임

이번 월즈 후기 中

자리가 없어진 걸 알리지도 않고 티켓 등급도 하향하고 대충 얼버무리려고 하질 않나 팬과 직원이 싸우질 않나 다이아몬드석과 골드석은 내부 라이엇 스토어 출입을 금지시키지를 않나 대놓고 차별 행위를 일삼았다. 아주 일처리가 끝내주는 수준이다. 이런 식으로 할거면 차라리 개최를 하지 말라는 반응이다.

4년만에 한국에서 다시 개최한 월즈이지만 나아진건 별로 없었고 문제점은 여전히 엄청나게 많았다. 유일하게 나아진 것은 2014 시즌 상암 때에 비하여 경기장 입장 대기열이 확연히 줄어들었다는 것인데 문제는 월즈 결승전 직관 보상인 우주 여왕 애쉬 스킨을 받는 대기열이 상암때 그 지옥같던 입장 대기열과 별반 다를 바가 없었다는 것이다. 오히려 더 협소한 공간에 로지텍 행사와 라이엇 스토어 대기열이 섞여서 일대에 오랜 시간 혼란을 불러오고 말았다. 이 스킨 보상은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직관 유저들에게 당연스레 지급한 선물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가장 높은 무대인 결승전에서 이걸 받기 위해 1시간 이상을 대기해야 했고 많은 관람객들이 스킨 보상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경기장 내부에도 라이엇 스토어가 있다고 경기장 외부 라이엇 스토어에서 팻말 공지를 하였는데[30]이 내부 라이엇 스토어가 플레티넘 입장 지역에 있었다. 그런데 스태프들이 다이아석, 골드석 유저의 입장을 차단해서 이용할 수 없었던 병크가 일어났고 결국 결승전 시작 이후 부랴부랴 기념품을 사기 위한 손님들이 몰려 뒤늦게 외부 라이엇 스토어에 엄청난 병목 현상이 일어났다. 내돈주고 기념품조차 마음대로 살 수 없었던 것이다.

경기장 입구와 출루 경로 또한 문제가 많았는데 혼란을 막기 위한의도였는지 경기장 외부로 빠져나가는 지역을 일방통행으로 지정하여 나갈때 왼쪽 방향으로 나가면 돌아서 다시 들어오지 못하게 철저히 막았고 반대쪽까지 돌아가서 몸수색과 팔찌 확인 하는 곳에서부터 들어오게 하였다. 문제는 경기장 양 끝 외부에 다이아 좌석 A와 B의 입구를 배치해놓아서 이 사람들은 잠깐이라도 퇴장을 했을 경우 다시 반바퀴를 빙 돌아서 입장팔찌 확인하고 몸수색도 다시 받은 뒤에야 복귀할 수 있었다. 또한 이벤트나 라이엇 스토어 이용을 위해 경기장 외부로 빠져나온 이들도 마찬가지였다. 이조치가 그래도 혼란을 줄였다면 그나마 낫겠지만 오히려 무슨 상황인지 몰라서 관중들이 스태프에게 따지는등 전혀 혼란이 줄어들지 않았고 불편하기만 하였다.[31]

스탭과 보안 요원들의 수준도 과거에 비해 더 나빠지면 나빠졌지 전혀 개선되지 않았는데 최선을 다하고 노력하는 스탭들도 꽤 많았지만 곳곳에서 관객들에게 고압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막나가는 이들도 있었다. 차라리 스탭이 아무것도 모르면 가만히 있거나 다른 윗사람에게 물어봐서 알려주기라도 하지 뭔가를 문의하는 관객을 윽박지르는가 하면 관객과 싸우는 이들도 있었다.

거기에 일부 다이아석은 화면이 제대로 보이지 않아 고개를 심하게 꺾거나 들어서 봐야했고 소리도 제대로 들리지 않았다. 이뿐만이 아니라 결승전 이벤트 및 보상도 부족했다는 평가가 많고[32] 이매진 드래곤스가 개폐막 모두 라이브 공연을 하였던 2014 시즌에 비해 식전, 식후 행사도 모두 퇴보했다.

이 외에도 경기장 내에 편의점과 식당이 거의 없어서 끼니를 떼우기 힘들었고[33] 이를 위해 푸드 트럭을 양 끝에 배치하였는데 이마저도 너무 비싸 욕을 많이 먹었다. 덤으로 입장할 때 소지품 검사를 하는 곳에서, 어느 곳은 음료 반입이 금지라하고 어느 곳은 그냥 통과시키기까지 했다. 오죽하면 라이엇 코리아는 이런거 잘 운영할 능력 없으니 한국에서 월즈 개최하지 말라는 얘기가 나올 정도.

10. 둘러보기[편집]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LoL e스포츠
국제 대회
||




[1] 상세 정보는 링크 참고.[2] 첫번째 글로벌 스폰서로 참여. 월즈 외 MSI, 올스타도 후원한다. 자세한 건 사이트 참고.[3] 공식 분석 데스크는 8강부터 시작한다.[4] 4강 1일차 대타 배준식[5] 스포티비 게임즈 통역 및 롤챔스 해적방송 진행자. 이번 월즈에서는 통역 및 인터뷰에 더해 해설진들에게 제공되는 해외팀 자료의 번역까지 1인 3역을 맡는다.[6]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지난 시즌 우승 지역이자 각종 국제 대회를 휩쓸었기에 어드밴티지를 얻었다.[7] 5대 리그를 제외한 나머지 리그 중 MSI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낸 리그.[8] 시즌 3, 2014, 2016 ~ 2018 시즌.[9] 2014 ~ 2018 시즌.[10] 시즌 3, 2014, 2016 ~ 2018 시즌. 다만 복잡한 역사 때문에 라이엇에서는 2015 시즌 창단으로 표기되어 있어서 시즌 3, 2014 시즌은 별개로 취급한다.[11] 2015 ~ 2018 시즌.[12] 시즌 3 ~ 2018 시즌.[13] 시즌 1, 3 ~ 2015, 2017, 2018 시즌.[14] 출전하지 못한 SK telecom T1과 타이 기록.[R] A B 순위 결정전 패배.[15] 플레이-인 스테이지 기록을 포함하면 MAD보다 우위.[16] 이전까지는 로그인 화면 비율에 맞춘 가로형 단체 일러스트를 사용했으나, 이 쪽은 브로마이드 규격에 맞춘 세로형 단체 일러스트를 사용했다. 덧붙여 자야와 라칸이 각각 단독 스킨을 가지지 않게 할 것이라던 기존의 공약이 철회되었고, 구단주인 왕쓰총의 특별 와드 스킨이 1시즌만에 제작되면서 '3회 우승시 게임 내 콘텐츠 후보 등재 가능'이라는 기존의 공약이 철회되었다. 다만 IG 와드 스킨이 아닌 챔피언십 와드 스킨의 명칭으로 제작. FPX 스킨부터는 다시 와드 스킨이 안 나오게 되었다.[17] 다만, OGN에 송출은 그대로 한다.[18] RNG 멤버가 주가 되어 이뤄낸 아시안 게임 우승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과이다.[19] 사실 2015 월즈 역시 이와 비슷했었는데 MSI에서 EDG의 우승으로 LPL의 우세가 점쳐졌었다. 다만 이번 시즌은 MSI와 더불어 리프트 라이벌즈, 그리고 아시안 게임까지 총 3개의 국제 대회에서 LPL에게 패했기 때문에 이번엔 진짜 입장이 뒤바뀐 셈.[20] 2015 시즌 SKT T1 칼리스타(프리시즌 패치와 함께 출시), 2016 시즌 SKT T1 진, 2017 시즌 삼성 갤럭시 자야.[21] LCK는 정규시즌을 아주 바쁘게 달려온 덕분에 결승전만 많이 늦어지는 수준이지만, LPL은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11주차)가 9/2에 치러지는 일정이다. 월즈 조 추첨식은 일반적으로 개막 1~2주 전에 해왔던 것을 생각해보면 LPL은 9/2 이후 약 3주동안 플레이오프와 월즈 선발전이 완벽히 종료되어야 하는 지옥의 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LCK에서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가 끝난 타이밍에 LPL에서는 정규시즌 10주차 일정조차 치르지 못하게 되는 셈이다. LMS도 8/17에 정규시즌이 종료되는 일정이다.[22] 오지엔은 암표상 때문에 관객석이 텅텅 빈 사태를 경험해보았기 때문에 더 잘 잡으려고 하는 편이다.[23] RNG는 렛미만이 선정되지 못했다.[24] 14 다데, 15 페이커, 16 스멥, 17 페이커[25] 대표적으로 아트록스, 이렐리아, 아칼리, 조이 등 공격적인 라인전 챔피언들의 등장과 바텀에서의 비 원딜 메타, 협곡의 전령 패치, 바위게와 대포 미니언 보상 강화, 현상금 시스템 개편을 통한 초반 교전의 중요성 증가, 초록 강타 삭제 조치로 지나친 시야 + 운영 싸움 방지, 오른, 카밀, 라칸, 클레드, 갈리오, 카이사 등의 등장과 사이온, 녹턴의 버프 등 장거리 강제 이니시 챔피언들의 급부상과, 장로 드래곤과 바론 패치로 지나치게 드러눕는 수성 운영 방지 등등. 이런 패치를 하게 된 계기는 2018 시즌 초 전설이 된 '그 경기' 이후 창궐한 존버 메타가 원인이라고 볼 수 있는데, 결과적으로 의도치 않게 이것이 LCK에겐 독이 된 것. 특히 앞서 언급한 장거리 강제 이니시 및 호응 챔들은 교전을 강제할 뿐 아니라 LCK의 전통적인 스플릿 운영에 대한 강력한 파훼법을 제공하였다. 원래 2017 시즌까지도 LPL 팀이나 유럽 팀이 LCK 팀을 상대로 소규모 교전이나 초반 한타로 초반 리드를 가져가는 경우가 제법 많았는데, 그런 경우 LCK 팀이 수성과 오브젝트 싸움 등 운영 노하우로 스노우볼링을 막고 해외 팀들은 거기에 말려서 게임을 못 끝내고 후반까지 끌려가서 던지는 경우가 많았다. 즉, 2015 시즌부터 이미 LPL과 유럽 선수들이 피지컬이나 싸움 실력은 제법 어느 정도 따라왔던 것. 그런데 이젠 다양한 교전 강제 수단이 생김으로써 초반 스노우볼링이 더 쉬워지고 중후반 운영으로 역전하기가 더 어려워진 것이다. 2018 월즈 때 역대 최단 경기 시간 기록들이 여럿 나왔는데 그런 현상들도 이런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LCK 팀이 미드에서 수성하면서 날개 펼쳐서 사이드에서 스플릿 푸시하려고 할 때 LPL 팀이 미드에다가 오른 궁 깔거나 사이온 궁 냅다 박으면, LCK 본대가 (머리수가 적으니 당연히) 속수무책으로 찢기거나 최소 점멸 쓰면서 후퇴하고 미드 타워 밀리기 일쑤였다. 마침 OP였던 카이사나 갈리오, 라이즈 등 장거리에서 호응이 되는 챔피언들은 금상첨화였고. 2018 MSI, 리프트 라이벌즈, 아시안 게임, 그리고 월즈까지 LCK 팀이 LPL 팀에게 패배한 경기가 총 19번이었는데, 그 중 라칸에게 7경기, 오른에게 4경기, 사이온에게 4경기, 카밀에겐 3경기 당했다.[26] 참고로 이런 식으로 운영보단 교전을 유도하는 패치는 2019 시즌에도 계속되고 있다. 현상금은 더욱 불어나도록 개편되었고 초반 포탑 방패 패치, 텔레포트 취소 불가 패치 등.[27] 올해 월즈 기준 OP로 평가받은 챔피언은 카이사, 우르곳, 아트록스, 르블랑. 특히 르블랑은 루키 선수가 카운터가 없는 슈퍼 OP라고 평가한 것에 걸맞게 본격적으로 기용된 8강부터 승률 100%를 찍었다.[28] 이전 시즌 월즈의 OP 챔피언은 2015 시즌 갱플랭크/모데카이저, 2016 시즌 니달리/신드라, 2017 시즌 칼리스타가 대표적이다.[29] 우르곳과 카이사의 밴픽률과 승률이 가히 최고점을 찍었다. 그러나 우르곳은 다리우스와 달리 철저하게 탱킹 위주로 가다가 깜짝 폭딜로 궁극기 갈갈이 킬을 노리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킬을 쌓아도 궁극기 쿨타임이 리셋되지 않으므로 펜타 킬 달성이 사실상 불가능해 펜타 킬에서는 카이사 독주 체제가 굳어질 수밖에 없다. 사실 카이사가 다리우스보다 더한 게, 당시 다리우스는 8강 이후 종적을 감췄으나 카이사는 그럴 기미가 전혀 없기 때문.[30] 이때문에 경기장 입장 전 외부 스토어는 비교적 한적했다.[31] 실제로 한 다이아몬드석 관객은 일방통행 통로를 착각하고 외부 스토어 이용을 위해 반대로 거슬러 가려다가 보안 스탭에게 제지를 당했는데 이 스탭이 반말을 하고 욕을 해서 서로 싸우고 협박을 하는 황당한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32] 2014 시즌땐 소환사 망토와 밴드,각종 간식거리와 무엇보다도 당시 절대 구할 수 없던 챔피언십 리븐을 포함한 3개의 챔피언십 스킨을 전원 지급했는데 이번에는 혼잡해서 대부분 받을 수 없었던 우주여왕 애쉬스킨 외에 사실상 지급한 것이 전혀 없었다.[33] 상암때도 이는 마찬가지였으나 이번 문학때에 비해 훨씬 사정이 나았다. 상암 내부엔 편의점도 두어개 있었고 근처에 외부 식당도 있었기 때문, 또한 상암때는 라이엇이 직접 혹시나 배를 주렸을 관중을 위해 입장할때 간식거리와 마실 것을 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번엔 물 한병조차 지급된 것이 없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