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 기타 대회 펼치기 · 접기 ]
기타 대회
연도대회명출전 한국팀
2011. 122011 WCGEDG
2012. 1온게임넷 LoL InvitationalMiG, EDG, StarTale, Team OP
2012. 4나이스게임TV 배틀로얄NaJin e-mFire 외 9팀
2012. 8MLG 2012 Summer ArenaAzubu Blaze
2012. 8GIGABYTE StarsWar LeagueNaJin Shield, Xenics Storm
2012. 10나이스게임TV 용쟁호투IM, CJ Entus, RoMg, kt Rolster A, kt Rolster B
2012. 10World e-Sports Masters 2012IM
2012. 11IEF 2012MVP White, MVP Blue
2012. 11MLG 2012 Fall ChampionshipAzubu Blaze, NaJin Sword
2012. 11IPL 5Azubu Blaze
2012. 12IEM Season VII - CologneSKT T1 #1, CJ Entus
2013. 1GIGABYTE StarsWar League Season 2NaJin Sword, NaJin Shield, MVP White, SKT T1 #1
2013. 1IEM Season VII - KatowiceAzubu Blaze, Azubu Frost
2013. 1IEM Season VII - Sao PauloIM
2013. 3IEM Season VII - World ChampionshipCJ Blaze, CJ Frost, SKT T1 #1, IM
2013. 3MLG 2013 Winter Championshipkt Rolster B
2013. 62013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kt Bullets
2013. 10IEF 2013Xenics Storm, SoNiC
2013. 11IEM Season VIII - SingaporeCJ Frost
2013. 112013 WCGCJ Blaze
2014. 3IEM Season VIII - World Championshipkt Bullets
2014. 12IEF 2014Xenics Storm, HUYA Tigers, IM, Prime Clan
2015. 3IEM Season IX - World ChampionshipGE Tigers, CJ Entus
2015. 11IEM Season X - San JoseJin Air Greenwings
2015. 12IEM Season X - CologneESC Ever
2016. 3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SKT T1, ESC Ever
2016. 11IEM Season XI - OaklandLongzhu Gaming
2016. 12IEM Season XI - GyeonggiSamsung Galaxy, KONGDOO Monster
2017. 2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ROX Tigers, KONGDOO Monster
2018. 8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지역예선, 본선)대한민국 대표팀
2020. 52020 Mid-Season CupT1, Gen.G, DragonX, DAMWON Gaming
2021. 9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대한민국 대표팀
2022. 9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NS Challengers, DK Challengers, T1 Challengers, Korean Streamer
2022. 11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대한민국 대표팀
2023. 9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NS Esports Academy, DK Challengers, DRX Challengers, HLE Challengers
2023. 9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평가전대한민국 대표팀
2023. 9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본선대한민국 대표팀
2023. 122023 한중일 e스포츠 대회대한민국 대표팀




한중일 e스포츠 대회
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대한민국, 부산)
2023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대한민국, 여수)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종합 우승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023 종합 우승 국가

파일:ECEA 2022.jpg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Esports Championships East Asia 2022
대회 기간2022년 11월 16일~11월 18일
주최문화체육관광부
주관
파일:ECEA 2022.jpg
파일:한국e스포츠협회 로고.svg
파일:한국콘텐츠진흥원 CI(2019-2023).svg
경기장부산이스포츠경기장
스폰서
[ 펼치기 · 접기 ]
공식
파트너
파일:크래프톤 로고.svg
파일:넥슨 로고.svg
공식
협력기관
파일:CCEA.png
파일:kspo_englishonly.png파일:한국관광공사_Logo.png
파일:한국게임산업협회 CI.svg
파일:logo-aesf.svg
공식
후원사
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2019-2022).svg
파일:Supercell(기업) 로고.svg
파일:코나미 로고.svg파일:네이버 로고.svg
공식
공급기업
파일:아이컴브랜드.gif
파일:external/www.xenics.co.kr/logo.gif
파일:ASUS 로고.svg파일:오로나민C 로고.png
파일:external/www.komplett.no/Logitech-G-logo-banner.png
중 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
온라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네이버 게임 아이콘.svg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후야 아이콘.png
파일:일본 국기.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중계진리그 오브 레전드
캐스터 / 해설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전용준 / 고수진, 임주완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하스스톤
캐스터 / 해설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심지수 / 박수광, 백학준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eFootball
캐스터 / 해설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성훈 / 신보석, 한준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결 과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 개요
2. 종목별 선수단
3. 대회 진행
3.1. 1일차 (11월 16일, 수요일)
3.2. 2일차 (11월 17일, 목요일)
3.3. 3일차 (11월 18일, 금요일)
4. 결과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22년 11월 16일부터 11월 18일까지 진행한 한중일 e스포츠 대회.


2. 종목별 선수단[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league-of-legends.png경규태(Photon)
최용혁(Lucid)
안현서(FIESTA)
서상원(TolanD)
조민성(Rahel)
정윤수(Peter)

감독: 박승진(Chelly)
전력분석관: 채도준(Noblesse)
팡자웨이(Garvey)
왕멍치(Monki)
자오위(Maggie)
후지아주(Qing)
후홍차오(Leave)
당보린(Lele)


감독: 예성랴오(Juicy)
사메시마 리키(Ricky)
타카무레 타쿠미(Popon)
토키 다이토(Akainu)
사쿠라 료타(Akabuff)
코야마 후우고(chilioil)

감독: 사이토 요시아키(YSDS)
파일:하스스톤 로고.png조성민(Zochi)
박기정(grr)

감독: 김정수(Surrender)
전력분석관: 정한슬(Seulsiho)
우지웨이(XiaoT)
정첸하오(Xc)

감독: 판이룬(Syf)
이시바시 와타루(posesi)
야시마 노조미(Alutemu)
파일:eFootball™ 2022 로고.svg이경철(InsaneTouch)
송영우(Ssong)

감독: 조성만(Manee)
류차오(Saga)
장자웨이(Gavi)

감독: 주밍슌(Igor)
아이하라 츠바사(Leva)
아사노 요시아키(koko)

  • 선발 기준
    • 리그 오브 레전드: 5인 1팀, 후보선수 차출 후 비공개 평가회를 통해 선발
    • 하스스톤: 2인 1팀, 대회 공식 랭킹 및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상위 입상자 중 비공개 선발전 후 선발
    • eFootball: 2인 1팀, 게임 내 공식 순위를 반영하여 선발


3. 대회 진행[편집]





3.1. 1일차 (11월 16일, 수요일)[편집]


  • 개회식 (KST 14:00~14:30)

  • eFootball 예선 (KST 14:30~17:30)
    • 1경기: 대한민국 1:2 일본
    • 2경기: 대한민국 2:1 중국
    • 3경기: 중국 0:0 일본 (11월 18일 3일차 경기로 순연)

  • 리그 오브 레전드 예선 (KST 18:00~21:00)
    • 1경기: 중국 승:패 일본
    • 2경기: 대한민국 승:패 일본
    • 3경기: 대한민국 패:승 중국

  • 아빠의 청춘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대회 결승전 (KST 21:00~)
    • 오재용(T) 2:1 권현웅(P)

3.2. 2일차 (11월 17일, 목요일)[편집]


  • 하스스톤 예선 (KST 12:00~15:30)
    • 1경기: 대한민국 패:승 일본
    • 2경기: 중국 패:승 일본
    • 3경기: 대한민국 패:승 중국

  • 리그 오브 레전드 예선 (KST 16:00~19:00)
    • 1경기: 대한민국 승:패 일본
    • 2경기: 대한민국 패:승 중국
    • 3경기: 중국 승:패 일본


3.3. 3일차 (11월 18일, 금요일)[편집]


  • eFootball 예선&결승 (KST 12:00~13:00)
    • 3경기: 일본 2:0 중국
    • 결승: 대한민국 1:2 일본

  • 하스스톤 결승 (KST 13:00~15:00)
    • 중국 패:승 일본

  • 리그 오브 레전드 결승 (KST 15:30~20:00)
    • 대한민국 3:0 중국

  • 폐회식 (KST 20:00~20:30)


4. 결과[편집]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종목별 결과
파일:league-of-legends.png파일:하스스톤 로고.png파일:eFootball™ 2022 로고.svg
우승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준우승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국가별 순위 횟수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0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1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21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국가별 종합 순위
종합 순위국가
우승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준우승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위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일본이 하스스톤, eFootball 두 종목에서 금메달을 따며 종합 우승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 한국은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에서 우승을 했지만 작년에 이어 eFootball에서 일본에게 순위가 밀려 아쉽게 종합 우승을 놓쳤다. 중국은 우승 없이 대회를 마치는 굴욕을 겪었다.


5. 여담[편집]


  • 당초 이번 대회는 개최지 순한 규칙에 따라 중국상하이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중국 내 코로나19 영향으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열리게 됐다.
  • 위의 영향으로 대한민국 선수단, 일본 선수단은 부산에서 대회를 진행하며 중국 선수단은 상하이에서 온라인으로 참가한다.
  • 세 국가가 골고루 리그 스테이지에서 탈락하였다. 일본은 리그 오브 레전드, 중국은 eFOOTBALL, 한국은 하스스톤에서 결승에 진출하지 못했다.
  • 지난 대회 종목 중 PUBG: BATTLEGROUNDS, 클래시 로얄, 던전 앤 파이터[1]가 빠졌고, 하스스톤이 새로 추가되었다.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7:34:58에 나무위키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시범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