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경기
키르기스스탄전 (16강전) · 중국전 (8강전) · 우즈베키스탄전 (준결승전) · 일본전 (결승전)
주요 경기
이란 vs 홍콩 (8강전)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축구 픽토그램.svg
본선 진출국21개국
{{{#ffd700 금메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은메달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동메달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득점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우영 / (8골)
이전·이후 대회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2022년
항저우[1]
2026년
아이치·나고야

1. 개요
2. 경기장
3. 진출국
4. 조 편성
4.1. 시드 배정
4.2. 조 편성 결과
6. 경기 진행
6.1. 조별리그[21강]
6.1.7. 조 3위간 성적 순위
6.1.7.1. FIFA 규정 대진표
6.2. 결선 토너먼트
7. 우승
8. 최종 순위



1. 개요[편집]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 종목 중 남자축구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경기장[편집]




3. 진출국[편집]


지역별 배출 현황
파일:West_Asian_Football_Federation_logo_(2023).png
서아시아(WAFF)
파일:중앙아시아축구연맹.png
중앙아시아(CAFA)
파일:남아시아축구연맹.png
남아시아(SAFF)
파일:아세안축구연맹.png
동남아시아(AFF)
파일:동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동아시아(EAFF)
5개국[2]3개국[3]2개국[4]4개국[5]7개국[6]

별도의 예선은 없다.


4. 조 편성[편집]



4.1. 시드 배정[편집]


순번시드 1시드 2시드 3시드 4
1중국
(개최국)
[7]
시리아이란대만
2대한민국[8]
(디펜딩 챔피언)
사우디아라비아홍콩아프가니스탄
3일본
(준우승)
인도네시아태국인도
4베트남팔레스타인미얀마쿠웨이트
5북한바레인키르기스스탄몽골
6우즈베키스탄방글라데시카타르-
시드 배정은 직전 대회 성적순이 아닌 지난 최근 3대회들에서의 성적을 합하여 분배되었다. #

지난 대회에서 3위로 동메달을 땄던 아랍에미리트를 포함하여, 말레이시아, 라오스, 파키스탄, 네팔, 동티모르 등 6개국이 이번 대회에 불참하였고, 대신 지난 대회에서 출전하지 않았던 아프가니스탄, 인도, 쿠웨이트, 몽골이 출전했다. 하지만 대회 남자축구종목 개최를 딱 하루 앞두고 시리아와 저번 대회 미출전의 아프가니스탄 두 국가가 추가 불참을 선언했다.

팀 수는 23개인데 조는 6개이고 한 조당 4팀씩 들어가므로 필연적으로 6개 조 중 한 조는 한 팀이 비게 된다.

4.2. 조 편성 결과[편집]


구분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A조파일:중국 국기.svg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파일:미얀마 국기.svg파일:인도 국기.svg
중국방글라데시미얀마인도
B조파일:베트남 국기.svg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파일:이란 국기.svg파일:몽골 국기.svg
베트남사우디아라비아이란몽골
C조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파일:시리아 국기.svg파일:홍콩 국기.svg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우즈베키스탄시리아홍콩아프가니스탄
D조파일:일본 국기.svg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
일본팔레스타인카타르[9]
E조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바레인 국기.svg파일:태국 국기.svg파일:쿠웨이트 국기.svg
대한민국바레인태국쿠웨이트
F조파일:북한 국기.svg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북한인도네시아키르기스스탄대만


5. 참가팀 정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참가팀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경기 진행[편집]



6.1. 조별리그[21강][편집]



6.1.1. A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중국 국기.svg중국321091+87
2파일:인도 국기.svg인도311136-34
3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311125-34
4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방글라데시301202-21
16강 진출 | 탈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A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2. B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이란 국기.svg이란321070+77
2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321061+57
3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310259-43
4파일:몽골 국기.svg몽골3003210-80
16강 진출 | 탈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B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3. C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220031+26
2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200213-20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아프가니스탄00000000
-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00000000
16강 진출 | 기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C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4. D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일본 국기.svg일본220041+36
2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팔레스타인201101-11
3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201113-21
16강 진출 | 탈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D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5. E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300160+169
2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302125-32
3파일:태국 국기.svg태국302126-42
4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3021211-92
16강 진출 | 탈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E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6. F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북한 국기.svg북한330040+49
2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키르기스스탄31024403
3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31022203
4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대만310226-43
16강 진출 | 탈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F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7. 조 3위간 성적 순위[편집]


  • D조를 제외하고 4위와의 전적은 제외한다.
  • 승점이 같으면 골 득실차-다득점-페어플레이 점수[10]-추첨 순으로 결정한다.[11]

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F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21012113
D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201113-21
E파일:태국 국기.svg태국201115-41
A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201115-41
B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200217-60

조정 승점이 0점인 베트남이 탈락했다.[12]


6.1.7.1. FIFA 규정 대진표[편집]

다음 아래 항목의 내용은 조 3위 진출 팀의 조합에 따른 FIFA 규정 대진표이다.
조 3위 추가 진출A1 상대B1 상대C1 상대D1 상대
A B C DC3D3A3B3
A B C EC3A3B3E3
A B C FC3A3B3F3
A B D ED3A3B3E3
A B D FD3A3B3F3
A B E FE3A3B3F3
A C D EC3D3A3E3
A C D FC3D3A3F3
A C E FC3A3F3E3
A D E FD3A3F3E3
B C D EC3D3B3E3
B C D FC3D3B3F3
B C E FE3C3B3F3
B D E FE3D3B3F3
C D E FC3D3F3E3

6.2. 결선 토너먼트[편집]


||<|2>

||<|4>

||<|6>

||
||
||<|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1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2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0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2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0
||<|2>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1
||<|4>

파일: 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4
||
파일: 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1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0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2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0
||<|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
||<|2><color=#b8860b> 동메달 결정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4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7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0
||


6.2.1. 16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16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2. 8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8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3. 준결승[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준결승#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4. 동메달 결정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동메달 결정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5. 결승[편집]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_White.svg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결정전
2023년 10월 7일 (토요일) 21:00 (UTC+9)
황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중국, 항저우)
주심: 파일:바레인 국기.svg 마푸즈 아마르 이브라힘 하산
관중: 명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1
27' 정우영
56' 조영욱
파일:득점 아이콘.svg2' 우치노 고타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결승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우승[편집]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축구 우승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6번째 우승[13]
★ ★ ★ ★ ★ ★


8. 최종 순위[편집]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최종 순위
순위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 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7700273+2421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파일: 일본 국기.svg일본6501184+1415준우승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6501124+8153위
4파일:홍콩 국기.svg홍콩6204311-864위
5파일:북한 국기.svg북한540172+5128강
6파일:이란 국기.svg이란531191+810
7파일:중국 국기.svg중국5311103+710
8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531193+610
9파일:인도 국기.svg인도411238-5416강
10파일: 미얀마 국기.svg미얀마4112212-104
1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410324-23
12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키르기스스탄410359-43
13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402227-52
14파일:태국 국기.svg태국402228-62
15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팔레스타인301202-21
16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301214-31
17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310259-43조별 리그
18파일:중화 타이베이 국기.svg대만310226-43
19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3021211-92
20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방글라데시301202-21
21파일:몽골 국기.svg몽골3003210-8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01:15:41에 나무위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코로나-19로 인한 대회 1년 연기[21강] A B [2]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바레인, 팔레스타인, 쿠웨이트[3] 이란,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4] 방글라데시, 인도[5] 베트남, 미얀마, 인도네시아, 태국[6] 중국, 대한민국, 일본, 북한, 대만, 홍콩, 몽골[7] 참고로 지난 대회에선 16강까지 올라 최종 대회 10위였다.[8] 2010년에 동메달, 그리고 2014년 및 2018년에 모두 금메달을 땄기 때문에 불참 등의 이변이 없는 한 대한민국은 시드 1을 무조건 배정받는다.[9] 이번대회 남자축구 진출국이 총 23개국이기에, D조만 유일하게 4팀이 아닌 3팀으로 진행되게 되었다.[10] 경고: -1점, 2회 연속 경고: -3점, 퇴장: -3.[11] FIFA 주관 대회에서는 승자승이 빠진 승점-골득실차-다득점-페어플레이 점수-추첨 순이다. 아시안 게임아시아올림픽평의회 주관 대회다.[12] 그 후 여자 축구에서도 베트남이 순위 경합에서 밀려나 탈락함으로써 베트남 남녀 축구 대표팀 모두 순위 경합에서 탈락하는 불운을 겪게 되었다.[13] 아시안게임 남자축구 부문 아시아 최초 3연패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