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의 경기에 대한 내용은 콜린 벨호/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문서
콜린 벨호/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번 문단을
콜린 벨호/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3 FIFA 호주/뉴질랜드 여자 월드컵
FIFA Women's World Cup
Australia & New Zealand 2023™
[1]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로고.svg
파일:FIFA-Women-s-World-Cup-2023-Official-Tournament-Poster.jpg
대회기간2023년 7월 20일 ~ 8월 20일
개최국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슬로건Beyond Greatness
마스코트타주니(Tazuni)
주제가Do it Again
공인구오션즈(OCEAUNZ)
본선 진출팀32개 팀
대회 결과
우승스페인
(1번째 우승)
파일:Spain W RFEF 2021.png
준우승잉글랜드파일:England W FA 2018.png
3위스웨덴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위호주파일: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수상
골든볼파일:UEFA ESP.png 아이타나 본마티
골든부트파일:UEFA JPN.png 미야자와 히나타
골든글러브파일:UEFA ENG.png 메리 어프스
신인상파일:UEFA ESP.png 살마 파라유엘로
연표
이전 대회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다음 대회2027 FIFA 여자 월드컵

1. 개요
2. 상징 및 경기장
2.1. TV 영상 · 주제가
2.2. 엠블럼
2.3. 마스코트
2.4. 공인구
2.5. 경기장
3. 유치 과정
4. 지역예선 및 본선 진출팀
4.2. 본선 진출팀
5. 대회 진행
5.1. 본선 조 추첨
5.1.1. 포트 배정
5.1.2. 조 추첨 결과
5.3. 심판진
5.4. 조별 리그
5.5. 결선 토너먼트
5.6. 우승
6. 최종 순위
8. 공식 파트너십
8.1. FIFA 파트너
8.2. FIFA 여자 축구 파트너
8.3. FIFA 여자 월드컵 파트너
8.4. FIFA 여자 월드컵 서포터
8.5. 개최국 스폰서
10. 사건 사고
11. 기타



1. 개요[편집]


2023년 7월 20일부터 8월 20일까지 치러진 FIFA 여자 월드컵의 9번째 대회. 이 대회부터 본선 진출팀 수가 24개에서 32개로 확대된다.


2. 상징 및 경기장[편집]



2.1. TV 영상 · 주제가[편집]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심볼.svg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TV 오프닝(40초)

Football Unites The World :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공식 캠페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Unity' - Kelly Lee Owens :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공식 테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o it Again' - BENEE :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공식 주제가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 엠블럼[편집]


파일:FIFA Women's World Cup_AUNZ_2023_emblem.jpg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심볼.svg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공식 엠블럼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엠블럼 공개(영상)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이후의 FIFA 주관대회[2]에서 트로피를 엠블럼으로 사용한 것과 달리 이번 월드컵 엠블럼에는 축구공을 중심으로 주변에 참가국을 상징하는 32개의 사각형이 방사형으로 되어있는 독특한 디자인이 채용되었다.


2.3. 마스코트[편집]


파일:tazuni.png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심볼.svg 타주니(Tazuni)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공식 마스코트

축구를 사랑하는 암컷 펭귄 타주니(Tazuni). 이름은 호주와 뉴질랜드 사이에 있는 바다인 '태즈메이니아 해'와 결속을 뜻하는 'Unity'에서 따왔으며, 나이는 15살이다.


2.4. 공인구[편집]


파일:OCEAUNZ.png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심볼.svg 오션즈(OCEAUNZ)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공인구

오션즈(OCEAUNZ)는 대양을 뜻하는 오션(Ocean)과 호주(AU), 뉴질랜드(NZ)의 이니셜을 결합한 것으로, 아디다스에서 제작하였고 1월 25일 FIFA에서 공개되었다. 오세아니아의 두 대륙의 자연 경관을 연상시키는 문양을 시각화한 것으로, 호주 원주민인 체르니 서튼과 뉴질랜드 마오리족 피오나 콜리스 등이 오션즈의 디자인을 담당하였다. 카타르 월드컵알 리흘라처럼 반자동 오프사이드 기술에 활용될 전자센서장치가 내장되었다. 여담으로, 오션즈는 K리그 2023시즌의 공인구로 채택되었다.


2.5. 경기장[편집]


||
||


3. 유치 과정[편집]


아래의 나라들이 개최를 신청했고, 개최국은 2020년 6월에 결정되었다.

결국 최종적으로 호주+뉴질랜드와 콜롬비아의 2파전으로 2020년 6월 25일 투표가 진행되었다. 22 : 13으로 호주+뉴질랜드가 공동개최를 확정지었다. FIFA 여자 월드컵 역사상 최초의 공동개최이자 최초의 남반구 개최 대회가 된다. 또한 호주를 AFC로 분류한다면 FIFA 국제대회 중 최초로 두 대륙에서 공동개최를 하는 사례이다. 덤으로 개최 시기가 사상 최초로 겨울이 된다.[4]


4. 지역예선 및 본선 진출팀[편집]



4.1. 지역 예선 [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지역예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본선 진출팀[편집]


아시아 (AFC)
출전자격출전확정일자진출횟수최근 출전최고성적FIFA 랭킹[R]
ta-hash-start=w-0e81202a194c3198d45cceb0edec2ff0[[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 아이콘.png호주개최국2020년 6월 25일8번째20198강
[AUS]
13위
ta-hash-start=w-a6bb78bc38bcd5b974d7c53ce28b1183[[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중국 아이콘.png중국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2022년 1월 30일8번째2019준우승
[CHN]
15위
ta-hash-start=w-0affaf61ad9313556a40f7fc5e24124f[[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대한민국 아이콘.png대한민국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2022년 1월 30일4번째201916강
[KOR]
17위
ta-hash-start=w-4d59f8366da74e0c0ad9a716ef2006fd[[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일본 아이콘.png일본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준결승
2022년 1월 30일9번째2019우승
[JPN]
11위
ta-hash-start=w-1d7466dd4217d4f000c48e9f2cdbfce9[[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필리핀 아이콘.png필리핀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준결승
2022년 1월 30일1번째첫 출전-53위
ta-hash-start=w-781ecea5705ff4d65e0deb6e08499127[[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베트남 아이콘.png베트남2022 AFC 여자 아시안컵
PO 1위
2022년 2월 6일1번째첫 출전-34위

아프리카 (CAF)
출전자격출전확정일자진출횟수최근 출전최고성적FIFA 랭킹[R]
ta-hash-start=w-b136ce113ce3fe62a839c4ebed65cdba[[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아이콘.png남아프리카 공화국2022 CAF 여자 아프리칸 네이션스컵
우승
2022년 7월 14일2번째2019조별리그
[RSA]
54위
ta-hash-start=w-eccd9f7dc92858b741132fda313130cf[[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모로코 아이콘.png모로코2022 CAF 여자 아프리칸 네이션스컵
준우승
2022년 7월 13일1번째첫 출전76위
ta-hash-start=w-c8aac3305163e4e8146ec929d36cf85c[[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나이지리아 아이콘.png나이지리아2022 CAF 여자 아프리칸 네이션스컵
3위
2022년 7월 14일9번째20198강
[NGA]
45위
ta-hash-start=w-7a737701149111e508f97116bf21f116[[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잠비아 아이콘.png잠비아2022 CAF 여자 아프리칸 네이션스컵
4위
2022년 7월 13일1번째첫 출전81위

북중미카리브 (CONCACAF)
출전자격출전확정일자진출횟수최근 출전최고성적FIFA 랭킹[R]
ta-hash-start=w-c164bbc9d6c72a52c599bbb43d8db8e1[[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아이콘.png미국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우승
2022년 7월 7일9번째2019우승
[USA]
1위
ta-hash-start=w-ab1f3ca10acd4b12e5706b77e36cdd5d[[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아이콘.png캐나다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준우승
2022년 7월 8일8번째20194위
[CAN]
7위
ta-hash-start=w-0f9fcdd20f4867d3a2f06ee358670d21[[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자메이카 아이콘.png자메이카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3위
2022년 7월 11일2번째2019조별리그
[JAM]
43위
ta-hash-start=w-788800573c2564905bda85a8a9ef932b[[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코스타리카 아이콘.png코스타리카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4위
2022년 7월 8일2번째2015조별리그
[CRC]
37위
ta-hash-start=w-304815dc11eed11a217aa73f3c432b67[[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아이티 아이콘.png아이티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A조 3위
(대륙간 플레이오프 B조 우승)
2023년 2월 22일1번째첫 출전-56위
ta-hash-start=w-16596c038fc9adb2b7f6eda15ebd291f[[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파나마 아이콘.png파나마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B조 3위
(대륙간 플레이오프 C조 우승)
2023년 2월 23일1번째첫 출전-57위

남미 (CONMEBOL)
출전자격출전확정일자진출횟수최근 출전최고성적FIFA 랭킹[R]
ta-hash-start=w-a1339ad4448ae6dc670698de84ff2b66[[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콜롬비아 아이콘.png콜롬비아2022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준우승
2022년 7월 26일3번째201516강
[COL]
27위
ta-hash-start=w-98dc7331b3759a2a2a5e2f6a55c1812d[[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브라질 아이콘.png브라질2022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우승2022년 7월 27일9번째2019준우승
[BRA]
9위
ta-hash-start=w-f471afca234cd00e51058653c32ffca9[[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아르헨티나 아이콘.png아르헨티나2022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3위2022년 7월 30일4번째2019조별리그
[ARG]
29위

오세아니아 (OFC)
출전자격출전확정일자진출횟수최근 출전최고성적FIFA 랭킹[R]
ta-hash-start=w-36677a1d815d4528bebf89833d168f56[[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뉴질랜드 아이콘.png뉴질랜드개최국2020년 6월 25일5번째2019조별리그
[NZL]
22위

유럽 (UEFA)
출전자격출전확정일자진출횟수최근 출전최고성적FIFA 랭킹[R]
ta-hash-start=w-dfba4ad20dced8d2fc532b4f7b8d9527[[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웨덴 아이콘.png스웨덴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A조 1위
2022년 4월 12일9번째2019준우승
[SWE]
2위
ta-hash-start=w-a08a3193ea3d3d73385851c5baf07d3f[[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페인 아이콘.png스페인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B조 1위
2022년 4월 12일3번째201916강
[ESP]
6위
ta-hash-start=w-5097ae38663ea27586f6b57c1f1b9c8a[[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아이콘.png프랑스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I조 1위
2022년 4월 12일5번째20194위
[FRA]
5위
ta-hash-start=w-8b3432e34d73182c191e65586b395c06[[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덴마크 아이콘.png덴마크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E조 1위
2022년 5월 2일5번째20078강
[DEN]
18위
ta-hash-start=w-2406a0a94c80406914ff2f6c9fdd67d5[[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노르웨이 아이콘.png노르웨이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F조 1위
2022년 9월 2일9번째2019우승
[NOR]
12위
ta-hash-start=w-279e15ba1f35e19bb1ca79a85a6d0a85[[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독일 아이콘.png독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H조 1위
2022년 9월 3일9번째2019우승
[GER]
3위
ta-hash-start=w-b7f7e86824775accacc073b61ca2e81c[[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잉글랜드 아이콘.png잉글랜드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D조 1위
2022년 9월 3일6번째20193위
[ENG]
4위
ta-hash-start=w-8e804eaeeba29084917f03fb77fe0419[[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이탈리아 아이콘.png이탈리아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G조 1위
2022년 9월 6일4번째20198강
[ITA]
14위
ta-hash-start=w-53fde96fcc4b4ce72d7739202324cd49[[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네덜란드 아이콘.png네덜란드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C조 1위
2022년 9월 6일3번째2019준우승
[NED]
8위
ta-hash-start=w-738d8dbf498bcf095aa242da06244eff[[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위스 아이콘.png스위스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G조 1위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1위)
2022년 10월 11일2번째201516강
[SUI]
21위
ta-hash-start=w-8365c9a8183d6f230a5125b1f65698b6[[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아일랜드 아이콘.png아일랜드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A조 1위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2위)
2022년 10월 11일1번째첫 출전-24위
ta-hash-start=w-070299e301fd3659bcc06897572f696f[[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포르투갈 아이콘.png포르투갈2023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H조 2위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3위)
(대륙간 플레이오프 A조 우승)
2023년 2월 22일1번째첫 출전-23위


5. 대회 진행[편집]



5.1. 본선 조 추첨[편집]



5.1.1. 포트 배정[편집]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로고.svg
포트 배정 결과
1번 뉴질랜드 · ta-hash-start=w-0696fd21373de4199e8b8e448ac37d8f[[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 아이콘.png 호주 · ta-hash-start=w-8df6a65941e4c9da40a4fb899de65c55[[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아이콘.png 미국 · ta-hash-start=w-3cd0dfae3ac612051e2f4094a3407a68[[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웨덴 아이콘.png 스웨덴 · ta-hash-start=w-d961e9f236177d65d21100592edb0769[[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독일 아이콘.png 독일 · ta-hash-start=w-9d27ece30c10f0fa972b2f018cfc3366[[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잉글랜드 아이콘.png 잉글랜드 · ta-hash-start=w-cc79f7ac920d7b7e5ef7baaf67bc7924[[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아이콘.png 프랑스 · ta-hash-start=w-55c57ba9cf3a2b8b3fb3fbd1bad32141[[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페인 아이콘.png 스페인
2번 캐나다 · ta-hash-start=w-21eb663c980f2c08b50773451b16cb42[[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네덜란드 아이콘.png 네덜란드 · ta-hash-start=w-b2b743207df736f8a64aba0089daa543[[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브라질 아이콘.png 브라질 · ta-hash-start=w-ab0fe664c6f53269bb8882b81b54430d[[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일본 아이콘.png 일본 · ta-hash-start=w-aaa07817d7cd2a7dce9e0ffac6286dbb[[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노르웨이 아이콘.png 노르웨이 · ta-hash-start=w-4534fd831cceb681ffa1fb63c70e712c[[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이탈리아 아이콘.png 이탈리아 · ta-hash-start=w-5f7b0903b97a119138a95acd513fbf4c[[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중국 아이콘.png 중국 · ta-hash-start=w-51db672ac302a163017367f46d48f602[[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대한민국 아이콘.png 대한민국
3번 덴마크 · ta-hash-start=w-edcc363aeda7f5a49777a436f6029b00[[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위스 아이콘.png 스위스 · ta-hash-start=w-70bd245bf961a7fd0582ae723f4e9fc8[[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아일랜드 아이콘.png 아일랜드 · ta-hash-start=w-64b3addf459c502d536cd46d3fbf8cae[[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콜롬비아 아이콘.png 콜롬비아 · ta-hash-start=w-248024541dbda1d3fd75fe49d1a4df4d[[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아르헨티나 아이콘.png 아르헨티나 · ta-hash-start=w-204e6f2de036648c69169f6f95d7ba17[[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베트남 아이콘.png 베트남 · ta-hash-start=w-c34a68f808b572da7e4068c48c842a4e[[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코스타리카 아이콘.png 코스타리카 · ta-hash-start=w-887d520f010620972583096762f15af3[[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자메이카 아이콘.png 자메이카
4번 나이지리아 · ta-hash-start=w-93e37ed292096ae7d6f59c5d5d854dd9[[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필리핀 아이콘.png 필리핀 · ta-hash-start=w-bd008030b278266f4660bf4071257814[[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아이콘.png 남아프리카 공화국 · ta-hash-start=w-6aca1a1659edc2d96cabe628f44d0f7e[[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모로코 아이콘.png 모로코 · ta-hash-start=w-0df348505f7286dd9c866b0597509b70[[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잠비아 아이콘.png 잠비아 · ta-hash-start=w-0a8ddaad1c78d73b557663e728653f32[[파일:국제축구연맹_로고.png 플레이오프 A조[5] · ta-hash-start=w-0a8ddaad1c78d73b557663e728653f32[[파일:국제축구연맹_로고.png 플레이오프 B조[6] · ta-hash-start=w-0a8ddaad1c78d73b557663e728653f32[[파일:국제축구연맹_로고.png 플레이오프 C조[7]

2022년 10월 발표된 피파 여자랭킹으로 시드가 배정되었다. 2023년 2월 18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되는 대륙간 플레이오프 최종 승자 3팀은 랭킹과 무관하게 4포트로 배정되었다. 이 중 공동 개최국 대표팀인 뉴질랜드는 A조, 호주는 B조 배정이 확정되었다. 또한 PO 대진에 따라 대륙별 안배 원칙을 지키기 위해 PO 진출 팀은 각각 다음과 같이 들어갈 수 있는 조가 제한된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와 비슷하게 제한을 두지만, 지나치게 경우의 수가 줄어드는 관계로 FIFA 여자 월드컵 최초로 대륙간 안배원칙을 제한적으로나마 포기하게 된다.

플레이오프 3개 조 승자는 본선 조 추첨에서 각 플레이오프 조의 시드 팀의 대륙만을 피해간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하위 시드 팀이 최종 승자가 되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경우 비유럽 대표팀끼리 조별리그를 치르는 최초의 광경을 목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다.


조 추첨식은 2022년 10월 22일 15시 30분(UTC+9)부터 사전 행사를 시작으로 이 대회 공동 개최국인 뉴질랜드 최대 도시 오클랜드의 '아오테아 센터'에서 열렸다.

조 추첨 진행자로 미국 축구의 간판 스타였던 칼리 로이드가 나와 눈길을 끌었다. 또한 뉴질랜드 축구 레전드 마이아 잭맨, 호주 수영 레전드 케이트 캠벨, 브라질의 남자 월드컵 우승 멤버 지우베르투 시우바, 뉴질랜드 최초의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 조이 사도스키 시노트, 호주 축구 레전드 줄리 돌란암, 잉글랜드 대표팀 출신 이안 라이트, 카메룬 대표팀 출신 제레미 은지탑, 미국 축구 레전드 알렉시 랄라스가 추첨을 도왔다.

대한민국의 경우, 10월 랭킹에서 극적으로 2포트 말석을 차지하면서 네덜란드, 브라질, 캐나다, 노르웨이 등 월드컵 우승 후보급 강호들을 피하는 최대 성과를 가져갔다. 1포트에선 호주와 만나지 않게 되며, 반드시 1승을 거둬야 하는 4포트에서 아프리카 4개 팀, PO 2 승자 중 한 팀을 만나게 되었다.[8] 관건은 3포트인데, 아시아 팀이라서 만날 수 없는 베트남을 제외하고서는 덴마크, 스위스, 아일랜드 유럽 3팀이 3포트에서 가장 만나서는 안되는 팀으로 꼽힌다. 나머지 북중미, 남미 팀들은 상대적으로 전적도 우위이면서 전력에서도 우세한 것으로 평가된다.


5.1.2. 조 추첨 결과[편집]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로고.svg
조 추첨 결과
조 / 시드1번2번3번4번
A조ta-hash-start=w-c980fea9ff9c4bb4b175e2708d05e417[[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뉴질랜드 아이콘.png
뉴질랜드
ta-hash-start=w-2e87d147292d4f2d0770cbd01562eb35[[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노르웨이 아이콘.png
노르웨이
ta-hash-start=w-5a9655228d1553027a200fad19fae287[[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필리핀 아이콘.png
필리핀
ta-hash-start=w-1452ffdb44788d62f55be4362bad5808[[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위스 아이콘.png
스위스
B조ta-hash-start=w-3bcc27b5d67121b3987a9840158c7977[[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 아이콘.png
호주
ta-hash-start=w-38616a3812ca4dc2c99d0850ee16c13a[[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아일랜드 아이콘.png
아일랜드
ta-hash-start=w-1e5e1435c95e420a1cd34d3202769c18[[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나이지리아 아이콘.png
나이지리아
ta-hash-start=w-26405399c51ad7b13b504e74eb7c696c[[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아이콘.png
캐나다
C조ta-hash-start=w-f378ce07a42a40cce379d5e146fb7f48[[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페인 아이콘.png
스페인
ta-hash-start=w-5067cd967516f7ee90d0e763afc36f27[[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코스타리카 아이콘.png
코스타리카
ta-hash-start=w-e0613000bcd426e19c29ad052aa7ea49[[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잠비아 아이콘.png
잠비아
ta-hash-start=w-dbe40ccd11b1fb869099e58e00076027[[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일본 아이콘.png
일본
D조ta-hash-start=w-7961f44653b3a08379349e2c8e1ff14d[[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잉글랜드 아이콘.png
잉글랜드
ta-hash-start=w-78d8adecc0f8da2d414b6776334c038c[[파일:국제축구연맹_로고.png
플레이오프 B조[QF_HAI]
ta-hash-start=w-d724408089c39a7576109b8c762ed912[[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덴마크 아이콘.png
덴마크
ta-hash-start=w-96b5871bd63a9dd5c79c927de8527c9d[[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중국 아이콘.png
중국
E조ta-hash-start=w-2dea61eed4bceec564a00115c4d21334[[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아이콘.png
미국
ta-hash-start=w-bf5854eb630636cf52991a4605419ff1[[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베트남 아이콘.png
베트남
ta-hash-start=w-ef21d5e1590f488240761551cfa98430[[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네덜란드 아이콘.png
네덜란드
ta-hash-start=w-78d8adecc0f8da2d414b6776334c038c[[파일:국제축구연맹_로고.png
플레이오프 A조[QF_POR]
F조ta-hash-start=w-3103deb68465747643608bb0f506dee6[[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아이콘.png
프랑스
ta-hash-start=w-48d017ff417fea9de1db8bd8dabef7ed[[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자메이카 아이콘.png
자메이카
ta-hash-start=w-c9f88c767dcadd817f492b3b5c1afc96[[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브라질 아이콘.png
브라질
ta-hash-start=w-78d8adecc0f8da2d414b6776334c038c[[파일:국제축구연맹_로고.png
플레이오프 C조[QF_PAN]
G조ta-hash-start=w-7d359be6dec47f21ee5e352cd36218b5[[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웨덴 아이콘.png
스웨덴
ta-hash-start=w-ead316e44cc96ef5f2397ca7cceaba82[[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아이콘.png
남아프리카 공화국
ta-hash-start=w-f5fa13cee3a924c334302f00db8b0fc9[[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이탈리아 아이콘.png
이탈리아
ta-hash-start=w-79183395bdfe7ed1995bec9ac7f4390c[[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아르헨티나 아이콘.png
아르헨티나
H조ta-hash-start=w-21d0fbeed684b62c9b6841f4142ab2f9[[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독일 아이콘.png
독일
ta-hash-start=w-2a5f614fbd6b69fd6695ae213d63eef0[[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모로코 아이콘.png
모로코
ta-hash-start=w-c9f2f917078bd2db12f23c3b413d9cba[[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콜롬비아 아이콘.png
콜롬비아
ta-hash-start=w-0cd5d9d528e8f06f787079c89480f5dc[[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대한민국 아이콘.png
대한민국



5.1.3. 대륙간 플레이오프[편집]



대륙간 플레이오프 결과, 본선 진출팀은 최종 승자인 포르투갈, 아이티, 파나마 등 총 3개 팀으로 확정됐다.

본 경기와는 별개로 A, B조에서 부전승으로 진출한 포르투갈과 칠레가 각각 원래 뉴질랜드 여자 축구대표팀과 호주 여자 축구대표팀이 포르투갈과 칠레의 친선 경기 파트너로 나설 예정이었는데, 호주 대신 아르헨티나가 참가하게 되었다. 또한 각 조별 패한 팀들끼리도 친선 경기 형식으로 한 경기를 더 갖는다.


5.2. 참가팀 정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참가팀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심판진[편집]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로고.svg
심판진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
국가주심부심VAR 심판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케이트 야세비츠
(Kate Jacewicz)
케이시 라이벨트
(Casey Reibelt)
사라 호 메이 이
(Sarah Ho May Yee)
조안나 차락티스
(Joanna Charaktis)
크리스 베스
(Chris Beat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김유정
(Kim Yujeong)
오현정[9]
(Oh Hyeonjeong)
김경민
(Kim Kyoungmin)
이슬기
(Lee Seulgi)
박미숙
(Park Misuk)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야마시타 요시미[10]
(Yamashita Yoshimi)
보조노 마코토
(Bozono Makoto)
테시로기 나오미
(Teshirogi Naomi)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시에리준
(Lijun Xie)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헤바 사디아
(Heba Saadia)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라미나 초이
(Ramina Tsoi)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무하맛 타킷[11]
(Muhammad Taqid)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압둘라 알마리[12]
(Abdulla Al-Marri)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축구 연맹
국가주심부심VAR 심판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빈센시아 아메도메
(Vincentia Amedome)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부크라 카르부비
(Bouchra Karboubi)
수카이나 함디
(Soukaina Hamdi)
파티하 제르무미
(Fatiha Jermoumi)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코나 마칼리마
(Akhona Makalima)
자켈레 시웰라
(SIWELA Zakhele)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살리마 무칸상가[13]
(Salima Mukansanga)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카린 아테잠봉 포모
(Carine Atezambong Fomo)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디아나 치코테샤
(Diana Chikotesha)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판타 코네
(Fanta Kone)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메리 뇨로게
(Mary Njoroge)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퀸시 빅투아르
(Queency Victoire)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국가주심부심VAR 심판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카차 코롤레바
(Katja Koroleva)
토리 펜소
(Tori Penso)
펠리샤 마리스칼
(Felisha Mariscal)
브룩 메이요
(Brooke Mayo)
캐서린 네스빗[14]
(Kathryn Nesbitt)
아르만도 비야레알[15]
(Armando Villarreal)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마리 솔레이 보두앙
(Marie-Soleil Beaudoin)
미리앙 마르코트
(Myriam Marcotte)
샹탈 부드로
(Chantal Boudreau)
드루 피셔[16]
(Drew Fischer)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카티아 가르시아
(Katia García)
에네디나 카우디요
(Enedina Caudillo)
카렌 디아스 메디나[17]
(Karen Diaz Medína)
산드라 라미레즈
(Sandra Ramirez)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멜리사 보르하스
(Melissa Borjas)
셜리 페렐로
(Shirley Perello)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미젠사 렌쉬
(Mijensa Rensch)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스테파니 이 싱
(Stephanie Yee Sing)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타티아나 구즈만
(Tatiana Guzman)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축구 연맹
국가주심부심VAR 심판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에디나 알베스 바티스타
(Edina Alves Batista)
노우자 백[18]
(Neuza Back)
레일라 모레이라 다 크루스
(Leila Moreira da Cruz)
다이안 무니즈 도스 산토스
(Daiane Muniz dos Santos)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라우라 포르투나토
(Laura Fortunato)
마리아나 데 알메이다
(Mariana de Almeida)
다이아나 밀론
(Daiana Milone)
살로메 디 이오리오
(Salomé Di Iorio)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아나히 페르난데즈
(Anahi Fernandez)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에미카르 칼데라스 바레라
(Emikar Calderas Barrera)
미그달리아 로드리게스 치리노
(Migdalia Rodríguez Chirino)
후안 소토[19]
(Juan Soto)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마리아 카르바할
(María Carvajal)
로레토 톨로사
(Loreto Toloza)
레슬리 바스케즈
(Leslie Vásquez)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모니카 암보야
(Monica Amboya)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메리 블랑코 볼리바르
(Mary Blanco Bolívar)
니콜라스 가요[20]
(Nicolas Gallo)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국가주심부심VAR 심판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애나메리 케일리
(Anna-Marie Keighley)
사라 존스
(Sarah Jones)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마리아 살라마시나
(Maria Salamasina)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축구 연맹
국가주심부심VAR 심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스테파니 프라파르[21]
(Stéphanie Frappart)
엘로디 코폴라
(Élodie Coppola)
마누엘라 니콜로지
(Manuela Nicolosi)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레베카 웰치
(Rebecca Welch)
나탈리 아스피날
(Natalie Aspinall)
시안 매시-엘리스
(Sian Massey-Ellis)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셰릴 포스터
(Cheryl Foster)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율리아나 데메트레스쿠
(Iuliana Demetrescu)
미하엘라 테푸사
(Mihaela Tepusa)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마르타 우에르타 데 아사
(Marta Huerta de Aza)
과달루페 포라스 아유소
(Guadalupe Porras Ayuso)
알레한드로 에르난데스 에르난데스[22]
(Alejandro Hernández Hernández)
후안 마르티네스 무누에라[23]
(Juan Martínez Munuer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마리아 솔 페리에리 카푸티
(Maria Sole Ferrieri Caputi)
프란체스카 디몬테
(Francesca Di Monte)
마시밀리아노 이라티[24]
(Massimiliano Irrati)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리나 레흐토바라
(Lina Lehtovaara)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이바나 마르틴치치
(Ivana Martinčić)
사냐 로작-카르시치
(Sanja Rođak-Karšić)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카테리나 몬줄
(Kateryna Monzul)
마리나 스트릴레츠카
(Maryna Striletska)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테스 올로프손
(Tess Olofsson)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에스터 슈타우블리
(Esther Staubli)
수잔 큉
(Susanne Kün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프랑카 오버르톰
(Franca Overtoom)
폴 판 부컬[25]
(Pol van Boekel)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카트린 라팔스키
(Katrin Rafalski)
마르코 프리츠[26]
(FRITZ Marco)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울리나 바라노프스카
(Paulina Baranowska)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폴릭세니 이로도투
(Polyxeni Irodotou)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카롤린 카이보야
(Karolin Kaivoja)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흐리술라 쿠로빌리아
(Chrysoula Kourompylia)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미셸 오닐
(Michelle O'Neill)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루치에 라타요바
(Lucie Ratajová)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아니타 바드
(Anita Vad)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엘라 더 프리스
(Ella De Vries)


5.4. 조별 리그[편집]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로고.svg
조별 리그
1위 (결선 진출)2위 (결선 진출)3위 (탈락)4위 (탈락)
A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위스 아이콘.png 스위스
(1승 2무 / 5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노르웨이 아이콘.png 노르웨이
(1승 1무 1패 / 4점; +5)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뉴질랜드 아이콘.png 뉴질랜드
(1승 1무 1패 / 4점; 0)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필리핀 아이콘.png 필리핀
(1승 2패 / 3점)
B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 아이콘.png 호주
(2승 1패 / 6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나이지리아 아이콘.png 나이지리아
(1승 2무 / 5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아이콘.png 캐나다
(1승 1무 1패 / 4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아일랜드 아이콘.png 아일랜드
(1무 2패 / 1점)
C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일본 아이콘.png 일본
(3승 / 9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페인 아이콘.png 스페인
(2승 1패 / 6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잠비아 아이콘.png 잠비아
(1승 2패 / 3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코스타리카 아이콘.png 코스타리카
(3패 / 0점)
D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잉글랜드 아이콘.png 잉글랜드
(3승 / 9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덴마크 아이콘.png 덴마크
(2승 1패 / 6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중국 아이콘.png 중국
(1승 2패 / 3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아이티 아이콘.png 아이티
(3패 / 0점)
E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네덜란드 아이콘.png 네덜란드
(2승 1무 / 7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아이콘.png 미국
(1승 2무 / 5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포르투갈 아이콘.png 포르투갈
(1승 1무 1패 / 4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베트남 아이콘.png 베트남
(3패 / 0점)
F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아이콘.png 프랑스
(2승 1무 / 7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자메이카 아이콘.png 자메이카
(1승 2무 / 5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브라질 아이콘.png 브라질
(1승 1무 1패 / 4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파나마 아이콘.png 파나마
(3패 / 0점)
G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웨덴 아이콘.png 스웨덴
(3승 / 9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아이콘.png 남아프리카 공화국
(1승 1무 1패 / 4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이탈리아 아이콘.png 이탈리아
(1승 2패 / 3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아르헨티나 아이콘.png 아르헨티나
(1무 2패 / 1점)
H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콜롬비아 아이콘.png 콜롬비아
(2승 1패 / 6점; +2)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모로코 아이콘.png 모로코
(2승 1패 / 6점; -4)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독일 아이콘.png 독일
(1승 1무 1패 / 4점)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대한민국 아이콘.png 대한민국
(1무 2패 / 1점)


5.5. 결선 토너먼트[편집]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로고.svg
결선 토너먼트
16강8강준결승결승
49576164
{#black,#white [[파일:UEFA SUI.png 스위스}}}1
2
2
1
5
51{#black,#white [[파일:UEFA NED.png 네덜란드}}}1
2
{#black,#white [[파일:UEFA RSA.png 남아프리카 공화국}}}0
5058{#black,#white [[파일:UEFA SWE.png 스웨덴}}}1
3
{#black,#white [[파일:UEFA JPN.png 일본}}}1
{#black,#white [[파일:UEFA NOR.png 노르웨이}}}1
52
2
0 5
{#black,#white [[파일:UEFA USA.png 미국}}}0 4{#black,#white [[파일:UEFA ENG.png 잉글랜드}}}0
535962
2
0 7
{#black,#white [[파일:UEFA AUS.png 호주}}}1
{#black,#white [[파일:UEFA DEN.png 덴마크}}}0
55{#black,#white [[파일:UEFA FRA.png 프랑스}}}0 6
4
{#black,#white [[파일:UEFA MAR.png 모로코}}}0
5460
3
0 42
{#black,#white [[파일:UEFA NGA.png 나이지리아}}}0 2
56{#black,#white [[파일:UEFA COL.png 콜롬비아}}}1
1
2
{#black,#white [[파일:UEFA JAM.png 자메이카}}}0{#black,#white [[파일:UEFA AUS.png 호주}}}0



5.6. 우승[편집]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심볼.svg 2023 FIFA 여자 월드컵 우승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첫 번째 우승


6. 최종 순위[편집]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로고.svg
최종 순위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UEFA ESP.png 스페인7601247+1718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파일:UEFA ENG.png 잉글랜드7511137+616준우승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파일:UEFA SWE.png 스웨덴7511145+9163위
4파일:UEFA AUS.png 호주7313108+2104위
5파일:UEFA JPN.png 일본5401153+12128강
6파일:UEFA FRA.png 프랑스5320124+8118강
7파일:UEFA NED.png 네덜란드5311124+8108강
8파일:UEFA COL.png 콜롬비아530264+298강
9파일:UEFA USA.png 미국413041+3616강
10파일:UEFA NGA.png 나이지리아413032+1616강
11파일:UEFA DEN.png 덴마크4202330616강
12파일:UEFA MAR.png 모로코4202210-8616강
13파일:UEFA JAM.png 자메이카4121110516강
14파일:UEFA SUI.png 스위스412135-2516강
15파일:UEFA NOR.png 노르웨이411274+3416강
16파일:UEFA RSA.png 남아프리카 공화국411268-2416강
17파일:UEFA GER.png 독일311183+54조별리그
18파일:UEFA BRA.png 브라질311152+34조별리그
19파일:UEFA POR.png 포르투갈311121+14조별리그
20파일:UEFA NZL.png 뉴질랜드31111104조별리그
21파일:UEFA CAN.png 캐나다311125-34조별리그
22파일:UEFA ITA.png 이탈리아310238-53조별리그
23파일:UEFA CHN.png 중국310227-53조별리그
24파일:UEFA PHI.png 필리핀310218-73조별리그
25파일:UEFA ZAM.png 잠비아3102311-83조별리그
26파일:UEFA IRL.png 아일랜드301213-21조별리그
27파일:UEFA ARG.png 아르헨티나301225-31조별리그
28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301214-31조별리그
29파일:UEFA HAI.png 아이티300304-40조별리그
30파일:UEFA CRC.png 코스타리카300319-80조별리그
31파일:UEFA PAN.png 파나마3003311-80조별리그
32파일:UEFA VIE.png 베트남3003012-120조별리그


7. 팀별 리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팀별 리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공식 파트너십[편집]



8.1. FIFA 파트너[편집]


파일:FIFA 로고.svg 파트너
[ 펼치기 · 접기 ]

파일:코카콜라 로고 화이트.svg파일:카타르에너지 로고.png파일:Qatar Airways logo white.png
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svg파일:완다그룹 로고 화이트.svg파일:아디다스 로고 화이트.svg파일:비자카드 로고 화이트.svg
파일:기아 로고.svg





8.2. FIFA 여자 축구 파트너[편집]



8.3. FIFA 여자 월드컵 파트너[편집]



8.4. FIFA 여자 월드컵 서포터[편집]



8.5. 개최국 스폰서[편집]




9. 중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중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사건 사고[편집]








11.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2:20:23에 나무위키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FIFA에서 사용하는 공식 한국어 명칭은 "2023 FIFA 호주/뉴질랜드 여자 월드컵"이고,# 공식 영어 명칭은 "FIFA Women's World Cup Australia & New Zealand 2023™"이다.#[2]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제외.[3] 2019년 대회 개최 신청을 검토했지만, 당해 럭비 월드컵이 개최되고, 이듬해 2020 도쿄 올림픽이 개최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방침을 바꿨다. 그러나 2023년도 힘든 것이 그 해 필리핀인도네시아와 함께 FIBA 농구 월드컵 공동 개최지로 선정되어 경쟁에서 힘들어진다. 일본은 2020 FIFA 풋살 월드컵 개최에 도전했다가 너무나도 많은 국제대회를 독점한다는 비난을 받고 결국 이런 대회를 치루지 않은 리투아니아가 사상 처음으로 개최하게 되었다.[4] 남반구는 3월부터 5월까지는 가을, 6월부터 8월까지가 겨울, 9월부터 11월까지는 봄, 12월부터 2월까지는 여름이다.[R] A B C D E F 조 추첨식이 열리는 달의 랭킹(2022년 10월 기준)[AUS] 2007, 2011, 2015, 2019[CHN] 1999[KOR] 2015[JPN] 2011[RSA] 2019[NGA] 1999[USA] 1991, 1999, 2015, 2019[CAN] 2003[JAM] 2019[CRC] 2015[COL] 2015[BRA] 2007[ARG] 2003, 2007, 2019[NZL] 1991, 2007, 2011, 2015, 2019[SWE] 2003[ESP] 2019[FRA] 2011[DEN] 2007[NOR] 1995[GER] 2003, 2007[ENG] 2015[ITA] 1991, 2019[NED] 2019[SUI] 2015[5] 태국, 카메룬, 포르투갈 중 1개 팀. 이 중 포르투갈의 본선 진출이 확정됐다.[6] 세네갈, 아이티, 칠레 중 1개 팀. 이 중 아이티의 본선 진출이 확정됐다.[7] 대만, 파라과이, 파푸아뉴기니, 파나마 중 1개 팀. 이 중 파나마의 본선 진출이 확정됐다.[8] 같은 아시아 지역 대표팀인 필리핀, 태국과 대만이 들어가 있어 일찌감치 조 추첨에서 못 만나게 된 PO 1, PO 3 승자가 제외된다.[QF_HAI] 이후 아이티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참가가 확정됐다.[QF_POR] 이후 포르투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참가가 확정됐다.[QF_PAN] 이후 파나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참가가 확정됐다.[9] 골 때리는 그녀들의 주심으로 자주 나오는 심판이다. 현재 K리그2 주심.[10] 2022 카타르 월드컵 주심[11] 2022 카타르 월드컵 VAR[12] 2022 카타르 월드컵 VAR[13] 2022 카타르 월드컵 주심[14] 2022 카타르 월드컵 부심[15] 2022 카타르 월드컵 VAR[16] 2022 카타르 월드컵 VAR[17] 2022 카타르 월드컵 부심[18] 2022 카타르 월드컵 부심[19] 2022 카타르 월드컵 VAR[20] 2022 카타르 월드컵 VAR[21] 2022 카타르 월드컵 주심, 2021-22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주심[22] 2022 카타르 월드컵 VAR[23] 2022 카타르 월드컵 VAR[24] 2022 카타르 월드컵 VAR[25] 2022 카타르 월드컵 VAR[26] 2022 카타르 월드컵 VAR[27] FIFA 공식 홈페이지에도 여전히 'FIFA 파트너'로 나오고 있으나, 이번 대회 중 FIFA 파트너 회사 중 유일하게 전광판에 광고가 안 나오고 있다. FIFA Part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