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 축구 연맹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AFC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AFC 두문자를 가진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AFC(동음이의어) 문서
AFC(동음이의어)번 문단을
AFC(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명칭국문 | 아시아 축구 연맹
영문 |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중문 | 亚洲足球联盟(亞洲足球聯盟)
일문 | アジアサッカー連盟(れんめい
아랍문 | الاتحاد الآسيوي لكرة القدم
설립1954년 5월 8일 (70주년)
본부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가입47개 협회, 5개 지역연맹
회장파일:바레인 국기.svg 살만 알 칼리파
부회장파일:중국 국기.svg 장지룽
파일:아시아축구연맹 텍스트 로고.svg | 파일:아시아축구연맹 텍스트 로고.svg 통계 포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1. 개요
2. 개최 대회
3. 중계권 현황(2024년까지)
4. 공식 스폰서십
5. 지역 연맹
6. 회원국
6.1. 해체 국가대표팀
6.2. 타 대륙 연맹으로 편입한 국가대표팀
7. 역대 회장
8. 국제 대회 진출 횟수[1]
8.1. 남성 대회
8.1.6. OFC 네이션스컵[A]
8.1.11. 퍼시픽 게임[A]
8.2. 여성 대회
8.2.7. 퍼시픽 게임[A]
9. AFC 올해의 선수
9.1. AFC 올해의 선수
9.2. AFC 올해의 해외파 선수
9.3. AFC 올해의 외국인 선수
9.4. AFC 올해의 여자 선수
9.5. AFC 올해의 유스 선수
10. AFC 올해의 감독
11. 논란
11.1. 중동 편애 논란
11.2. 러시아의 AFC 편입 논란
12. 산하 협회의 축구 리그
13. 아시아 축구 연맹 찬가



1. 개요[편집]


AFC 아시안컵,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 U-19와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등의 국가대표급 경기들과 ACLAFC컵 같은 프로축구 클럽대항전을 주관하는 아시아의 축구 연맹이다. 피파의 6개 대륙별 연맹의 하나이며 주요 국가대항전은 AFC 아시안컵이다.

1954년 5월 8일에 필리핀 마닐라에서 설립되었고, 동년 6월 21일에 피파로부터 공식적으로 인가를 받아 아시아 축구를 관리하기 시작했다. 당시 창립 멤버는 12개국[2]에 불과했으나 현재 가입 협회는 47개로, 아시아 대부분의 국가의 협회를 포함하고 있다.

전 회장이던 카타르 출신 무함마드 빈 함맘(محمد بن همّا)은 대표적인 블래터파 인물로, 정치적으로 이와 반대선상에 있는 전 피파 부회장 정몽준이나 조중연 전 대한축구연맹회장과는 서로 대립각을 세우던 바 있지만 FIFA 회장 선거에 나선다고 하다가 제프 블라터에게 찍혀서 축구계에서 퇴출당했다. 2011년부로 당시 부회장이었던 중국 국적의 장지룽이 회장 대행이었다가 2013년 바레인 국적인 셰이크 살만 빈 이브라힘 알 칼리파가 새로운 회장으로 당선되었다.

AFC 본부는 현재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있으며, 조추첨 등 주요 행사를 대부분 이 곳에서 치르고 있다. 중동 국가들은 함맘 시절에 본부를 중동지역으로 옮기려고 여러 번 시도했으나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반대에 부딪혀서 번번이 실패했고 함맘의 실각으로 인해서 사실상 무산됐다.

오세아니아 국가들의 경험을 늘리기 위해 OFC를 아시아 축구연맹에 합쳐서 아시아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으로 통합하자는 의견도 있지만 오세아니아 국가들은 가장 잘하는 팀도 피파 랭킹 100위권 밖일 정도로 약체들이기 때문에 합쳐도 아시아 강호 팀들에게 밀려 본선에 진출 못하는 건 똑같을 것이고 안 그래도 대륙 크기가 커서 원정 거리가 먼 아시아인데 태평양 한가운데 있는 오세아니아까지 합치면 원정 거리도 더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어 실제로 두 연맹이 쉽게 합쳐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3]

2. 개최 대회[편집]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 대회
[ 펼치기 · 접기 ]



폐지 대회
[ 펼치기 · 접기 ]




3. 중계권 현황(2024년까지)[편집]


  • 대회 별로 중계권을 판매하는 FIFA와 달리 AFC는 중계권을 패키지 형태, 다년 계약으로 판매하고 있다. FIFA의 경우 대회별로 판매해도 FIFA라는 브랜드 이미지가 워낙 크기 때문에 따로 팔아도 별 문제가 없지만 AFC는 여건 상 그게 안 되기 때문에 묶어 파는 것이다.
  • AFC 패키지에는 월드컵 최종 예선, AFC 아시안컵, AFC 챔피언스 리그는 물론 각종 연령별 대회에 풋살, 비치사커 대회까지 모두 포함한다.
국가방송사
대한민국CJ ENM
동남아시아폭스 스포츠 아시아, Unifi TV[4]
베트남베트남 텔레비전, On Sports, FPT
우즈베키스탄UZREPORT TV
이란IRIB, beIN SPORTS[5]
인도STAR SPORTS, JIO TV
인도네시아MNC Media
일본DAZN, 테레비 아사히, 일본방송협회[6]
중국PPTV, iQiyi, Migu, 중국 중앙 텔레비전
중동beIN SPORTS, 알카스[7]
국대: Tele Liban[8], JRTV[9], KTV[10], GSA Live[11]
UAEbeIN SPORTS, Sharjah Sports[12]
캄보디아BTV News
태국TrueVisions, 타이랏 TV[13]
호주폭스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4. 공식 스폰서십[편집]



4.1. AFC 챔피언스 리그 파트너[편집]


파일:sp_acl.jpgAFC 챔피언스 리그
파트너
||
글로벌 파트너글로벌 서포터
NEOM[14]코나미몰텐
파일:네옴 로고.svg파일:코나미 로고.svg파일:몰텐 로고.svg


4.2. AFC 내셔널 매치 파트너[편집]


||
글로벌 파트너
콘티넨탈 AG[15]크레디 세존[16]NEOM[17]YILI[18]
파일:콘티넨탈 AG 로고.svg파일:CREDIT_SAISON.jpg파일:네옴 로고.svg파일:yili.png
글로벌 서포터
코나미[19]몰텐[20]켈미[21]
파일:코나미 로고.svg파일:몰텐 로고.svg파일:켈미 로고.svg


5. 지역 연맹[편집]




아시아 대륙이 원체 넓어서 산하에 지역연맹을 두고 있다. 각 연맹마다 컵대회가 따로 있다.


6. 회원국[편집]


||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8%> [[파일:괌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width=17%><:><colbgcolor=#F0F0F0,#191919> [[괌 축구 협회|괌]][br](Guam) ||<width=8%><:> [[파일:All_Nepal_Football_Association_crest.png|height=50]] ||<width=17%><:><colbgcolor=#F0F0F0,#191919> [[네팔 축구 협회|네팔]][br](Nepal) ||<width=8%><:> [[파일:Chinese_Taipei_FA.png|height=50]] ||<width=17%><:><colbgcolor=#F0F0F0,#191919> [[대만 축구 협회|대만]][br](Chinese Taipei) ||<width=8%><:> [[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svg|height=50]] ||<width=17%><:><colbgcolor=#F0F0F0,#191919> [[대한축구협회|대한민국]][br](Korea Republic) || ||<:> [[파일:동티모르 축구 연맹 엠블럼.png|height=50]] ||<:> [[동티모르 축구 연맹|동티모르]][br](Timor-Leste) ||<:> [[파일:Laos_FA.png|height=50]] ||<:> [[라오스 축구 연맹|라오스]][br](Laos) ||<:> [[파일:레바논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레바논 축구 협회|레바논]][br](Lebanon) ||<:> [[파일:attachment/macau.png|height=50]] ||<:> [[마카오 축구 협회|마카오]][br](Macau) || ||<:>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말레이시아]][br](Malaysia) ||<:> [[파일:몽골 축구 연맹 로고.png|width=50]] ||<:> [[몽골 축구 연맹|몽골]][br](Mongolia) ||<:> [[파일:몰디브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몰디브 축구 협회|몰디브]][br](Maldives) ||<:> [[파일:attachment/Myanmar_Football_Federation.png|height=50]] ||<:> [[미얀마 축구 연맹|미얀마]][br](Myanmar) || ||<:> [[파일:바레인 축구 협회 엠블럼.svg|height=50]] ||<:> [[바레인 축구 협회|바레인]][br](Bahrain)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1px-Bangladesh_Football_Federation.svg.png|height=50]] ||<:> [[방글라데시 축구 연맹|방글라데시]][br](Bangladesh) ||<:> [[파일: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베트남 축구 연맹|베트남]][br](Vietnam) ||<:> [[파일:부탄 축구 연맹 로고.png|height=50]] ||<:> [[부탄 축구 연맹|부탄]][br](Bhutan) ||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50]] ||<:>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협회|북마리아나 제도]][br]{{{-2 (Northern Mariana Islands)}}} ||<:>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북한]][br](Korea DPR) ||<:> [[파일:브루나이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브루나이 축구 협회|브루나이]][br](Brunei)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연맹|사우디아라비아]][br](Saudi Arabia) || ||<:> [[파일:Football_Sri_Lanka.png|height=50]] ||<:> [[풋볼 스리랑카|스리랑카]][br](Sri Lanka) ||<:> [[파일:시리아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시리아 축구 협회|시리아]][br](Syria) ||<:> [[파일:싱가포르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싱가포르 축구 협회|싱가포르]][br](Singapore) ||<:>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아랍에미리트 축구 협회|아랍에미리트]][br]{{{-2 (United Arab Emirates)}}} || ||<:> [[파일:아프가니스탄 축구 연맹 엠블럼.png|height=50]] ||<:> [[아프가니스탄 축구 연맹|아프가니스탄]][br](Afghanistan) ||<:>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height=50]] ||<:> [[예멘 축구 협회|예멘]][br](Yemen) ||<:> [[파일:ofa logo.png|height=50]] ||<:> [[오만 축구 협회|오만]][br](Oman) ||<:>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height=50]] ||<:> [[요르단 축구 협회|요르단]][br](Jordan) || ||<:> [[파일:UFA emblem.png|height=50]] ||<:> [[우즈베키스탄 축구 협회|우즈베키스탄]][br](Uzbekistan) ||<:> [[파일:이라크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이라크 축구 협회|이라크]][br](Iraq) ||<:>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이란 축구 연맹|이란]][br](Iran) ||<:> [[파일:인도 대표팀 로고.png|height=50]] ||<:> [[인도 축구 연맹|인도]][br](India) || ||<:> [[파일:인도네시아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인도네시아]][br](Indonesia) ||<:> [[파일:일본축구협회 로고.svg|width=50]] ||<:> [[일본축구협회|일본]][br](Japan) ||<:> [[파일:중국축구협회 로고.svg|height=50]] ||<:> [[중국축구협회|중국]][br](China PR) ||<:> [[파일:카타르 축구 협회 로고.svg|height=50]] ||<:> [[카타르 축구 협회|카타르]][br](Qatar) || ||<:> [[파일:attachment/Cambodia.png|height=50]] ||<:> [[캄보디아 축구 연맹|캄보디아]][br](Cambodia) ||<:> [[파일:쿠웨이트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쿠웨이트 축구 협회|쿠웨이트]][br](Kuwait) ||<:> [[파일: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 로고.png|height=50]] ||<:> [[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키르기스스탄]][br](Kyrgyzstan) ||<:> [[파일:Tajikistan_FA.png|height=50]] ||<:> [[타지키스탄 축구 연맹|타지키스탄]][br](Tajikistan) || ||<:> [[파일:태국 축구 협회 로고.svg|height=50]] ||<:> [[태국축구협회|태국]][br](Thailand)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대표팀 로고.png|height=50]] ||<:>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연맹|투르크메니스탄]][br](Turkmenistan)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height=50]] ||<:> [[파키스탄 축구 연맹|파키스탄]][br](Pakistan) ||<:> [[파일:팔레스타인 대표팀 로고.png|height=50]] ||<:> [[팔레스타인 축구 협회|팔레스타인]][br](Palestine) || ||<:> [[파일: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필리핀 축구 연맹|필리핀]][br](Philippines) ||<:> [[파일:호주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0]] ||<:> [[호주 축구 연맹|호주]][br](Australia) ||<:> [[파일:홍콩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홍콩 축구 협회|홍콩]][br](Hong Kong) ||<:><bgcolor=#F0F0F0,#1f2023><-2> || ||<-8><bgcolor=#F7F7F7,#191919><:> [[유럽 축구 연맹|[[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유럽축구연맹 산하 축구협회|유럽]]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산하 축구협회|북중미카리브]] | [[아프리카 축구 연맹|[[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아프리카축구연맹 산하 축구협회|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산하 축구협회|오세아니아]] | [[남미 축구 연맹|[[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남미축구연맹 산하 축구협회|남미]] ||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width=25%> [[파일:괌 기.svg|width=50]] ||<width=25%> [[파일:네팔 국기.svg|width=25]] ||<width=2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50]] ||<width=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괌 축구 국가대표팀|괌]] ||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네팔]] ||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대만]]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 [[파일:동티모르 국기.svg|width=50]] ||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50]] ||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50]]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동티모르]] || [[라오스 축구 국가대표팀|라오스]] ||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레바논]] ||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마카오]]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50]] || [[파일:몽골 국기.svg|width=50]] ||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 || [[몰디브 축구 국가대표팀|몰디브]] ||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몽골]] ||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팀|미얀마]] ||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50]]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50]]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50]] || [[파일:부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바레인]] || [[방글라데시 축구 국가대표팀|방글라데시]] ||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베트남]]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부탄]] ||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width=50]] || [[파일:북한 국기.svg|width=50]]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50]]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북한]] ||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50]]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50]]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50]]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스리랑카 축구 국가대표팀|스리랑카]]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시리아]]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예멘 국기.svg|width=50]] || [[파일:오만 국기.svg|width=50]] ||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아프가니스탄]] || [[예멘 축구 국가대표팀|예멘]] ||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오만]] ||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요르단]]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5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50]] || [[파일:인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일본 국기.svg|width=5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50]]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네시아]]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카타르]] ||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50]]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캄보디아]]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타지키스탄]]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50]]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팔레스타인]]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50]]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필리핀]] ||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4><bgcolor=#f7f7f7,#191919><color=#191919,#FFFFFF>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14]]]]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아프리카 축구 연맹|[[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남미 축구 연맹|[[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오세아니아 축구 연맹|[[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유럽 축구 연맹|[[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4><bgcolor=#f7f7f7,#191919>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아시아축구연맹
소속 여자 국가대표팀
||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width=25%> [[파일:괌 기.svg|width=50]] ||<width=25%> [[파일:네팔 국기.svg|width=25]] ||<width=2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50]] ||<width=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괌]] ||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네팔]] || [[대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대만]] ||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 [[파일:동티모르 국기.svg|width=50]] ||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50]] ||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50]]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동티모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동티모르]] || [[라오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라오스]] || [[레바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레바논]] || [[마카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마카오]]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50]] || [[파일:몽골 국기.svg|width=50]] ||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말레이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 || [[몰디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몰디브]] ||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몽골]] || [[미얀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미얀마]] ||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50]]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50]]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50]] || [[파일:부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바레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바레인]] || [[방글라데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방글라데시]] || [[베트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베트남]] || [[부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부탄]] ||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width=50]] || [[파일:북한 국기.svg|width=50]]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50]]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북마리아나 제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북한]] || [[브루나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50]]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50]]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50]]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스리랑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리랑카]] || [[시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시리아]] || [[싱가포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예멘 국기.svg|width=50]] || [[파일:오만 국기.svg|width=50]] ||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아프가니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아프가니스탄]] || [[예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예멘]] || [[오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오만]] || [[요르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요르단]]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5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50]] || [[파일:인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우즈베키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 ||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인도]]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일본 국기.svg|width=5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50]]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인도네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인도네시아]] ||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 [[카타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카타르]] ||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50]]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캄보디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캄보디아]] || [[쿠웨이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타지키스탄]]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50]]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팔레스타인]]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50]]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필리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필리핀]] || [[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4><rowbgcolor=#fcd,#2d2f34><color=#191919,#FFFFFF>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14]]]]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아프리카 축구 연맹|[[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남미 축구 연맹|[[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오세아니아 축구 연맹|[[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유럽 축구 연맹|[[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4><bgcolor=#f7f7f7,#191919>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6.1. 해체 국가대표팀[편집]




6.2. 타 대륙 연맹으로 편입한 국가대표팀[편집]



한편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국의 압력으로 1975년 AFC에서 퇴출되어 잠시 OFC로 이적했다가, 1989년에 다시 AFC로 복귀했다.


7. 역대 회장[편집]


대수이름국적임기
초대로만캄
(Lo Man Kam)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1954
2대곽찬
(Kwok Chan)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1954~56
3대윌리엄 수이 탁 루이
(William Sui Tak Louey)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1956~57
4대찬남청
(Chan Nam Cheong)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1957~58
5대툰쿠 압둘 라만
(Tunku Abdul Rahman)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1958~77
6대캄비즈 아타바이
(Kambiz Atabay)
파일:이란 국기.svg1977~78
7대함자 아부 사마
(Hamzah Abu Samah)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1978~94
8대아흐마드 샤흐
(Ahmad Shah)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1994~2002
9대무함마드 빈 함맘
(Mohammed Bin Hammam)
파일:카타르 국기.svg2002~11
10대장지룽
(Zhang Jilong)
파일:중국 국기.svg2011~13
11대살만 알 카리파
(Salman Al-Khalifa)
파일:바레인 국기.svg2013~현직


8. 국제 대회 진출 횟수[23][편집]




8.1. 남성 대회[편집]



8.1.1. FIFA 월드컵[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11회대한민국1954,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7회일본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사우디아라비아1994, 1998, 2002, 2006, 2018, 2022, 2034
6회이란1978, 1998, 2006, 2014, 2018, 2022
호주[25]1974, 2006, 2010, 2014, 2018, 2022
2회북한1966, 2010
1회인도네시아[26]1938
이스라엘[27]1970
쿠웨이트1982
이라크1986
아랍에미리트1990
중국2002
카타르2022



8.1.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5회일본1995, 2001, 2003, 2005, 2013
4회사우디아라비아1992, 1995, 1997, 1999
호주[28]1997, 2001, 2005, 2017
1회아랍에미리트1997
대한민국2001
이라크2009


8.1.3. AFC 아시안컵[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15회대한민국1956, 1960, 1964, 1972,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이란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13회중국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11회아랍에미리트1980, 1984, 1988, 1992, 1996,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카타르1980, 1984, 1988, 1992,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사우디아라비아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10회쿠웨이트1972, 1976,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2011, 2015
9회이라크1972, 1976,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일본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8회우즈베키스탄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태국1972, 1992, 1996, 2000, 2004, 2007, 2019, 2023
7회시리아1980, 1984, 1988, 1996, 2011, 2019, 2023
바레인1988,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5회북한1980, 1992, 2011, 2015, 2019
베트남1956, 1960, 2007, 2019, 2023
오만2004, 2007, 2015, 2019, 2023
호주2007, 2011, 2015, 2019, 2023
인도1964, 1984, 2011, 2019, 2023
인도네시아1996, 2000, 2004, 2007, 2023
4회요르단2004, 2011, 2015, 2019
홍콩1956, 1964, 1968, 2023
말레이시아1976, 1980, 2007, 2023
3회레바논2000, 2019, 2023
팔레스타인2015, 2019, 2023
2회대만1960, 1968
투르크메니스탄2004, 2019
키르기스스탄2019, 2023
1회미얀마1968
캄보디아1972
남예멘1976
방글라데시1980
싱가포르1984
필리핀2019
예멘2019
타지키스탄2023


8.1.4. 코파 아메리카[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2회일본1999, 2019
1회카타르2019


8.1.5. 골드컵[편집]


횟수국가출전 연도
2회대한민국2000, 2002
카타르2021, 2023


8.1.6. OFC 네이션스컵[A][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6회호주1980, 1996, 1998, 2000, 2002, 2004


8.1.7. 올림픽[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11회대한민국1948, 196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P]
일본1936, 1956, 1964, 1968,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P]
8회호주[29]1956,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20[P]
5회이라크1980, 1984, 1988, 2004, 2016
4회인도1948, 1952, 1956, 1960
3회대만[30]1936, 1948, 1960
이란1964, 1972, 1976
쿠웨이트1980, 1992, 2000
사우디아라비아1984, 1996, 2020[P]
2회태국1956, 1968
이스라엘[31]1968, 1976
카타르1984, 1992
중국1988, 2008
1회아프가니스탄1948
인도네시아1956
말레이시아1972
미얀마1972
북한1976
시리아1980
아랍에미리트2012



8.1.8. FIFA U-20 월드컵[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15회호주[32]1981, 1983, 1985, 1987,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9, 2011, 2013
대한민국1979, 1981, 1983, 1993, 1997, 1999,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7, 2019, 2023
11회일본1979,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17, 2019, 2023
9회사우디아라비아1985, 1987, 1989, 1993, 1999, 2003, 2011, 2017, 2019
5회중국1983, 1985, 1997, 2001, 2005
우즈베키스탄2003, 2009, 2013, 2015, 2023
이라크1977, 1989, 2001, 2013, 2023
4회카타르1981, 1995, 2015, 2019
시리아1989, 1991, 1995, 2005
3회이란1977, 2001, 2017
아랍에미리트1997, 2003, 2009
북한2007, 2011, 2015
2회인도네시아1979
1회바레인1987
코리아1991
말레이시아1997
요르단2007
미얀마2015
베트남2017


8.1.9. FIFA U-17 월드컵[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13회호주[33]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9, 2001, 2003, 2005,
2011, 2015, 2019
10회일본1993, 1995, 2001, 2007, 2009, 2011, 2013, 2017, 2019, 2023
7회카타르1985, 1987, 1991, 1993, 1995, 1999, 2005
대한민국1987, 2003, 2007, 2009, 2015, 2019, 2023
6회중국1985, 1989, 1991, 1993, 2003, 2005
5회북한2005, 2007, 2011, 2015, 2017
이란2001, 2009, 2013, 2017, 2023
3회사우디아라비아1985, 1987, 1989
아랍에미리트1991, 2009, 2013
오만1995, 1997, 2001
우즈베키스탄2011, 2013, 2023
2회바레인1989, 1997
태국1997, 1999
시리아2007, 2015
타지키스탄2007, 2019
이라크2013, 2017
1회예멘2003
인도2017
인도네시아2023


8.1.10. 아시안 게임[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18회일본1951,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대한민국1954, 1958, 1962, 1966, 1970[B], 1974, 1978[C],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15회이란1951, 1958, 1966, 1970, 1974,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인도1951,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8, 2002, 2006, 2010, 2014
말레이시아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2002, 2006, 2010, 2014, 2018
태국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13회중국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3
11회베트남1954, 1958, 1962, 1966, 1970,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쿠웨이트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10회인도네시아1951, 1954, 1958, 1962, 1966, 1970, 1986, 2006, 2014, 2018
미얀마1951, 1954, 1958, 1966, 1970[B], 1974, 1978, 1982, 1994, 2018
파키스탄1954, 1958, 1974, 1986, 1990, 2002, 2006, 2010, 2014, 2018
홍콩1954, 1958,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북한1974, 1978[C], 1982, 1990,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9회방글라데시1978, 1982, 1986, 1990, 2002, 2006, 2010, 2014, 2018
8회바레인1974, 1978, 1986, 1994, 2002, 2006, 2010, 2018
카타르1978, 1986, 1994, 1998, 2002, 2006, 2010, 2018
아랍에미리트1986,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7회싱가포르1954, 1958, 1966, 1990, 2006, 2010, 2014
사우디아라비아1978, 1982, 1986, 1990, 1994, 2014, 2018
오만1986,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우즈베키스탄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6회이라크1974, 1978, 1982, 1986, 2006, 2014
네팔1982, 1986, 1994, 1998, 2014, 2018
5회팔레스타인2002, 2006, 2010, 2014, 2018
4회아프가니스탄1951, 1954, 2002, 2014
필리핀1954, 1958, 1962, 1974
대만1954, 1958, 1966, 2018
투르크메니스탄1994, 1998, 2002, 2010
몰디브1998, 2002, 2006, 2014
키르기스스탄2006, 2010, 2014, 2018
3회시리아1982, 2006, 2018
예멘1990, 1994, 2002
타지키스탄1998, 2006, 2014
라오스1998, 2014, 2018
요르단2006, 2010, 2014
2회캄보디아1970, 1998
레바논1998, 2002
동티모르2014, 2018
1회남예멘1982
몽골1998
마카오2006


8.1.11. 퍼시픽 게임[A][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5회1975, 1979, 1991, 1995, 2011
1회북마리아나 제도1983


8.2. 여성 대회[편집]



8.2.1. FIFA 여자 월드컵[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9회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2019, 2023
8회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991, 1995, 1999, 2003, 2007, 2015, 2019, 202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34]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2019, 2023
4회파일:북한 국기.svg 북한1999, 2003, 2007, 20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003, 2015, 2019, 2023
2회파일:태국 국기.svg 태국2015, 2019
1회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1991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2023


8.2.2. AFC 여자 아시안컵[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17회일본1977, 1981, 1986,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16회태국1975, 1977, 1981, 1983, 1986, 1989, 1995,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15회중국1986,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13회대한민국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14회홍콩1975, 1977, 1979, 1981, 1983, 1986,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대만1977, 1979, 1981,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22
10회필리핀1981, 1983,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18, 2022
9회말레이시아1975, 1979, 1983, 1986, 1991, 1993, 1995, 1999, 2001
인도1979[35], 1981, 1983, 1995, 1997, 1999, 2001, 2003, 2022
북한1989, 1991,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베트남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8회호주1975, 1979[36],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7회싱가포르1975, 1977, 1981, 1983, 1991, 2001, 2003
5회인도네시아1977, 1981, 1986, 1989, 2022
우즈베키스탄1995, 1997, 1999, 2001, 2003
미얀마2003, 2006, 2010, 2014, 2022
4회1997, 1999, 2001, 2003
3회네팔1986, 1989, 1999
2회카자흐스탄1995, 1997
요르단2014, 2018
1회뉴질랜드1975
이란2022


8.2.3. 올림픽[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6회중국1996, 2000, 2004, 2008, 2016, 2021[P]
5회일본1996, 2004, 2008, 2012, 2021[P]
4회호주[37]2000, 2004, 2016, 2021[P]
2회북한2008, 2012


8.2.4. FIFA U-20 여자 월드컵[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8회북한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2
7회일본2002, 2008, 2010, 2012, 2016, 2018, 2022
6회중국2004, 2006, 2008, 2012, 2014, 2018
대한민국2004, 2010, 2012, 2014, 2016, 2022
3회호주[38]2002, 2004, 2006
1회대만2002
태국2004


8.2.5. FIFA U-17 여자 월드컵[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7회북한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2
일본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2
3회대한민국2008, 2010, 2018
2회중국2012, 2014


8.2.6. 아시안 게임[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9회중국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3
일본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3
대한민국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3
7회북한1990,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대만1990, 1994, 1998, 2002, 2006, 2014, 2018
6회베트남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5회태국1998, 2006, 2010, 2014, 2018
3회홍콩1990, 2014, 2018
요르단2006, 2010, 2014
2회인도1998, 2014
몰디브2014, 2018
1회인도네시아2018
타지키스탄2018


8.2.7. 퍼시픽 게임[A][편집]


횟수국가진출 연도
2회2003, 2011


9. AFC 올해의 선수[편집]


1984년 아시아-오세아니아 사커 핸드북이라는 도서에서 아시아 최고를 뽑는 설문을 시행한 것이 이 상의 기원이며 1988년부터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 (IFFHS)에서 시상하기 시작했다. 이후 1992년까지 IFFHS에서 시상을 맡다가 1994년 이후로 AFC가 시상하고 있다. 1994년 이전의 선정은 AFC 입장에서 비공식 기록에 해당되지만 전체적인 아시아 올해의 선수에서는 인정받고 있다.#


9.1. AFC 올해의 선수[편집]


연도선수국가클럽
1994사에드 알오와이란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알 샤바브 FC
1995이하라 마사미파일:일본 국기.svg요코하마 F. 마리노스
1996호다다드 아지지파일:이란 국기.svg바흐만 FC
1997나카타 히데토시파일:일본 국기.svg쇼난 벨마레
1998나카타 히데토시파일:일본 국기.svg페루자 칼치오
1999알리 다에이파일:이란 국기.svgFC 바이에른 뮌헨/헤르타 BSC
2000나와프 알 테미야트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알 힐랄 FC
2001판즈이파일:중국 국기.svg던디 유나이티드 FC
2002오노 신지파일:일본 국기.svg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03메흐디 마다비키아파일:이란 국기.svg함부르크 SV
2004알리 카리미파일:이란 국기.svg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2005하마드 알 몬타샤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알 이티하드 FC
2006칼판 이브라힘파일:카타르 국기.svg알 사드 SC
2007야세르 알 카타니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알 힐랄 FC
2008세르베르 제파로프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FC 부뇨드코르
2009엔도 야스히토파일:일본 국기.svg감바 오사카
2010사샤 오그네노브스키파일:호주 국기.svg성남 일화 천마
2011세르베르 제파로프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알 샤바브 FC
2012이근호파일:대한민국 국기.svg울산 현대
2013정즈파일:중국 국기.svg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2014나세르 알 샴라니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알 힐랄 FC
2015아흐메드 칼릴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2016오마르 압둘라흐만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알 아인 FC
2017오마르 크르빈파일:시리아 국기.svg알 힐랄 FC
2018압델카림 하산파일:카타르 국기.svg알 사드 SC
2019아크람 아피프파일:카타르 국기.svg알 사드 SC
2020시상식 미개최[39]
2021
2022살렘 알다우사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알 힐랄 FC

횟수국가수상 연도
6회사우디아라비아1994, 2000, 2005, 2007, 2014, 2022
5회일본1995, 1997, 1998, 2002, 2009
4회이란1996, 1999, 2003, 2004
3회카타르2006, 2018, 2019
2회우즈베키스탄2008, 2011
중국2001, 2013
아랍에미리트2015, 2016
1회시리아2017
대한민국2012
호주2010







9.2. AFC 올해의 해외파 선수[편집]


아무래도 기존의 시상식에 참가해야만 올해의 선수상을 수여하는 방식에 대해 형평성이 어긋난다고 욕과 비판을 많이 얻어 먹었는지 2012년부터 기존의 아시아 선수상과는 별개로 해외파 선수상을 만들어서 유럽 리그에서 뛰는 해외파 아시아 선수 중에서 따로 선수 한 명을 뽑아 시상하기 시작했다.

연도선수국가클럽
2013나가토모 유토파일:일본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14밀레 예디낙파일:호주 국기.svg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탈 팰리스 FC
2015손흥민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2016오카자키 신지파일:일본 국기.svg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스터 시티 FC
2017손흥민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2018하세베 마코토파일:일본 국기.svg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019손흥민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2020시상식 미개최[43][44]
2021
2022김민재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9.3. AFC 올해의 외국인 선수[편집]


기존의 올해의 선수상과 별개로 해외파 아시아 선수상을 만들때 아시아 리그에서 뛰는 최고의 외국인 선수를 선정하기 위해 2012년에 같이 만들어졌다. 2015년 이후 폐지했다.

연도선수국가클럽
2012호제리뉴파일:브라질 국기.svg쿠웨이트 SC
2013무리퀴파일:브라질 국기.svg광저우 헝다
2014아사모아 기안파일:가나 국기.svg알 아인
2015히카르두 굴라트파일:브라질 국기.svg광저우 헝다


9.4. AFC 올해의 여자 선수[편집]


연도선수국가클럽
1999쑨원파일:중국 국기.svg상하이 선화
2000시상식 미개최
2001시상식 미개최
2002시상식 미개최
2003바이 지에파일:중국 국기.svg워싱턴 프리덤
2004사와 호마레파일:일본 국기.svg닛폰 TV 벨레자
2005하라 나츠코파일:일본 국기.svg닛폰 TV 벨레자
2006마샤오쉬파일:중국 국기.svg다롄 스더
2007리금숙파일:북한 국기.svg4.25체육단
2008사와 호마레파일:일본 국기.svg닛폰 TV 벨레자
2009시상식 미개최
2010캐스린 길파일:호주 국기.svg퍼스 글로리 FC 위민
2011미야마 아야파일:일본 국기.svg오카야마 유노고 벨
2012미야마 아야파일:일본 국기.svg오카야마 유노고 벨
2013시상식 미개최
2014카트리나 고리파일:호주 국기.svgFC 캔자스시티
2015미야마 아야파일:일본 국기.svg오카야마 유노고 벨
2016케이틀린 포드파일:호주 국기.svg시드니 FC 위민
2017서맨사 커파일:호주 국기.svg퍼스 글로리 FC 위민
2018왕슈앙파일:중국 국기.svg파리 생제르맹 FC 페미닌
2019쿠마가이 사키파일:일본 국기.svg올랭피크 리옹 페미닌
2020시상식 미개최[45]
2021
2022서맨사 커파일:호주 국기.svg첼시 FC 위민


9.5. AFC 올해의 유스 선수[편집]


연도선수국가클럽성별
1995모하메드 아마르 알 카티리파일:오만 국기.svg
1996밤룽 붐프롬파일:태국 국기.svg방콕은행 FC
1997메흐디 마다비키아파일:이란 국기.svg페르세폴리스 FC
1998오노 신지파일:일본 국기.svg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999왈리드 함자파일:카타르 국기.svg알아라비 SC
2000마에다 료이치파일:일본 국기.svg주빌로 이와타
2001두웨이파일:중국 국기.svg상하이 선화
2002이천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울산 현대 호랑이
2003오쿠보 요시토파일:일본 국기.svg세레소 오사카
2004박주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고려대학교
2005최명호파일:북한 국기.svg경공업성체육단
2006마샤오쉬파일:중국 국기.svg다롄 스더
2007김금일파일:북한 국기.svg4.25체육단
2008아흐메드 칼릴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알 아흘리 클럽
이와부치 마나파일:일본 국기.svg닛폰 TV 벨레자
2009기성용파일:대한민국 국기.svgFC 서울
이와부치 마나파일:일본 국기.svg닛폰 TV 벨레자
2010정일관파일:북한 국기.svg리명수 체육단
여민지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함안대산고등학교
2011이시게 히데키파일:일본 국기.svg시미즈 S펄스
케이틀린 포드파일:호주 국기.svg시드니 FC 위민
2012모한나드 압둘라힘파일:이라크 국기.svg두호크 FC
시바타 하나에파일:일본 국기.svg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13알리 아드난 카딤파일:이라크 국기.svg차이쿠르 리제스포르
장슬기파일:대한민국 국기.svg강원도립대학교
2014아흐메드 모에인파일:카타르 국기.svgKAS 오이펜
스기타 히나파일:일본 국기.svg후지에다 준신 고등학교
2015도스톤벡 캄다모프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FC 부뇨드코르
고바야시 리카코파일:일본 국기.svg도키와기 가쿠엔 고등학교
2016도안 리츠파일:일본 국기.svg감바 오사카
나가노 후우카파일:일본 국기.svg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17이승우파일:대한민국 국기.svg엘라스 베로나 FC
승향심파일:북한 국기.svg평양시체육단
2018투르키 알 아마르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알 샤바브 FC
다카라다 사오리파일:일본 국기.svg세레소 오사카 사카이 레이디스
2019이강인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발렌시아 CF
엔도 준파일:일본 국기.svg닛폰 TV 벨레자
2020시상식 미개최[46]
2021
2022마츠키 쿠류파일:일본 국기.svgFC 도쿄
하마노 마이카파일:일본 국기.svg첼시 FC 위민


10. AFC 올해의 감독[편집]


연도선수국가클럽성별
1994찬윗 폴치윈파일:태국 국기.svg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1995박종환파일:대한민국 국기.svg천안 일화 천마
1996마 유아난파일:중국 국기.svg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1997차범근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1998구와하라 다카시파일:일본 국기.svg주빌로 이와타
1999마무드 라키모프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2000필립 트루시에파일:프랑스 국기.svg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2001나세르 알 조하르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2002거스 히딩크파일:네덜란드 국기.svg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003차경복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성남 일화 천마
2004아드난 하마드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2006최광석파일:북한 국기.svg북한 U-20 축구 국가대표팀
2007[47]라우프 이니리프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톰 세르마니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08니시노 아키라파일:일본 국기.svg감바 오사카
김광민파일:북한 국기.svg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09[48]허정무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010오카다 다케시파일:일본 국기.svg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김태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2011노리오 사사키파일:일본 국기.svg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데즈카 다카코파일:일본 국기.svg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레이디스
2012김호곤파일:대한민국 국기.svg울산 현대
타카쿠라 아사코파일:일본 국기.svg
2013최용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FC 서울
타카쿠라 아사코파일:일본 국기.svg일본 여자 U-16 축구 국가대표팀
2014토니 포포비치파일:호주 국기.svg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타카쿠라 아사코파일:일본 국기.svg일본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2015엔지 포스테코글루파일:호주 국기.svg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타카쿠라 아사코파일:일본 국기.svg일본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2016최강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전북 현대 모터스
찬유엔팅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이스턴 SC
2017호리 다카후미파일:일본 국기.svg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타카쿠라 아사코파일:일본 국기.svg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18오이와 고파일:일본 국기.svg가시마 앤틀러스
타카쿠라 아사코파일:일본 국기.svg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19정정용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타카쿠라 아사코파일:일본 국기.svg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20시상식 미개최[49]
2021
2022모리야스 하지메파일:일본 국기.svg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칭샤수이파일:중국 국기.svg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11. 논란[편집]



11.1. 중동 편애 논란[편집]


중동의 오일머니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중동 편애가 심하다는 의혹이 있다. 대표적인 사건이 2009 시즌에 ACL 규정에서 컵 타이 규정[50]을 폐지한 것이다. 규칙 자체는 대회 전에 개정했으니 문제는 없지만, 그 혜택을 받은 게 중동 클럽이었다는게 문제다. 또한 2011년 아챔 4강에서 벌어진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 알 사드 사건에서도 정작 비매너를 저질러 폭력 사태의 원인을 제공한 알 사드 측보다 수원 측에 더 강한 징계를 내려 한국 축구 팬들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

동아시아 국가들과 사이가 좋지 않은데 아시아 축구가 중동 vs 동아시아 구도 때문이기에 그렇다[51]. 아시아 유명 축구 TV프로그램 풋볼 아시아를 보면 이러한 구도가 보인다.

함맘 전 회장과 정몽준 전 FIFA 부회장 사이가 견원지간인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평소 AFC에 대해 탐탁치 않게 생각한 국가들은 AFC 회장선거에서 정몽준에게 표를 던지기도 했다. 결과는 실패로 돌아갔다.

하지만 딱히 중동 편애라고 볼 수만도 없는 게 오일 머니뿐 아니라 일본이나 한국, 중국, 동남아 스폰서들도 많다. 그리고 중동 편애 이야기가 나오는 근본적인 이유는 심판 배정 문제 때문인데, 같은 한자 문화권에 가까운 나라인 한국, 일본, 중국 사이가 별로인 것처럼 중동(서아시아) 쪽도 역사적으로나 최근에도 별로 사이가 좋은 편이 아니다.[52] 그보다는 그냥 심판 수준이 떨어지는 거라고 보면 된다. 이 문제에 대해선 존 듀어든도 칼럼에 거론한 적 있을 정도로 너무나도 AFC 행정력이나 심판 수준이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것.

그런데 돌연 샤이크 살만 현 AFC 회장이 "호주를 아시아권에서 퇴출시켜야 한다"라고 발언한 것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즉 살만 회장이 "호주가 아시아에 들어와 있는데 호주가 아시아와 관련이 있나?"라는 얘긴데, 링크된 기사를 봐도 알겠지만 호주가 아시아 연맹에 편입된 이후 월드컵 본선에 2번이나 진출했고 이는 중동 국가들로 하여금 불공정하다는 반발을 사고 있는 듯 하다는 것이다. 더구나 샤이크 살만 연맹회장이 바레인 축구협회회장이란 것을 고려하면 월드컵 본선 진출에 별 재미를 보지 못한 중동 국가들을 규합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11.2. 러시아의 AFC 편입 논란[편집]


러시아UEFA에 속해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축구 국가대표팀과 소속 클럽팀 등 모든 러시아의 축구팀들이 UEFA, FIFA에서 잠정적 퇴출은 물론이고 출전이 무기한 금지된 상황에서 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이적한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만일 편입될 경우 기존의 아시아 강팀들[53]의 반발은 물론이고, 신흥강팀들과 다크호스들도 이에 반발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러시아도 유럽에서 강팀에 실력이 좋은 팀이기에 아시아와 실력이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으므로 아시아 축구 예선에는 득보다 실이 크고 혼돈의 도가니 속으로 빠져들 수가 있다. #기사#기사2

또한 원정에서도 모스크바 등 러시아 주요도시들도 장거리 원정을 생각하면 선수들의 피로를 고려해야 한다.

2022년 12월 31일에 러시아축구연합은 'AFC에 합류하는 대신 UEFA에 잔류하면서 국제 대회 복귀를 타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사


12. 산하 협회의 축구 리그[편집]




13. 아시아 축구 연맹 찬가[편집]


찬가는 한국인 작곡가 이동준이 작곡했다. 2015년 AFC 아시안컵에서 최초로 사용했다. 현재의 찬가는 2018년 개정판이다.



[1] 현 AFC 소속 국가 기준[A] A B C D E F 모두 OFC 소속시 기록[2]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화민국, 파키스탄, 필리핀, 홍콩 등 주로 동남아시아동아시아 국가들이 주축이 되었다.[3] 원정 거리 문제는 유럽처럼 강제로 다른 조로 분리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기는 하다.[4] 말레이시아. AFC 챔피언스 리그 한정.[5] FIFA 월드컵 최종 예선 한정.[6] AFC 아시안컵 한정.[7] 카타르 한정.[8] 레바논. 아시안컵 한정.[9] 요르단. 월드컵 최종 예선 제외.[10] 쿠웨이트. 월드컵 최종 예선 제외.[11] 사우디아라비아. AFC 챔피언스 리그 한정.[12] 국가대표 한정. 월드컵 최종 예선 제외.[13]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정.[14] 사우디 아라비아의 신도시 계획.[15] 독일의 자동차 부품 제조사[16] 일본의 카드사[17] 사우디아라비아의 도시 개발회사[18] 중국의 유제품 제조사[19] 일본의 게임 제작사[20] 일본의 종합화학기업[21] 스페인의 스포츠용품 제조사[22]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이 승계.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이 패망할 때까지 FIFA에 가입하지 않았다.[23] 현 AFC 소속 국가 기준[24]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까지는 아시아 지역 예선을 치루었으나 이후 중동국가들의 입김으로 강제로 탈퇴당해 오세아니아등지를 떠돌다가 1991년 유럽축구연맹에 가입하여 1994년 미국 월드컵 부터는 유럽 지역 예선을 뛰게 되었다. 여담으로 1970년 멕시코 월드컵 이후 가장 본선에 근접했던 대회가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으로 당시 오세아니아 예선1위의 자격으로 콜롬비아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루었으나 패배해 아쉽게 본선에 오르지는 못했다.[25] 2006년 대회까지는 OFC 소속이었기 때문에 AFC 소속일 때의 기록만 보면 4회다.[26]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27] 현재 UEFA 소속이지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던 당시에는 AFC였다.[28] AFC 소속 기준으로는 1회[P] A B C D E F G 2021년으로 연기됨[29] 2004년까지는 OFC였으며, AFC 소속 기준으로만 보면 2회다.[30] 중화민국 국호로 출전(특히 1949년 이전까지는 중국 본토 전체를 대표했다).[31] 지금은 유럽 소속이지만, 이 당시에는 아시아 소속이었다.[32] 2005년까지는 오세아니아 소속이었으며, 아시아 소속일때만 보면 3회 진출[33] 2005년까지는 오세아니아 소속이었으며, 아시아 소속일때의 기준으로만 보면 3회 출전[B] A B 대한민국 & 버마 공동 우승[C] A B 남북한 공동 우승[34] AFC 소속 기준으로만 계산하면 5회 출전[35] 북부 선발 팀과 남부 선발 팀으로 나뉘어 출전했다.[36]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선발팀 출전.[37] 아시아 소속 기준으로만 보면 2회 진출[38] 아시아 소속 기준으로만 보면 0회 진출, 이 3회 진출은 전부 오세아니아 소속일 때다.[3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40] 대륙 내에서 활동하는 선수에게만 자격을 인정하려는 방식은 사실 남미 올해의 선수도 쓰고 있다. 다만, 남미의 경우 유럽에서 활동하는 수준 높은 선수들이 발롱도르에서 인정을 받기 때문에 따로 남미 대륙에 한정된 상을 시상해도 큰 문제가 없다. 아시아와 비슷한 레벨인 아프리카와 북중미는 선수상에서 타 대륙 활동을 차별하지 않는다.[41] 소속팀의 프리미어리그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에 기여하고 아시안컵에서도 한국을 3위로 이끌어 여전히 최고 수준 활약을 보여준 박지성은 2005년 시상식에 불참해서 찍혔는지 아예 최종 후보로도 뽑지 않고 미리 배제시켰다(...).[42] 2019년의 시상에서 분데스리가UEFA 유로파 리그의 베스트 팀에 뽑힌 하세베 마코토와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서 맹활약한 황희찬을 후보 30인에서 제외시켰다. 아시아 내 약체에 속하는 국가들에서도 후보를 뽑으면서 유럽에서 크게 주목한 선수들을 배제한 것이다.[43]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44] 언론들의 보도에서 손흥민이 선정된 국제 선수상은 팬 투표 비중이 60%인 팬 선정 상이며, 공식 선정이 아니다.# 같은 사례로 AFC는 챔피언스리그 MVP의 팬 투표도 진행했으며 여기서 이란 선수인 하메드 락이 선정되었지만,# 공식 MVP는 윤빛가람이다.#[4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46]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47] 이 연도부터 남녀 감독이 공동 수상했다.[48] 이 연도에는 단독 수상했다.[4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50] 컵 대회를 1경기라도 출전한 선수가 시즌 중 이적하면 그 시즌의 해당 컵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하는 조항이다.[51] 아시안컵이나 월드컵 예선전 대진을 보면 사우디아라비아나 이란을 제외하면 동아시아 국대들이 두려워 해야 할 중동세들은 그다지 많지 않다. 하지만 이라크, 그리고 특히 시리아 등이 간혹 동아시아에 빅엿를 선사하는 예도 있어서 만만하게는 볼 수 없다. 대체로 경기매너 때문에 논란이 많은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극성홈팬들과 침대축구(...).[52] 시아파와 수니파의 대립, 친미 국가와 반미 국가 진영의 대립, 작게는 카타르와 바레인의 하와르 제도 분쟁 등등.....하지만 이스라엘 문제나 튀르키예의 EU 가입 논란처럼 확실히 뭉치는 부분도 있어서 100%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이란을 믿느니 이스라엘을 차라리 믿고 만다는 투로 2020년 아랍에미리트가 아랍연맹 반발을 무시하며 이스라엘과 정식 수교를 맺는다든지 여기도 확실히 뭉치는 것도 아니다.[53] 대한민국, 호주, 이란, 일본, 사우디 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