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진
[ 지진 관련 정보 펼치기 · 접기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국내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발생시각 (UTC+09:00)규모진원최대진도
2023년 12월 23일
04시 34분 05초
M 3.0전북 장수군 북쪽 17km 지역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 m
실측 최고높이: - m


[ 역사지진 ]

역사지진
(1904년 이전)
발생순서명칭규모
(추정)
(M)
최대 진도
(추정)
(MMI)
189년 서울 지진6.7~7.0
2100년 경주 지진6.7
3304년 경주 지진6.1
46.7
5779년 경주 지진6.3~7.0
61036년 경주 지진6.4
71455년 순천 지진6.4
81518년 한성 지진6.7
91597년 백두산 지진7.7~8.0
10
11
121643년 합천 지진6.4~6.7
131643년 울산 대지진6.7~7.4
141681년 양양 대지진6.5
157.5
161810년 부령 지진6.7
171899년 대한제국 지진-[X]
[X] 자료없음

[ 비공식 계기지진 ]

비공식 계기지진
(1905년 ~ 1977년)
발생순서명칭규모
(M)
최대 진도
(MMI)
11921년 경주 지진 4.2
[1]
21925년 홍성 지진 4.4
[2]
31936년 지리산 쌍계사 지진5.3
[A]
41944년 조선-중국 국경 지진6.6
[U]
51952년 강서 지진6.4
[U]
61952년 은천 지진5.6
[U]
71960년 길주 해역 지진6.8
[J]
8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5.8~6.3
[K]
95.8~6.6
101973년 나진 해역 지진7.7
[J]
111975년 속초 해역 지진7.1
[J]
[1] 피해정도를 통한 추정[2] 감진정도를 통한 추정[A] 우리나라 계기지진의 진도와 규모 관계 분석 논문을 참고함.[U] A B C USGS[J] A B C 일본 기상청 발표이며, 일본 기상청 진도를 수정 메르칼리 진도로 변환[K] 한국 기상청, 일본 기상청 진도일 경우 수정 메르칼리 진도로 단순 변환, 진도문서 참조

[ 계기지진 ]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발생순서명칭규모
(M)
최대 진도
(MMI)
11978년 속리산 지진5.2
[A]
21978년 홍성 지진5.0
[A]
31980년 의주 지진5.3
[U]
41982년 사리원 지진4.5
[K]
51994년 울산 해역 지진4.6
[K]
64.5
71994년 홍도 해역 지진4.9
[K]
81996년 영월 지진4.5
[1]
91997년 경주 지진4.2
[2]
102004년 울진 해역 지진5.2
112007년 평창 지진4.8
12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4.9
132016년 울산 지진5.0
14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
5.1
155.8
[3]
162017년 포항 지진5.4
[4]
172018년 포항 지진4.6
182019년 동해 해역 지진4.3
19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4.9
202022년 괴산 지진4.1
212023년 강화 지진3.7
222023년 동해 해역 지진4.5
232023년 장수 지진3.5
-2023년 어랑 해역 지진[5]
(심발지진)
4.9
242023년 경주 지진4.0
[A] A B [U] [K] A B C [1] USGS 기록#과 논문 1996년 12월 13일 영월 지진의 진도 및 에너지감쇠에 관한 연구, 1996년 12월 13일 영월지진의 피해 및 진도 분석, 20C 한반도 지진활동 특성과 영월지진(1996년12월13일)의 피해 및 진도 분석를 참고함.[2] USGS 기록#과 논문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진도 및 파형분석,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진도분석 및 지진 지질학적 의의를 참고함.[3] 기상청 발표 최대진도는 Ⅵ이었으나, USGS의 기록#, 이후 발표된 기상청 보고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의 모의 영상의 표기 등을 참조하여 Ⅶ로 정함.[4] 기상청 발표 최대진도는 Ⅵ이었으나, 규모 4.3의 여진#에서 최대진도 Ⅶ을 관측한점, USGS의 기록# 지진 이후 발표한 기상청 포항지진 분석 보고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의 모의 영상의 표기 등을 참조하여 Ⅶ로 정함.[5] 해당 지진은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았음.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파일:어랑 해역 지진.png
발생
(UTC+9)
2023년 9월 7일 00시 52분 16초
진앙북한 함경북도 어랑군 회문리 동쪽 약 40km 해역
41.509°N 130.093°E
진원의 깊이634.9km[EMSC]
649.8km[USGS]
692km[JMA]
규모mb 4.9 / M,j, 4.5
진도함경북도 청진시

1. 개요
2. 상세
3. 참고 영상



1. 개요[편집]


USGS EMSC JMA

2023년 9월 7일 00시 52분 16초에 북한 함경북도 어랑군 회문리 동쪽 약 40km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9의 지진. 발생 깊이가 무려 634.9 ~ 692km로 현재까지 계기관측된 국내지진영역 내 심발지진 중 깊이가 가장 깊은 지진이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 국내지진구역 내부에서 발생한 지진이지만 국내지진이나 국외지진으로 공식발표되진 않았다.[1]


2. 상세[편집]


해당 지역은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의 충돌로 인해 과거부터 깊이 500km 이상의 심발지진이 자주 발생하던 지역이다. 특히 1973년에는 규모 7.8의 1973년 나진 해역 지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다.

발생 깊이가 깊은 심발지진 특성상 지진의 진동을 느끼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참고 영상[편집]


다음은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심발지진의 특성과 심발지진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이상진역에 대해 설명한 영상들이다.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2023년 장수 지진2023년 어랑 해역 지진-
문서가 존재하는 2023년 지진
2022
2023
2024
발생일규모지진명최대진도
01. 09.M 3.7강화도 해역 지진
01. 10.M 7.9인도네시아 말루쿠 지진
01. 14.M 5.6네팔 지진(1월)
02. 06.M 7.8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XI
M 7.6
02. 25.M 6.1홋카이도 구시로 해역 지진
5-
03. 18.M 6.8에콰도르 지진
03. 21.M 6.5아프가니스탄 지진(3월)
04. 30.
~
M 6.5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1]
,(2023년 5월),
6+
05. 11.M 5.4일본 치바현 남부 지진
5+
05. 11.
~
~ M 5.3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2]
5-
04. 23.
~
M 3.8[3]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4]
,(5월 15일 지진),
05. 22.
~
~ M 5.3일본 이즈 제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
5-
06. 11.M 6.2홋카이도 우라카와 앞바다 지진
5-
06. 16.M 5.3프랑스 니오르 지진
07. 29.M 3.5장수 지진
09. 07.
~
~ M 5.3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9월)
4
09. 07.M 4.9북한 어랑 해역 지진
09. 08.M 7.4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10. 07.M 6.3아프가니스탄 지진(10월)
10. 11.
10. 15.
11. 03.M 6.4네팔 지진(11월)
11. 17.M 6.7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11월)
11. 30.M 4.0경주 지진
12. 02.M 7.6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 (12월)
12. 18.M 6.2중국 간쑤성 지진
IX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2:32:18에 나무위키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EMSC] [USGS] [JMA] [1] 파일:기상청 지진 감시구역.png 빨간선 영역 내부가 국내지진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