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덤프버전 :

파일:CACEEBDB-BBA7-4102-B172-4CA1C8EC9424.jpg

David Bowie

[ Studio albums ]

파일:데이비드 보위 1집.jpg
파일:데이비드 보위 2집.jpg
파일:Man Who Sold the World.jpg
파일:Hunky Dory HQ.jpg
파일:Ziggy Stardust.jpg

1967

1969

1970

1971

1972
파일:1973_aladdinsane.jpg
파일:데이비드 보위 7집.jpg
파일:1974_diamonddogs.jpg
파일:1975_youngamericans.jpg
파일:external/f965e22d90e26db26e649d3e2b8174d9a2d80043c0d72dde2ca7f034e4bff998.jpg

1973

1973

1974

1975

1976
파일:1977_low.jpg
파일:1977_heroes.jpg
파일:external/images.rapgenius.com/b39cbf69601690e0cf43f51269268d36.998x1000x1.jpg
파일:scarymonsters.jpg
파일:데이비드 보위 15집.jpg

1977

1977

1979

1980

1983
파일:tonight-1983.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G3By43yBL._SL1300_.jpg
파일:external/resources.wimpmusic.com/1280x1280.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avid_bowie-the_buddha_of_suburbia-uk.jpg
파일:external/images.rapgenius.com/18a179bd49a2c0be8b18b647e417acec.953x953x1.jpg

1984

1987

1993

1993

1995
파일:Earthling.jpg
파일:external/consequenceofsound.files.wordpress.com/bowie-hours.jpg
파일:external/www.davidbowie.com/2002_heathen_cvr_1000sq.jpg
파일:external/innocentwords.com/david-bowie-reality.jpg
파일:external/assets.rollingstone.com/david-bowies-the-next-day-001-1361815326.jpg

1997

1999
[1]
2002

2003

2013
파일:external/img.thesun.co.uk/08_08031016_01c087_2631892a.jpg

2016
[1] Hours와 Heathen 사이에, 2001년 미공개 정규음반인 Toy가 존재. 2021년 박스셋의 일부로 공개되었다.




파일:Bowie.jpg
데이비드 보위의 역대 스튜디오 음반
1971년 12월 17일
4집 Hunky Dory
1972년 6월 16일
5집 Ziggy Stardust
1973년 4월 13일
6집 Aladdin Sane
수상 내역
[ 펼치기 · 접기 ]



파일:180322_libraryofcongress_900px.jp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2000년대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2002년 등재
루이 암스트롱 <The Complete Hot Five and Hot Seven Recordings> (1920~1928)
프랭크 시나트라, <Songs for Young Lovers> (1954)
엘비스 프레슬리, Sun Records sessions (1954-1955)
마일스 데이비스, <Kind of Blue> (1959)
밥 딜런, <The Freewheelin' Bob Dylan> (1963)
2003년 등재
로버트 존슨, <The Complete Recordings> (1936-1937)
베니 굿맨, <The Famous 1938 Carnegie Hall Jazz Concert> (1938년 1월 16일)
글렌 굴드, <Goldberg Variations> (1955)
엘라 피츠제럴드, <Ella Fitzgerald Sings the Cole Porter Song Book> (1956)
델로니어스 몽크, <Brilliant Corners> (1956)
찰스 밍거스, <Mingus Ah Um> (1959)
주디 갈란드, <Judy at Carnegie Hall> (1961)
비틀즈,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67)
조니 캐시, <At Folsom Prison> (1968)
캐롤 킹, <Tapestry> (1971)
마빈 게이, <What's Going On> (1971)
브루스 스프링스틴, <Born to Run> (1975)
2004년 등재
존 콜트레인, <Giant Steps> (1959)
제임스 브라운, <Live At The Apollo> (1963)
비치 보이스, <Pet Sounds> (1966)
올맨 브라더스 밴드, <At Fillmore East> (1971)
존 윌리엄스, <Star Wars> (1977)
퍼블릭 에너미, <Fear of a Black Planet> (1990)
너바나, <Nevermind> (1991)
2005년 등재
데이브 브루벡, <Time Out> (1959)
비비 킹, <Live at the Regal> (1965)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Are You Experienced> (1967)
프랭크 자파 앤 더 마더스 오브 인벤션, <We’re Only In It For the Money> (1968)
웬디 카를로스 <Switched On Bach> (1968)
스티비 원더, <Songs in the Key of Life> (1976)
소닉 유스, <Daydream Nation> (1988)
2006년 등재
피트 시거, <We Shall Overcome> (1963)
벨벳 언더그라운드니코,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1967)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Burnin'> (1973)
사라 본, <Live in Japan> (1973)
폴 사이먼, <Graceland> (1986)
2007년 등재
조니 미첼, <For The Roses> (1972)
허비 행콕, <Head Hunters> (1973)
마이클 잭슨, <Thriller> (1982)
2008년 등재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57)
더 후, <The Who Sings My Generation> (1966)
2009년 등재
뮤지컬 <집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59)
빌 에반스 트리오, <The Complete Village Vanguard Recordings> (1961년 6월 25일)
더 밴드, <The Band> (1969)
패티 스미스, <Horses> (1975)
윌리 넬슨, <Red Headed Stranger> (1975)

2010년대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2010년 등재
캡틴 비프하트 앤 히스 매직 밴드, <Trout Mask Replica> (1969)
스틸리 댄, <Aja> (1977)
데 라 소울, <3 Feet High and Rising> (1989)
2011년 등재
빈스 과랄디 트리오, 애니메이션 <A Charlie Brown Christmas> 사운드트랙 (1965)
러브, <Forever Changes> (1969)
프린스, <Purple Rain> (1984)
2012년 등재
사이먼 앤 가펑클, <Sounds of Silence> (1966)
오넷 콜먼, <The Shape of Jazz to Come> (1959)
핑크 플로이드, <The Dark Side of the Moon> (1973)
라몬즈, <Ramones> (1976)
비 지스 외, <Saturday Night Fever Soundtrack> (1977)
2013년 등재
아트 블래키, <A Night at Birdland> (1954)
린다 론스태드, <Heart Like a Wheel> (1974)
뮤지컬 <스위니 토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79)
U2, <The Joshua Tree> (1987)
2014년 등재
조안 바에즈, <Joan Baez> (1960)
도어즈, <The Doors> (1967)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Stand!> (1969)
라디오헤드, <OK Computer> (1997)
로린 힐,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1998)
2015년 등재
조지 칼린, <Class Clown> (1972)
존 콜트레인, <A Love Supreme> (1964)
산타나, <Abraxas> (1970)
메탈리카, <Master of Puppets> (1986)
2016년 등재
소니 롤린스, <Saxophone Colossus> (1956)
마티 로빈스, <Gunfighter Ballads and Trail Songs> (1959)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People> (1964)
데이비드 보위,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1972)
이글스, <Their Greatest Hits (1971–1975)> (1976)
토킹 헤즈, <Remain in Light> (1980)
N.W.A, <Straight Outta Compton> (1988)
2017년 등재
해리 벨라폰테, <Calypso> (1956)
웨스 몽고메리, <The Incredible Jazz Guitar of Wes Montgomery> (1960)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사운드트랙 (1965)
스티브 라이히, 리처드 맥스필드, 폴린 올리베로스, <New Sounds in Electronic Music> (1967)
플리트우드 맥, <Rumours> (1977)
Run-D.M.C., <Raising Hell> (1986)
2018년 등재
덱스터 고든, <GO> (1962)
뮤지컬 <헤어>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68)
커티스 메이필드, <Superfly> (1972)
신디 로퍼, <She's So Unusual> (1983)
<Schoolhouse Rock!: The Box Set> (1996)
JAY-Z, <The Blueprint> (2001)
2019년 등재
더스티 스프링필드, <Dusty in Memphis> (1969)
칩 트릭, <Cheap Trick at Budokan> (1978)
티나 터너, <Private Dancer> (1984)
셀레나, <Ven Conmigo> (1962)
닥터 드레, <The Chronic> (1992)

2020년대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그래미 명예의 전당 헌액작
파일:Grammy.svg
[ 펼치기 · 접기 ]

작품명@작품명@
종류@종류@
아티스트@아티스트@
헌액 연도1999년







||
[ 펼치기 · 접기 ]

미국의 주간지 타임에서 2006년 "대중 음악 역사상 최고의 앨범 100선 (All-TIME 100 Albums)"을 발표했고, 순위 없이 연대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In the Wee Small Hours
프랭크 시나트라
Songs for Swingin' Lovers!
프랭크 시나트라
Here's Little Richard
리틀 리처드
Kind of Blue
마일스 데이비스
King of the Delta Blues Singers
로버트 존슨
〈Modern Sounds in Country and Western Music〉
레이 찰스
Live At The Apollo
제임스 브라운
A Love Supreme
존 콜트레인
Highway 61 Revisited
밥 딜런
Otis Blue/Otis Redding Sings Soul
오티스 레딩
Rubber Soul
비틀즈
Pet Sounds
비치 보이스
Blonde on Blonde
밥 딜런
Revolver
비틀즈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아레사 프랭클린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벨벳 언더그라운드 & 니코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즈
Are You Experienced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Lady Soul
아레사 프랭클린
At Folsom Prison
조니 캐시
The Beatles
비틀즈
Astral Weeks
밴 모리슨
〈Stand!〉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The Band
더 밴드
Abbey Road
비틀즈
Bitches Brew
마일스 데이비스
Moondance
밴 모리슨
Bridge Over Troubled Water
사이먼 앤 가펑클
After the Gold Rush
닐 영
Paranoid
블랙 사바스
John Lennon/Plastic Ono Band
존 레논
Tapestry
캐롤 킹
Sticky Fingers
롤링 스톤스
What's Going On
마빈 게이
Blue
조니 미첼
Who's Next
더 후
Coat of Many Colors
돌리 파튼
Led Zeppelin IV
레드 제플린
Hunky Dory
데이비드 보위
Exile on Main St.
롤링 스톤스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데이비드 보위
The Harder They Come
지미 클리프
Talking Book
스티비 원더
〈Call Me〉
알 그린
Goodbye Yellow Brick Road
엘튼 존
〈Red Headed Stranger〉
윌리 넬슨
Born to Run
브루스 스프링스틴
Horses
패티 스미스
Ramones
라몬즈
Songs in the Key of Life
스티비 원더
Hotel California
이글스
Rumours
플리트우드 맥
Never Mind the Bollocks, Here's the Sex Pistols
섹스 피스톨즈
〈One Nation Under a Groove〉
펑카델릭
London Calling
더 클래시
Back in Black
AC/DC
Thriller
마이클 잭슨
The Great Twenty-Eight
척 베리
Legend
밥 말리
Purple Rain
프린스
Stop Making Sense
토킹 헤즈
Master of Puppets
메탈리카
Raising Hell
Run-D.M.C.
Graceland
폴 사이먼
The Joshua Tree
U2
Sign 'O' the Times
프린스
Paid in Full
에릭 B. & 라킴
Document
R.E.M.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
퍼블릭 에너미
Straight Outta Compton
N.W.A
Like A Prayer
마돈나
The Stone Roses
스톤 로지스
Paul's Boutique
비스티 보이즈
Out of Time
R.E.M.
〈Star Time〉
제임스 브라운
Ropin' the Wind
가스 브룩스
Nevermind
너바나
The Low End Theory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
〈Back to Mono (1958–1969)〉
필 스펙터
Achtung Baby
U2
Slanted and Enchanted
페이브먼트
The Chronic
닥터 드레
Live Through This
Ready to Die
노토리어스 B.I.G.
My Life
메리 제이 블라이즈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오아시스
Endtroducing.....
DJ Shadow
OK Computer
라디오헤드
Time Out of Mind
밥 딜런
Car Wheels on a Gravel Road
루신다 윌리엄스
〈Sunrise〉
엘비스 프레슬리
The Marshall Mathers LP
에미넴
Kid A
라디오헤드
Stories from the City, Stories from the Sea
PJ 하비
Stankonia
아웃캐스트
〈The Anthology: 1947–1972〉
머디 워터스
〈ELV1S: 30 No. 1 Hits〉
엘비스 프레슬리
Portrait of a Legend 1951–1964
샘 쿡
The College Dropout
카니예 웨스트
〈Turn Back the Years〉
행크 윌리엄스
출처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35위
2012년}}}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12년 35위
2020년 40위
@연도3@년 @순위3@위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VH1 선정 100대 앨범
48위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19위









파일:sonemic.pngRate Your Music 1972 앨범 차트
1위



파일:sonemic.pngRate Your Music 전체 앨범 차트
11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000,#fff 11위
1998년}}}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1998년 11위
2000년 27위
@연도3@년 @순위3@위









파일:003002000004.jpg
배철수의 음악캠프 선정
100 대 음반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파일:Ziggy Stardust.jpg
발매일1972년 6월 16일
녹음일1971년 7월 9일, 11월 8일, 11일 - 12일, 15일
1972년 2월 4일
장르글램 록, 팝 록
재생 시간38:29
곡 수11곡
프로듀서데이비드 보위
켄 스콧
스튜디오트라이던드 스튜디오
레이블파일:RCA 레코드 로고.svg
발매된 싱글
[ 펼치기 · 접기 ]
"Starman" / "Suffragette City"
발매: 1972년 4월 28일
"Rock 'n' Roll Suicide"
발매: 1974년 4월 11일




1. 개요[편집]


1972년 6월 16일 영국의 글램 록 아티스트 데이비드 보위가 발매한 정규 5집이자 컨셉트 앨범. 대체로 줄여서 '지기 스타더스트(Ziggy Stardust)'라고 부른다.

제목을 해석하면 화성에서 온 지기 스타더스트와 거미들의 흥망성쇠.[1]

2. 배경[편집]


The Man Who Sold the World, Hunky Dory 등의 음반으로 어느 정도 이름을 알렸지만 그의 진보적인 음악이 흥행에서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2] 보위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당시에 인기있었던 글램 록을 이용했다. 번쩍거리는 의상, 튀는 분장, 퇴폐적인 가사와 같이 전형적으로 평가될 수 있던 글램 록에 그는 유년기부터 들어왔던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섞어 1972년 6월 6일 앨범을 발매한다.


3. 지기 스타더스트[편집]


독특하게도 컨셉트 앨범의 구조를 취한 본 앨범에서는 화성에서 온 '지기 스타더스트'라는 외계인을 주인공으로 삼는다. 팬들의 해석으론 '우주인인 지기는 지구에서 락스타가 되었지만, 5년 후 지구가 멸망할 것을 알게 되며 자신이 사랑하는 지구를 구하기 위해 나타나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지만, 자신의 자만심에 빠져 고통받는다.'는 대략의 플롯이 있다.[3]

공연 영상 등을 보면 알겠지만 지기 스타더스트는 보위가 보여준 자신의 첫 번째 페르소나이자 가장 유명한 보위의 캐릭터이기도 하다. 빈스 테일러라는 몰락한 스타와 이기 팝에게서 컨셉에 영감을 얻었다. 추가로, 보위의 세션 밴드에게는 '화성에서 온 거미들(Spiders from Mars)'이라는 호칭을 붙여줘서 같이 공연을 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지기 스타더스트(캐릭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편집]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Album Guide
★★★★★










전작인 Hunky Dory의 흥행이 다소 부진했던 것과는 달리 UK 앨범 차트 5위, 빌보드 75위를 기록하면서 상업적으로도 흥행하였다. 하지만 본 앨범의 상업적인 흥행보다도 더 큰 의의가 있다. 지기 스타더스트 앨범은 글램 록이 최전성기를 상징하고,[4] 더불어 보위가 선보였던 퇴폐적이고 양성적인 이미지(물론 이전의 글램 록 뮤지션, 특히 마크 볼란 등이 여러번 선보이긴 했지만)는 후에 자신의 독창적인 세계관을 구축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페르소나'라는 것이 음악에 추가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선구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 앨범의 훌륭한 점은 해석이 갈리는 난해한 내용을 담고, 매우 퇴폐적으로 보일 가능성이 있는 콘셉트를 사용함에도 대중음악으로의 가능성을 놓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느슨한 콘셉트 앨범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해도 각 싱글의 완성도는 매우 높기 때문에 거부감이 없다. 그러나 보위의 외계인 퍼포먼스도 음악적 성과에 걸림돌이 된 것이 아니었고 앨범을 웅장하고 포괄적인 방식으로 바꿨다. 보위는 이 앨범에서 다양한 요소와 시도를 여기저기 넣었고 결과적으로는 낯설지만 매우 매력적인 로큰롤을 탄생시켰다.

비단 지기 스타더스트 앨범이 음악계에 끼친 영향도 크지만, 보위 역시 이 앨범의 히트가 후에 큰 밑거름이 된다. 후속작인 Aladdin Sane에서도 보위는 지기 스타더스트 컨셉을 이어가면서 자신의 커리어를 성공적으로 이어나가기 시작하고, 후에 나오는 Thin White Duke 페르소나를 과감하게 선보이면서 70년대 록 역사에 한 획을 긋게 되었는데, 그 시작이 바로 이 앨범이었다. 비록 후의 앨범 중에서 음악적으로는 더 뛰어난 앨범들이 있을 지 몰라도, 그 앨범들을 뛰어넘고 지기 스타더스트가 가장 위대한 앨범으로 칭송받는 이유가 여기 있다.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역대 40위, Q매거진 선정 역대 24위 앨범, 타임지 선정 100대 명반으로 선정되었으며, 올뮤직, 롤링스톤, Q매거진, 피치포크미디어 리뷰 만점을 받았다.

5. 트랙 리스트[편집]


||
[ 펼치기 · 접기 ]

Side A
트랙곡명길이
1Five Years4:44
2Soul Love3:33
3Moonage Daydream4:37
4Starman4:13
5It Ain't Easy3:00
Side B
트랙곡명길이
1Lady Stardust3:20
2Star2:50
3Hang On to Yourself2:40
4Ziggy Stardust3:13
5Suffragette City3:25
6Rock 'n' Roll Suicide3:00




5.1. Side A[편집]



5.1.1. Five Year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Five Years#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5년 후 지구가 멸망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곡.


5.1.2. Soul Lov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Soul Love#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세 인물이 각자 사랑을 다루는 방식을 묘사하는 곡이다.



5.1.3. Moonage Daydream[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Moonage Daydream#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4. Starma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Starman#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하늘에서 지기 스타더스트가 내려오는 것을 묘사 한 곡으로, 'Ziggy Stardust'와 함께 이 앨범에서 가장 유명한 곡이다.


5.1.5. It Ain't Easy[편집]



  • 이 앨범에서 유일하게 데이비드 보위가 작곡한 곡이 아니다. 작곡을 한 사람은 미국의 뮤지션 론 데이비스.

5.2. Side B[편집]



5.2.1. Lady Stardust[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Lady Stardust#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티렉스의 마크 볼란을 떠올리면서 만든 곡.


5.2.2. Star[편집]





Star

Tony went to fight in Belfast
Rudi stayed at home to starve
I could make it all worthwhile
As a rock and roll star
Bevan tried to change the nation
Sonny wants to turn the world, well he can tell you that he tried
I could make a transformation as a rock and roll star
So inviting, so enticing to play the part
I could play the wild mutation
As a rock and roll star
Get it on yeah
(Ooh yeah)
I could do with the money (you know that I)
I'm so wiped out with things as they are (you know that I)
I'd send my photograph to my honey
And I'd come on like a regular superstar
I could make a transformation
As a rock and roll star
So inviting, so enticing to play the part
I could play the wild mutation
As a rock and roll star, get it on yeah
I could do with the money (you know that I)
I'm so wiped out with things as they are (you know that I)
I'd send my photograph to my honey
And I'd come on like a regular superstar
I could fall asleep at night
As a rock and roll star
I could fall in love all right
As a rock and roll star
Rock and roll star
Rock and roll star
(Just watch me now)

파일:bowie_logo.png


5.2.3. Hang On to Yourself[편집]





Hang on to Yourself

Oh, she's a tongue twisting storm
Comes to the show tonight
Praying to the light machine
She wants my honey not my money
She's a funky-thigh collector
Laying on the 'lectric dream
Come on, come on
We really got a good thing going
Come on, come on
If you think we're gonna make it
You better hang on to yourself
We can't dance, we don't talk much, we just ball and play
Then we move like tigers on Vaseline
Well, the bitter comes out better on a stolen guitar
You're the blessed, we're the Spiders From Mars
Come on, come on
We really got a good thing going
Come on, come on
If you think we're gonna make it
You better hang on to yourself
C'mon
Come on, come on
Really got a good thing going
Come on, come on
If you think we're gonna make it
You better hang on to yourself
Come on, come on
We really got a good thing going
Come on, come on
If you think we're gonna make it
You better hang on to yourself

파일:bowie_logo.png


5.2.4. Ziggy Stardust[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Ziggy Stardust(노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지기 스타더스트의 성공과 몰락을 묘사한 곡으로, 'Starman'과 함께 이 앨범에서 가장 유명한 곡이다.


5.2.5. Suffragette City[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Suffragette City#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록밴드 모트 더 후플에게 이 곡을 줬다가 퇴짜맞은 적이 있다.[5] 대신 만들어준 곡이 그 유명한 All The Young Dudes.


5.2.6. Rock 'n' Roll Suicid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Rock 'n' Roll Suicide#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참여자[편집]


  • 데이비드 보위 - 보컬, 어쿠스틱 기타, 색소폰
  • 믹 론슨 - 일렉트릭 기타, 백 보컬, 피아노, 오르간, 신디사이저
  • 트레버 볼더 - 베이스, 트럼펫
  • 믹 우드맨시 - 드럼
  • 릭 웨이크먼 - 하프시코드
  • 다나 길레스피 - 백 보컬


7. 여담[편집]


  • 앨범 커버 속 간판에 K. West라고 쓰여져있어서 카니예 웨스트가 연상된다는 반응이 많다. 카니예는 이 앨범이 발매된 지 5년 후인 1977년에 태어났다.


[1] 문장구조와 컨셉 캐릭터를 살려서 번역한다면 화성에서 온 거미들과 지기 스타더스트의 흥망성쇠가 더 알맞다. 다만 이렇게 하면 지기 스타더스트가 보조적으로 읽힐 수 있는게 문제.[2] Hunky Dory의 최고 차트 순위는 3위이긴 한데 이건 지기 스타더스트 발매 이후 반사효과로 인해 얻은 결과.[3] 아니면'사람들은 5년 후 지구가 멸망할 것을 알게 되며 공황에 빠지지만, 우주인인 지기가 나타나 '스타맨' 이라는 존재가 지구를 도와줄거라 말한다. 이후에 지기는 성공한 락스타가 되지만, 결국 자만심에 빠져 아이들에게 죽임을 당하고 사람들에게 잊혀진다.'라는 해석도 존재한다.[4] 글램 록의 명반을 꼽으라고 하면 십중팔구 티렉스의 Electric Warrior와 이 앨범은 항상 선정된다.[5] 여담으로 퀸이 초창기 시절 이 밴드의 라이브 당시 오프닝 밴드를 맡은적이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13:41:52에 나무위키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