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BO 준플레이오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준플레이오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V-리그의 준플레이오프에 대한 내용은 V-리그 준플레이오프 문서
V-리그 준플레이오프번 문단을
V-리그 준플레이오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3년 10월 22일부터 10월 25일까지 진행된 KBO 준플레이오프에 대한 내용은 KBO 준플레이오프/2023년 문서
KBO 준플레이오프/2023년번 문단을
KBO 준플레이오프/2023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역대 전적
3. 참가 횟수
4. 역대 개최 구장
5. 개별 경기 기록
6. 기타 기록



1. 개요[편집]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KBO 포스트시즌 대진표
[ 펼치기 · 접기 ]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KBO 준플레이오프KBO 플레이오프KBO 한국시리즈
정규 시즌 1위팀
vs
KBO 플레이오프 승리팀
4선승제
정규 시즌 2위팀
vs
KBO 준플레이오프 승리팀
3선승제
정규 시즌 3위팀
vs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승리팀
3선승제
정규 시즌 4위팀
vs
정규 시즌 5위팀
2선승제 (4위팀 1승 어드밴티지)
※ 볼드체는 홈팀



프로 원년부터 전기리그와 후기리그로 나눠 진행되던 KBO 리그가 1989년부터 단일리그제로 전환되면서 포스트시즌 규정도 개편이 필요했는데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경기.

일명 8강전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제도가 생기기 전까지는 정규시즌 3위팀과 4위팀이 맞붙었고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이 생긴 뒤에는 결정전에서 승리한 팀과 정규시즌 3위팀이 플레이오프 진출을 가린다. 공식적인 약칭은 준PO이며 팬들은 '준플'이라는 약칭으로도 부른다. 2005년에 종전 2선승제에서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가, 2006년과 2007년에는 다시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가, 2008년부터 3선승제로 다시 진행되었다가 2020년 시즌은 코로나19로 인한 일정 문제로, 2021년 시즌은 2020 도쿄 올림픽 등의 이유로 예외적으로 2선승제로 치뤘다. 2022년부턴 다시 3선승제로 정상화되었다.

1993년~1998년까지는 3위팀과 4위팀의 승차가 3.5게임차 이상일 경우 준플레이오프를 치르지 않고 3위팀이 바로 플레이오프로 직행하는 규정이 있었다.# 1992시즌 준플레이오프에서 올라온 롯데가 우승하자 정규시즌 승률이 낮은 4위팀이 준플레이오프 1차전을 승리로 시작해 우승할 가능성도 제기되어 이러한 규정을 만들었다. 공교롭게도 이 규정이 신설된 이후 3위와 4위팀의 승차가 3게임 이상인 된 시즌은 1995시즌 단 한 해 뿐이었다.

과거 2선승제 시절에는 3위팀이 갖는 어드밴티지가 1차전 홈경기 개최권 외에는 딱히 없었다. 게다가 1989년 준PO 제도 탄생 이후 2009년까지 무려 18번의 준PO에서는 1차전 승리팀이 100%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전통이 있었다. 그 덕에 4위팀이 뜬금없이 1차전을 이기면 3위팀이 광탈하는 사례도 종종 발생했다. 후술한 대로 4위팀 혹은 와일드카드 결정전 승리팀이 3위팀을 꺾고 플레이오프에 올라간 비율이 47.8%라는 것이 그 증거. 2008년부터 준플레이오프가 5전3전승제로 바뀌었어도 3위팀에 대한 어드밴티지 논란은 여전했다. 그러나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제도가 생기면서 4위팀이 3위팀보다 최소 1경기를 더 치르고 올라오기 때문에 3위팀에게 어느 정도의 어드밴티지가 생긴 상황이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거쳐 올라온 팀이 3년 연속으로 3위팀을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가 2019년에 끊겼고, 2021년에 다시 업셋이 발생했다.

단, 순위는 준PO에서 하위 팀이 3위팀에 승리하더라도 플레이오프 패배 시 정규 시즌 그대로 간다. 즉, 정규시즌 3~5위팀이 순위를 끌어올리려면 최소한 한국시리즈에는 진출해야 한다는 얘기.

2. 역대 전적[편집]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KBO 준플레이오프 목록
[ 펼치기 · 접기 ]

준플레이오프 신설 이전 (1982~1988)198919901991
1992199319941995[1]1996199719981999[2]20002001
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2011
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
202220232024
[1] 당시 규정상 4위인 해태 타이거즈는 3위와 3.5게임차 이상 차이가 나서 포스트시즌에 참여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준플레이오프를 생략하고 롯데 자이언츠가 부전승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었다.
[2] 양대리그를 시행하였기 때문에 이전까지의 포스트시즌과 다르게 1999년 포스트 시즌은 드림 1위-매직 2위, 매직 1위-드림 2위가 각각 플레이오프를 갖고, 플레이오프의 승자끼리 한국시리즈를 치러 우승팀을 가리게끔 하였다.



연도승리팀감독전적승패 현황패배팀감독MVP
1989태평양김성근2승 1패OXO삼성정동진
1990삼성정동진2승OO빙그레김영덕
1991삼성김성근2승 1무 1패OX△O롯데강병철
1992롯데강병철2승OO삼성김성근
1993LG이광환2승 1패OXOOB윤동균
1994한화강병철2승OO해태김응용
1995미개최[1]
1996현대김재박2승OO한화강병철김인호
(현대 내야수)
1997삼성조창수[A]2승 1패OXO쌍방울김성근김상엽
(삼성 투수)
1998LG천보성2승OOOB김인식김재현
(LG 외야수)
1999미개최[2]
2000삼성김용희2승 1패OXO롯데김명성가르시아
(삼성 투수)
2001두산김인식2승OO한화이광환홍원기
(두산 내야수)
2002LG김성근2승OO현대김재박최동수
(LG 내야수)
2003SK조범현2승OO삼성김응용김원형
(SK 투수)
2004두산김경문2승OOKIA유남호[A]홍성흔
(두산 포수)
2005한화김인식3승 2패OXOXOSK조범현최영필
(한화 투수)
2006한화김인식2승 1패OXOKIA서정환고동진
(한화 외야수)
2007한화김인식2승 1패OXO삼성선동열류현진
(한화 투수)
2008삼성선동열3승OOO롯데로이스터진갑용
(삼성 포수)
2009두산김경문3승 1패XOOO롯데로이스터김동주
(두산 내야수)
2010두산김경문3승 2패XXOOO롯데로이스터용덕한
(두산 포수)
2011SK이만수[A]3승 1패XOOOKIA조범현정근우
(SK 내야수)
2012롯데양승호3승 1패OOXO두산김진욱정대현
(롯데 투수)
2013두산김진욱3승 2패XXOOO넥센염경엽최준석
(두산 내야수)
2014LG양상문3승 1패OOXONC김경문최경철
(LG 포수)
2015두산김태형3승 1패OOXO넥센염경엽이현승
(두산 투수)
2016LG양상문3승 1패OXOO넥센염경엽오지환
(LG 내야수)
2017NC김경문3승 2패OXOXO롯데조원우해커
(NC 투수)
2018넥센장정석3승 1패OOXO한화한용덕임병욱
(넥센 외야수)
2019키움장정석3승 1패OOXOLG류중일박병호
(키움 내야수)
2020두산김태형2승OOLG류중일오재원
(두산 내야수)
2021두산김태형2승 1패OXOLG류지현정수빈
(두산 외야수)
2022키움홍원기3승 2패OXOXOKT이강철안우진
(키움 투수)
2023NC강인권3승OOOSSG김원형김영규
(NC 투수)

3. 참가 횟수[편집]


구단승리패배승리 연도패배 연도
두산 베어스832001, 2004, 2009, 2010, 2013,
2015, 2020, 2021
1993, 1998, 2012
삼성 라이온즈541990, 1991, 1997, 2000, 20081989, 1992, 2003, 2007
LG 트윈스531993, 1998, 2002, 2014, 20162019, 2020, 2021
한화 이글스441994, 2005, 2006, 20071990, 1996, 2001, 2018
키움 히어로즈332018, 2019, 20222013, 2015, 2016
롯데 자이언츠261992, 20121991, 2000, 2008, 2009, 2010,
2017
SSG 랜더스222003, 20112005, 2023
현대 유니콘스211989, 19962002
NC 다이노스212017, 20232014
KIA 타이거즈04-1994, 2004, 2006, 2011
쌍방울 레이더스01-1997
kt wiz01-2022

  • 팀간 대결은 다음과 같다.
    • 4회: 삼성-롯데 (3:1), LG-두산 (2:2)
    • 3회: 두산-롯데 (2:1)
    • 2회: 한화-KIA, 두산-키움(2:0), 한화-삼성, LG-키움 (1:1)
    • 1회: 현대-삼성, 현대-한화, 삼성-쌍방울, 두산-한화, LG-현대, SSG-삼성, 두산-KIA, 한화-SSG, SSG-KIA, LG-NC, NC-롯데, 키움-한화, KT-키움, NC-SSG (1:0)

4. 역대 개최 구장[편집]


굵은 글씨는 시리즈 승리 확정 경기.
구장경기 수시리즈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311993 : 1차전, 2차전, 3차전
1998 : 1차전, 2차전
2000 : 3차전[3]
2001 : 1차전
2002 : 2차전
2004 : 1차전
2009 : 1차전, 2차전
2010 : 1차전, 2차전, 5차전
2012 : 1차전, 2차전
2013 : 3차전, 4차전
2014 : 3차전, 4차전
2015 : 1차전, 2차전
2016 : 3차전, 4차전
2019 : 3차전, 4차전
2020 : 1차전, 2차전
2021 : 1차전, 2차전, 3차전
사직 야구장131991 : 2차전
1992 : 1차전
2008 : 1차전, 2차전
2009 : 3차전, 4차전
2010 : 3차전, 4차전
2012 : 3차전, 4차전
2017 : 1차전, 2차전, 5차전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121990 : 1차전
1994 : 2차전
1996 : 1차전
2001 : 2차전
2005 : 4차전, 5차전
2006 : 1차전, 3차전
2007 : 1차전, 3차전
2018 : 1차전, 2차전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4]111989 : 2차전
1990 : 2차전
1991 : 1차전, 3차전, 4차전
1992 : 2차전
1997 : 2차전
2000 : 2차전
2003 : 1차전
2007 : 2차전
2008 : 3차전
고척 스카이돔92016 : 1차전, 2차전
2018 : 3차전, 4차전
2019 : 1차전, 2차전
2022 : 1차전, 2차전, 5차전
인천 SSG 랜더스필드82003 : 2차전
2005 : 1차전, 2차전, 3차전
2011 : 1차전, 2차전
2023 : 1차전, 2차전
무등 야구장[5]51994 : 1차전
2004 : 2차전
2006 : 2차전
2011 : 3차전, 4차전
목동 야구장[6]52013 : 1차전, 2차전, 5차전
2015 : 3차전, 4차전
마산 야구장[7]52000 : 1차전[8]
2014 : 1차전, 2차전
2017 : 3차전, 4차전
숭의 야구장[9]31989 : 1차전, 3차전
1996 : 2차전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32002 : 1차전[10]
2022 : 3차전, 4차전
전주종합운동장 야구장[11]21997 : 1차전, 3차전
창원 NC 파크12023 : 3차전

5. 개별 경기 기록[편집]


  • 2023년까지의 기록
팀명전적승률
두산 베어스36전 22승 14패0.611
LG 트윈스24전 14승 10패0.583
키움 히어로즈26전 13승 13패0.500
삼성 라이온즈25전 13승 1무 11패0.520
롯데 자이언츠30전 12승 1무 17패0.414
한화 이글스23전 10승 13패0.435
SSG 랜더스14전 7승 7패0.500
NC 다이노스12전 7승 5패0.583
KIA 타이거즈11전 2승 9패0.182
현대 유니콘스7전 4승 3패0.571
kt wiz5전 2승 3패0.400
쌍방울 레이더스3전 1승 2패0.333

6. 기타 기록[편집]


기록연도
최초 PO진출1989태평양 돌핀스
최초 탈락삼성 라이온즈
최초 업셋1990삼성 라이온즈
최초 피업셋빙그레 이글스
최초 KS 진출1990삼성 라이온즈[12]
최초 KS 우승1992롯데 자이언츠
업셋팀 최초 KS 우승--

  • 2023년까지 33번의 준플레이오프 중, 공동 3위가 두팀이었던 1994년과 양대리그였던 2000년을 제외하고 31번 동안 3위팀이 15번(48.4%), 4위팀이 16번(51.6%) 시리즈를 가져갔다.[13] 즉 3, 4위팀의 승률은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준플을 통과한 3위 팀이 플레이오프까지 마저 승리하고 한국시리즈까지 올라간 비율은 45%(=5/11)[14], 4위팀은 45%(=5/11)로 역시 절반에 가깝다.
준플을 승리한 4위팀이 한국시리즈까지 우승한 사례는 없고[15], 준플을 승리한 3위팀이 한국시리즈까지 우승한 사례는 3번 있었다. 1992년 롯데가 플레이오프에서 해태를 3승2패, 한국시리즈에서 빙그레를 4승1패로 이기고 우승했다. 2001년 두산이 플레이오프에서 현대를 3승1패, 한국시리즈에서 삼성을 4승 2패로 이기고 우승했다. 2015년에도 두산이 플레이오프에서 NC를 3승2패, 한국시리즈에서 삼성을 4승1패로 이기고 우승하였다.

  • 3전 2선승제로 치러진 준플레이오프에서는 18번 모두 1차전 승리팀이 시리즈를 승리했다. 하지만 5전 3선승제로 바뀌고 나서는 1차전 승리팀이 시리즈를 승리한 비율은 오히려 절반이 안 되다가 2015년에 절반을 넘게 되었다. 5전 3선승제 이후 리버스 스윕도 두 번 나왔는데, 두 번 모두 두산 베어스가 만들어낸 것도 진기록.(2010년 두산 VS 롯데 두산 승, 2013년 두산 VS 넥센 두산 승)



[1] 3, 4위 간의 승차 3.5게임 차 이상[A] A B C 감독대행.[2] 양대리그제 실시[3] 삼성과 롯데의 중립구장 경기였다.[4] 삼성 라이온즈가 2016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로 홈구장을 이전하여 현재는 이 곳에서 경기가 개최되지 않는다.[5] KIA 타이거즈가 2014년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로 홈구장을 이전하여 현재는 이 곳에서 경기가 개최되지 않는다.[6] 넥센 히어로즈(현, 키움 히어로즈)가 2016년 고척 스카이돔으로 홈구장을 이전하여 현재는 이 곳에서 경기가 개최되지 않는다.[7] NC 다이노스가 2019년 창원 NC 파크로 홈구장을 이전하여 현재는 이 곳에서 경기가 개최되지 않는다.[8] 원래 롯데의 홈구장인 사직 야구장에서 열려야 될 경기였으나, 시설 문제로 제2 홈구장인 마산 야구장에서 열리게 되었다.[9] 2008년 폐장되었다.[10] 현대 유니콘스의 임시 홈구장이던 시절의 기록이다.[11] 쌍방울 레이더스가 2000년 해체되어 현재는 이 곳에서 경기가 개최되지 않는다.[12] 4위팀. 3위팀으로는 1992년 롯데가 최초.[13] 엄밀하게는 2015년 이후 와일드카드 결정전이 생겨서 준플레이오프에서 3,4위팀이 아닌 3,5위팀이 대결할 수도 있지만 아직 그런 사례는 단 한 번도 없었다.[14] 2014년까지 기록[15] 2013년 두산이 가장 근접했는데 삼성을 상대로 3승1패에서 내리 3연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