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방신기

덤프버전 :



파일:동방신기 로고 화이트.svg

[ 한국 음반 ]
파일:허그임돠.jpg
파일:더웨이유아임돠.jpg
파일:2004tri-angle.jpg
파일:동방신기캐롤임돠.jpg
Hug
싱글 1집

2004. 01. 14.
The Way U Are
싱글 2집

2004. 06. 23.
TRI-ANGLE
정규 1집

2004. 10. 11.
The Christmas Gift
from 東方神起

캐롤

2004. 12. 06.
파일:하이야야여름날임돠.jpg
파일:라이징선임돠.jpg
파일:오정반합임돠.jpg
파일:풍선임돠.jpg
Hi Ya Ya 여름날
여름 싱글

2005. 06. 23.
Rising Sun
정규 2집

2005. 09. 12.
"O"-正.反.合.
정규 3집

2006. 09. 29.
풍선 (Balloons)
정규 3집 리패키지

2006. 11. 13.
파일:미로틱임돠.jpg
파일:미로틱스페셜에디션임돠.jpg
파일:동방신기왜음원아트.jpg
파일:동방신기이것만은알고가.jpg
MIROTIC
정규 4집

2008. 09. 26.
MIROTIC
(SPECIAL EDITION)

정규 4집 리패키지

2008. 11. 12.
왜 (Keep Your Head Down)
정규 5집

2011. 01. 05.
이것만은 알고 가
(Before U Go)

정규 5집 리패키지

2011. 03. 14.
파일:동방신기캐치미음원.jpg
파일:동방신기humanoids.jpg
파일:동방신기텐스음원.jpg
파일:동방신기수리수리.jpg
Catch Me
정규 6집

2012. 09. 24.
Humanoids
정규 6집 리패키지

2012. 11. 26.
TENSE
정규 7집

2014. 01. 06.
정규 7집 리패키지

2014. 02. 27.
파일:동방신기riseasgod음원.jpg
파일:동방신기운명음원아트.jpg
파일:동방신기Truth음원아트.jpg
파일:20&2 Album Cover.jpg
RISE AS GOD
스페셜

2015. 07. 20.
New Chapter Series
20&2
정규 9집

2023. 12. 26.
New Chapter \#1:
The Chance of Love

정규 8집

2018. 03. 28.
New Chapter \#2:
The Truth of Love

스페셜

2018. 12. 26.
[ 일본 음반 ]
파일:external/3.bp.blogspot.com/heart-mind-and-soul.jpg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345260.jpg
파일:T_CD.jpg
파일:동방신기시크릿코드2CD.jpg
Heart, Mind and Soul
정규 1집

2006. 03. 23.
Five in the Black
정규 2집

2007. 03. 14.
T
정규 3집

2008. 01. 23.
The Secret Code
정규 4집

2009. 03. 25.
파일:attachment/BEST SELECTION 2010/2cddvd.jpg
파일:external/www.waratomo.com/AVCK79039_JK_1.jpg
파일:attachment/TIME(앨범)/timec.jpg
파일:attachment/TREE(앨범)/treea.jpg
BEST SELECTION 2010
컴필레이션

2010. 02. 17.
TONE
정규 5집

2011. 09. 28.
TIME
정규 6집

2013. 03. 06.
TREE
정규 7집

2014. 03. 05.
파일:tvxqwithc.jpg
파일:동방신기twoofus자켓.jpg
파일:beginagaincd.jpg
파일:동방신기투모로우cd.jpg
WITH
정규 8집

2014. 12. 17.
Two of Us
리믹스 앨범

2016. 10. 05.
Begin Again
컴필레이션

2017. 10. 25.
정규 9집

2018. 09. 19.
파일:동방신기xvcd.png
파일:동방신기epitaph통상.jpg
XV
정규 10집

2019. 10. 16.
Epitaph
미니 1집

2022. 03. 16.
[ 2005년 - 2010년 ]

파일:attachment/HUG/hug.jpg
파일:2004tri-angle.jpg
파일:동방신기swmtcd.jpg
파일:attachment/Somebody to Love/slcddvd.jpg
Hug
인터내셔널 싱글

2004. 11. 25.
TRI-ANGLE
일본 라이센스판

2004. 11. 25.
Stay With Me Tonight
싱글 1집

2005. 04. 27.
Somebody To Love
싱글 2집

2005. 07. 13.
파일:mdcddvd.jpg
파일:23812-andltahrefhttpwwwjpo-02d3.jpg
파일:23813-andltahrefhttpwwwjpo-qve9.jpg
파일:Begin.jpg
My Destiny
싱글 3집

2005. 11. 02.
明日は来るから
싱글 4집

2006. 03. 08.
Rising Sun / Heart, Mind and Soul
싱글 5집

2006. 04. 19.
Begin
싱글 6집

2006. 06. 21.
파일:동방신기skycd.jpg
파일:23816-andltahrefhttpwwwjpo-9f1t.jpg
파일:146694_3_f.jpg
파일:attachment/Choosey Lover/clcd.png
Sky
싱글 7집

2006. 08. 16.
miss you / “O”-正・反・合
싱글 8집

2006. 11. 08.
Step by Step
싱글 9집

2007. 01. 24.
Choosey Lover
싱글 10집

2007. 03. 07.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348881.jpg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351275.jpg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353495.jpg
파일:Forever_Love_CD.jpg
Lovin' you
싱글 11집

2007. 06. 13.
SUMMER
싱글 12집

2007. 08. 01.
SHINE / Ride on
싱글 13집

2007. 09. 19.
Forever Love
싱글 14집

2007. 11. 14.
파일:Together_CD.jpg
파일:Purple Line.jpg
파일:동방신기twohearts.jpg
파일:동방신기runaway.jpg
Together
싱글 15집

2007. 12. 19.
Purple Line
싱글 16집

2008. 01. 16.
Two hearts / WILD SOUL
싱글 17집
TRICK

2008. 02. 06.
Runaway / My Girlfriend
싱글 18집
TRICK

2008. 02. 13.
파일:동방신기if.jpg
파일:동방신기closetoyou.jpg
파일:동방신기keyword.jpg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363510.jpg
If...!? / Rainy Night
싱글 19집
TRICK

2008. 02. 27.
Close to You / Crazy Life
싱글 20집
TRICK

2008. 03. 05.
Keyword / Maze
싱글 21집
TRICK

2008. 03. 12.
Beautiful you / 千年恋歌
싱글 22집

2008. 04. 23.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365438.jpg
파일:attachment/주문 -MIROTIC-/miroticcd.jpg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372811.jpg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374642.jpg
싱글 23집

2008. 07. 16.
呪文
-MIROTIC-

싱글 24집

2008. 10. 15.
Bolero / Kiss The Baby Sky / 忘れないで
싱글 25집

2009. 01. 21.
Survivor
싱글 26집

2009. 03. 11.
파일:attachment/Share The World/stwcd.jpg
파일:sbucd.jpg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388990.jpg
파일:토키오토메테1.jpg
Share The World
싱글 27집

2009. 04. 22.
Stand by U
싱글 28집

2009. 07. 01.
BREAK OUT!
싱글 29집

2010. 01. 27.
時ヲ止メテ
싱글 30집

2010. 03. 24.

[ 2011년 - 2023년 ]

파일:동방신기whycddvd.jpg
파일:attachment/Superstar/superstarcd.jpg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420163.jpg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423708.jpg
Why? (Keep Your Head Down)
싱글 31집

2011. 01. 26.
Superstar
싱글 32집

2011. 07. 20.
WINTER
싱글 33집

2011. 11. 30.
STILL
싱글 34집

2012. 03. 14.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2427475.jpg
파일:attachment/Catch Me -If you wanna-/catchmedvd.jpg
파일:attachment/OCEAN/oceancd.jpg
파일:external/1.bp.blogspot.com/2.jpg
ANDROID
싱글 35집

2012. 07. 11.
Catch Me -If you wanna-
싱글 36집

2013. 01. 16.
OCEAN
싱글 37집

2013. 06. 12.
SCREAM
싱글 38집

2013. 09. 04.
파일:external/3.bp.blogspot.com/cd.jpg
파일:tohoshinki--hideandseek.jpg
파일:attachment/Sweat/sweatcd.jpg
파일:attachment/Time Works Wonders/twwcddvd.jpg
Very Merry Xmas
싱글 39집

2013. 11. 27.
Hide & Seek / Something
싱글 40집

2014. 02. 05.
Sweat / Answer
싱글 41집

2014. 06. 11.
Time Works Wonders
싱글 42집

2014. 11. 05.
파일:attachment/벚꽃길/smcddvd.jpg
파일:tvxqrebootcd.jpg
파일:roadcd스마프라.jpg
파일:tvxqjealouscd.jpg
サクラミチ
싱글 43집

2015. 02. 25.
Reboot
싱글 44집

2017. 12. 20.
Road
싱글 45집

2018. 07. 25.
Jealous
싱글 46집

2018. 11. 21.
파일:동방신기hhh2.jpg
파일:동방신기마나자시1.jpg
파일:동방신기smalltalk.jpg
파일:동방신기utsuroicd.jpg
Hot Hot Hot / ミラーズ
싱글 47집

2019. 07. 31.
まなざし
싱글 48집

2020. 01. 22.
Small Talk
디지털 싱글

2020. 11. 27.
UTSUROI
싱글 49집

2022. 08. 17.
파일:PARALLEL PARALLEL.jpg
파일:Lime & Lemon.jpg
PARALLEL PARALLEL
싱글 50집

2023. 02. 01.
Lime & Lemon
싱글 51집

2023. 06. 28.

[ 기타 음반 ]
싱글
파일:Show Me Your Love.jpg
파일:동방의 투혼 앨범커버.jpg
파일:TVXQ! WEEK - SM STATION.jpg
Show Me Your Love
겨울 싱글

2005. 12. 15.
동방의 투혼
2006 월드컵 공식 이미지송

2006. 06. 02.
TVXQ! WEEK
SM STATION

2017. 09. 25/28.
[ 중국 음반 ]

파일:attachment/HUG/hug.jpg
파일:Tri-Angle China.jpg
파일:Rising Sun China.jpg
파일:오정반합비버전.jpg
파일:동방신기미로틱D버전.jpg
Hug
인터내셔널 싱글

2004. 11. 25.
TRI-ANGLE
정규 1집

2005. 01. 18.
Rising Sun
정규 2집

2005. 11. 30.
"O"-正.反.合.
정규 3집

2006. 09. 29.
MIROTIC
정규 4집

2008. 12. 10.

[ 참여 음반 ]

파일:2004 Summer Vacation In Smtowm.com.jpg
파일:'06 SUMMER SMTOWN.jpg
파일:06 Winter Smtown.jpg
파일:2007 Summer Smtown.jpg
2004 Summer Vacation in
SMTOWN.com
SMTOWN 앨범

2004. 06. 29.
'06 SUMMER SMTOWN
SMTOWN 앨범

2006. 06. 20.
2006 Winter SMTown - Snow Dream
SMTOWN 앨범

2006. 12. 12.
2007 Summer SMTOWN
SMTOWN 앨범

2007. 07. 05.
파일:2007 Winter SMTOWN.jpg
파일:2009 Summer SMTOWN (동방신기).jpg
파일:2011 SMTOWN Winter.jpg
파일:I AM. OST.jpg
2007 Winter SMTOWN
SMTOWN 앨범

2007. 12. 07.
09 Summer SMTOWN
SMTOWN 앨범

2009. 08. 14.
2011 SMTOWN Winter
'The Warmest Gift
'

SMTOWN 앨범

2011. 12. 13
I AM. OST
OST

2012. 04. 24.
파일:2021 Winter SMTOWN : SMCU EXPRESS.jpg
2021 Winter SMTOWN : SMCU EXPRESS
SMTOWN 앨범

2021. 12. 27.





파일:동방신기 로고 화이트.svg
동방신기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svg
[ 소속 아티스트 ]



파일:에이벡스 그룹 심볼.svg
[ 소속 아티스트 ]

AVEX MANAGEMENT
ARTIST
[[안자이 카렌|{{{#000,#e5e5e5
안자이 카렌 }}}]]
이시바시 히이로lol -エルオーエル-
오사와 신이치오오츠카 아이
오모리 야스코카지 히토미카르마
KO-TAkolme코다 쿠미
고다이 나츠코사이토 마코토SEAMO
GENIC스즈키 아미
SOLIDEMO타카기 리요코
Da-iCETRF도쿄죠시류
도쿄푸딩AAADo As Infinity
하마사키 아유미BACK-ONMotsu
hitomi피코타로FAKY
FEMM마코미나mihimaru GT
Miyuumotsu
Yup'in와스타우라타 나오야
니시다 히라리이토 치아키
TALENT
미코토네이토 요스케오오하라 유노
쿠라타 루카고토 마키스에타카 토무
시부야 아키스미타니 안나세키네 유우나
타치바나 유리카데구치 아리사마사모토 레일라
마루타카 마나미
MODEL
아키야마 레이에노사와 마나미오오이시 미츠키
카논키라리코무로 아미
사카타 히데아키Sakura KirschTaiki & Noah
Niki니시카와 미즈키
누쿠미 메루(메루루)
후쿠야마 아이미후루타 아이리
ACTOR/ACTRESS
[[아오노 사호|{{{#000,#e5e5e5
아오노 사호}}}]]
아사카와 나나이이토요 마리에
이케야마 치아키오우지 사키오오조라 유우히
오오하다 시에리오가타 호나미오자키 히토시
카마타니 유우헤카와에이 리나키타 케이스케
쿠보타 히데토시쿠리타 모모카쿠와하타 쿄우세
코우세카 쥬리콘도 렌사쿠마 노아
사와지리 에리카쥬하마 하루미스나가와 슈야
타카이시 아카리타카노 아키라타카하시 카린
타케시 나오키타치하나 레나츠보네 유우토
나카사키 에리나나카무라 시도나가에 료키
하마 쇼고히비 미코토히라타 리에
후쿠다 메이마시코 아츠키마시코 슈토
마시무라 유우미야자키 리나모리오카 유우
야마야 카스미
AVEX ASUNARO Company
스가하라 리코오오타 나오오카다 나나
코다마 하루카
AVEX PICTURES
안자이 치카야스노 키요노타카라기 쿠미
토쿠이 소라smileY inc.
세리자와 유우Tia하타노 와타루
유타쿠IIRun Girls, Run!D-selections
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svg
강타보아
SUPER JUNIOREXORed Velvet
NCTaespaRIIZE
파일:YGEX 로고 화이트.svg
BIGBANGBLACKPINKWINNER
TREASURESECHSKIES




동방신기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다음 로고.svg

2005 DAUM MUSIC K-POP AWARDS
2005년 최고의 가수 부문상2005년 최고의 노래 부문상
동방신기김종국 - 《제자리 걸음

파일:2005_멜론 뮤직 어워드.jpg
올해의 아티스트상[1]

동방신기[2]
(2005년)
신화
(2006년)

파일:SBS 로고.svg 가요대전 대상
김종국
제자리 걸음
(2005년)
동방신기
"O"-正.反.合.
(2006년)
시상식 폐지
축제로 전환

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
음반 대상
SG워너비
<죄와 벌>
(2005년)
동방신기
<"O"-正.反.合.>
(2006년)
SG워너비
<아리랑>
(2007년)
SG워너비
<아리랑>
(2007년)
동방신기
<주문-MIROTIC>
(2008년)
슈퍼주니어
<Sorry, Sorry>
(2009년)

파일:seoulmusicawards2.png
서울가요대상 대상
신화
<Brand New>
(2004년)[3]
동방신기
<"O"-正.反.合.>
(2006년)
빅뱅
<마지막 인사>
(2007년)

파일:엠넷 로고.svg KM 뮤직 페스티벌[4][5]
올해의 가수상
동방신기
(2006년)
슈퍼주니어
(2007년)

파일:엠넷 로고.svg KM 뮤직 페스티벌[6]
올해의 앨범상
에픽하이
<Remapping The Human Soul>
(2007년)
동방신기
<MIROTIC>
(2008년)
G-DRAGON
<Heartbreaker>
(2009년)

[1] 2005 ~ 2008년 온라인 발표. 2009년부터 대면 시상식 실시.[2] 최초 시상[3] 2005년 시상식 미개최[4] 2005년까지는 뮤직비디오 위주로만 시상한 '엠넷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시기였다.[5]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명칭이 '엠넷 KM 뮤직 페스티벌'이었다.[6]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명칭이 '엠넷 KM 뮤직 페스티벌'이었다.

The 51st Japanese Single
Lime & Lemon
파일:Lime & Lemon 단체.jpg
최강창민 · 유노윤호

파일:동방신기 로고.svg동방신기(東方神起
TVXQ!
||
그룹명(Dōng(Fāng (Shén(, (とう(ほう(しん([1]
TVXQ (Tong Vang Xien Qi)[2]
DBSK (Dong Bang Shin Ki)
데뷔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년 12월 26일[3]
(데뷔일로부터 7462일, 20주년)
파일:일본 국기.svg

2005년 4월 27일
(데뷔일로부터 6974일, 19주년)
데뷔 음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싱글 1집
파일:일본 국기.svg

싱글 1집 [4]
장르댄스, 발라드, R&B, 일렉트로니카[5]
리더유노윤호
소속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M엔터테인먼트
파일:일본 국기.svg

에이벡스엔터테인먼트
유통사카카오엔터테인먼트
팬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카시오페아
파일:일본 국기.svg

비기스트
공식 색
Pearl Red (펄 레드) 185C (#E4002B)
응원봉별봉
링크

1. 개요
2. 멤버
3. 특징
3.1. 로고
3.2. 인기와 위상
3.3. 콘셉트
3.4. 역량
3.4.1. 5인 시절
3.4.2. 2인조 재편 이후
3.5. 피지컬
4.1. 미발표 음원
5. 뮤직비디오
6. 수상
6.1. 시상식
6.2. 음악방송 1위
6.3. 기타 수상 및 홍보대사
7. 활동
9. 여담
11. 역대 프로필 사진




1. 개요[편집]



안녕하세요, 동방신기입니다!
We are~T!

2003년 12월 26일SM엔터테인먼트에서 데뷔한 대한민국의 남성 듀오 보이그룹이다.[6][7]

그룹명인 동방신기는 동방()의 신()이 일어나다()는 의미이다.


2. 멤버[편집]


파일:동방신기로고2018black.png
파일:Reality Show 유노윤호 4.jpg
파일:Devil(최강창민)32.jpg
유노윤호
U-KNOW
최강창민
MAX CHANGMIN
1986. 02. 06. (38세)


리더
메인래퍼
메인댄서
리드보컬
1988. 02. 18. (36세)


메인보컬
리드래퍼
리드댄서


2.1. 전 멤버[편집]


활동기간 2003. 12. 26. ~ 2010. 03. 24.
파일:MIROTIC HERO 1.jpg
파일:MIROTIC MICKY 2.jpg
파일:MIROTIC XIAH 2.jpg
영웅재중
HERO JEJUNG
믹키유천
MICKY YUCHUN
시아준수
XIAH JUNSU
1986. 01. 26.
(38세)

메인보컬

1986. 06. 04.
(37세)

메인래퍼
서브보컬
1986. 12. 15.
(37세)

리드보컬
리드댄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JYJ#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특징[편집]


캐치프레이즈는 We are T! 2인조 재편 이후이자 데뷔 9년차에 접어들 쯤에 고안된 인사법으로 팬들과 함께 진행하는 인사법이다. 동방신기가 "We are~"라고 선창하면 팬들이 야광봉 2개로 T자를 만들면서 T라고 외친다.[8]

빅뱅, 소녀시대, 원더걸스가 2세대 아이돌의 대중화를 이끌었다면 동방신기는 2세대 아이돌의 시발점이다. 다른 소속사에서 2세대 아이돌 그룹이 데뷔하기 전까지, R&B 소울 발라드가 가요계를 잠식시킨 시기에 사실상 비교적으로 대중 트렌드를 유지하며 활동한 유일한 댄스 아이돌이었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아이돌 그룹으론 처음으로 앨범 판매량 총 1000만장이라는 기록을 달성했다. 2023년 기준으로 앨범 누적 판매 기록 15,548,060장이라는 위엄을 보이고 있다.[9]


3.1. 로고[편집]





10주년 TENSE 전까지는 다른 상징이나 로고 없이 東方神起 한자를 사용했다.


3.2. 인기와 위상[편집]


2000년대 중반 데뷔한 2세대 아이돌의 시초로 여겨지는 그룹이며, 동세대 아이돌 중 가장 독보적인 인기와 팬덤 규모를 자랑했던 그룹이다. 5명으로 활동했던 2004년~2009년 사이에는 사실상 팬덤과 인기로는 따라갈 그룹이 없었으며[10], 특히 10~20대 팬층에서 동방신기의 인기는 절대적이었다. 5년 동안 총 7개의 대상[11]을 휩쓸었으며 2006년 SBS 가요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하면서 지상파 마지막 가요대상 수상자로도 남아있다. 또한 음악방송에서 총 49회 1위[12]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3]

파일:2007 드림콘서트 동방신기 팬석.jpg
파일:드림콘서트 동방신기 팬석.jpg
2007년 드림콘서트 동방신기 팬석

2세대 아이돌의 시초인만큼 1세대와 달리 온라인에서의 팬 활동이 아주 활발했는데, 동방신기의 공식 팬카페인 <유애루비>는 전성기 시절 100만명의 회원수를 찍었으며 멤버 개개인의 팬카페도 기본 10만에 가까울 정도로 회원수가 많았다. 또한 기존 오프라인에서의 화력도 엄청나서, 2007년~2008년 드림콘서트 당시에는 3만 5천명의 관객들이 입장해 2세대 아이돌 중 드림콘서트 입장인원 최고수를 찍었다.[14] 2000년대 중후반 드림콘서트의 3층 자리는 늘 동방신기의 팬클럽인 카시오페아 차지였다.[15]

2018년 닛산 스타디움

무엇보다 동방신기는 이전의 케이팝 가수들과 달리 일본 시장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둔 첫 보이그룹으로 평가받는다.[16] 2005년 국내에서 최정상의 자리를 찍은 뒤 일본으로 건너가 멤버 모두가 방송에서 자유롭게 회화가 가능한 수준이 될때까지 일본어를 배웠으며 상가 계단에서 라이브를 하는 등 바닥부터 올라오는 고생을 한 끝에 2000년대 후반부터 탄탄한 입지를 만들었다. 2009년에는 The Secret Code도쿄돔 입성이라는 쾌거를 이뤄냈으며 2013년 TIME, 2015년 WITH, 2017년 Begin Again, 2019년 XV, 총 4번의 돔투어로 해외 아티스트 사상 가장 많은 일본 돔 공연을 가진 가수로 기록되었다. 또한 NHK 홍백가합전에 3차례[17] 출연할 정도로 성공을 거뒀다.

2013년에는 7만명 이상의 수용인원을 자랑하는 닛산 스타디움에 입성하여 2일 동안 개최하여 일본에서 외국인 가수 최초로 그리고 유일하게 이틀 대관 공연을 한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 2018년에는 Begin Again 투어를 통해 100만명을 동원함과 동시에 닛산 스타디움 3일 연속 공연을 확정하며 자체 기록을 경신했다. 해외 아티스트는 물론이고 일본 아티스트를 통틀어도 전무하며 개장 이래 최초 기록을 동방신기가 처음으로 이뤄냈다.

소송으로 인한 3년에 가까운 공백기와 소속사 후배 EXO의 데뷔로 인한 자연스러운 세대교체로 인해 현재의 팬덤 화력은 전성기에 비해서는 못 미치나, 팬덤 충성도는 연차에 비해 탄탄한 편이며 2인조 개편 이후 일본에 활동을 집중한 덕택에 얻은 확실한 입지와 강력한 티켓 파워 덕분에 SM엔터테인먼트의 매출을 책임지는 대표 아티스트이다. 2015년 SM 소속 아티스트별 매출 비중 1위, 2018년 군백기 이후 2위를 기록했음을 증권사 리포트로 확인된바 있다.


3.3. 콘셉트[편집]


동방신기는 아시아 음악시장을 제패를 목표로 기획된 팀이였으며 데뷔한지 1년이 채 되지 않아 2004년 11월 25일 〈Hug〉로 영어, 일본어[18], 중국어 싱글을 발매한다. 또한 중국 활동을 위해 중국인 멤버를 영입할 계획까지 있었으나 팬덤의 내부 반발과 보아의 성공적인 일본 진출을 기반으로 동방신기 또한 일본 위주의 활동을 펼치게 되어 중국 음악시장을 타겟으로 삼고자 했던 본래의 기획 의도와는 다른 활동 노선을 걷게 된다.[19]

팀 이름을 짓는 과정에서 'SM5', '드림팀', '오장육부', '전.먹.고(전설을 먹고 사는 고래)' 등 다양한 이름이 거론되었다. 이후 영화 《동방불패》를 보고 영감이 떠오른 이수만의 아이디어로 이름을 동방신기로 결정한다.[20] #

중국 시장을 어필하기 위한 전략으로 멤버들의 활동 가명을 이름 앞에 예명을 붙인 4글자 이름으로 작명했다. 영웅재중(英雄在中, Hero)은 영웅이라는 뜻을, 유노윤호(瑜鹵允浩, U-Know)는 "You know?"라는 단어를 통해 상대방을 알고 항상 이해하려는 마음과 빛과 소금이라는 뜻을, 시아준수(细亞俊秀, Xiah)는 아시아의 별이라는 뜻을[21] 가지고 있으며, 믹키유천(秘奇有仟, Micky)은 박유천의 영어 이름이다.[22] 마지막으로 최강창민(最强昌珉, Max)은 아시아의 최강이 되겠다는 포부를 담았다고 한다. 이런 설정은 H.O.T.강타, 신화신혜성, 전진을 토대로 만들어진 예명 마케팅의 연장선상이자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사례이며 향후 EXO 멤버의 초능력 콘셉트와 SMCU로 이어진다. 참고로 이로 인해 당시 10대 청소년들과 방송가에서 4글자 이름 짓기 열풍이 있었다.

댄스 음악이 점차 주춤해지고 발라드와 R&B가 음원차트에서 강세를 띠기 시작했던 기획 당시 가요계 판도에 맞게, 이후 지향하기 시작했던 SMP 장르로 정착하기에 앞서 발라드곡을 통한 실력파 그룹으로의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해 아카펠라 댄스 그룹이라고 했는데 그에 맞게 각 멤버마다 음역대 포지션을 부여받았다.[23]


3.4. 역량[편집]



3.4.1. 5인 시절[편집]


1990년대 중반 댄스 음악의 강세와 아이돌의 등장으로 인해 가요프로에서도 립싱크가 주를 이룬 결과, 댄스 가수와 아이돌 그룹의 가창력 논란이 꼬리표처럼 따라붙게 되었고 이는 자연스레 아이돌 그룹의 한계와 편견으로 굳어져 갔는데 동방신기 역시 이러한 논란에서 마냥 자유로울 순 없었다. 'Hug' 활동 당시에는 멤버들의 앳된 목소리와 댄스곡이지만 강도가 세지 않은 안무 덕분에 어느 정도 커버가 되었지만 'The Way U Are'를 기점으로 댄스곡 위주의 활동을 하면서 가창력 논란은 점차 불거지기 시작했다.[24] 이는 동방신기도 본래 H.O.T.신화의 계보를 잇는 SMP의 적장자로서 기획된 팀이자 'Hug'를 데뷔곡으로 채택한 것은 동방신기의 자리매김을 위한 일시적인 전략이었음을 시사하는 바이기도 하다.

청아한 음색과 큰 성량으로 주로 메인 멜로디를 담당했던 영웅재중, 2세대 아이돌 중 손에 뽑는 완급조절과 보컬실력을 가진 시아준수와 팀내 역할 분담에 의해 대부분 시원한 고음을 담당했던 최강창민 , 그리고 무대에서 퍼포먼스로 시선강탈을 담당했던 리더 유노윤호, 매력적인 저음과 미국 출신으로 영어랩을 담당했던 믹키유천까지, 이렇게 다섯 멤버의 조화가 당시 아이돌 침체기에 이르렀던 가요계에 다시 아이돌붐을 일으키는 2세대 아이돌의 시작점이 되었다.

5인 시절 정규 앨범 4장으로 200만장과 싱글 + 스페셜 앨범 70만장으로 총2,684,982장의 (2008년기준 263만장) 판매고를 올렸고 일본 앨범 330만장과 5인조로 발매한 마지막 일본 음반 <時ヲ止メテ>가 에이백스 집계 기준 72만장을 판매하며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스페셜 음반을 제외한 총8장으로5인 활동이 종류되기 전까지 국내에서 2,300,000장을 판매했다.

이수만이 밝히길 동방신기의 멤버들은 당시 SM의 남자 연습생 TOP 5였는데 원래 각자 다른 그룹에서 그 그룹의 에이스로 데뷔할 예정이었지만 당시 SM의 상황이 영 좋지 않았기 때문에 확실하게 성공할 팀을 만드는 쪽으로 방향을 바꿔 동방신기를 만들었다고 한다.


3.4.2. 2인조 재편 이후[편집]


이전의 동방신기가 화려한 퍼포먼스와 함께 각 멤버들의 보컬과 팀의 화음을 내세우는 아카펠라 팀이었던데 비해 3인의 탈퇴로 인한 팀 재정비 후에는 주로 중저음 담당이던 유노윤호는 중간파트도 담당하고 고음 담당이던 최강창민 역시 중간 파트와 저음까지도 커버하게 되었다.

노래뿐만 아니라 퍼포먼스 역시 노래에 맞춰 두 멤버의 단독 퍼포먼스를 교대로 연출하거나 두 멤버가 주축이 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후 끝없는 노력을 바탕으로 다년차에 걸맞은 보컬과 퍼포먼스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3.5. 피지컬[편집]



180329 운명 (The Chance of Love) 컴백 스테이지



유노윤호최강창민이 5인 시절부터 팀 내 최장신들[25]이였던 덕에 2인 체제로 전환한 이후엔 평균 신장 184cm인 그룹이 되었다. 2011년 컴백 이후 '왜 (Keep Your Head Down)', 'Catch Me', 'Humanoids', 'Something' 등 타이틀곡이 퍼포먼스 위주로 바뀐 배경에는 두 멤버의 조화롭고 우월한 피지컬도 작용했다. 번갈아 가며 하는 페어 안무와 거울에 비춘듯이 서로를 미러링 하는 안무가 그 예시. 다만 이런 피지컬을 내세운 나머지 항상 제복과 수트만 입혀서 팬들은 아쉬움이 남기도.

파일:2017 FNS 가요제 동방신기.webp
2017 FNS 가요제 출연 당시

특히 일본 방송에 출연할때마다 남들보다 위에 우뚝 서 있는 모습이 포착되어[26] 종종 트위터에서 화제가 되고 2ch에서 열폭 섞인 반응이 나오기도 한다. 2017 FNS 가요제 # 2018 엠스테 #

일본 활동 문서에도 서술되어 있듯이, 뛰어난 실력과 더불어 이러한 비주얼과 피지컬을 내세운 신사적이고 깔끔한 이미지로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4. 음반[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개별 싱글 및 앨범의 구체적인 발매 정보에 대한 내용은 동방신기/음반 목록 문서
동방신기/음반 목록번 문단을
동방신기/음반 목록#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한국 음반 ]
[ 2004년 - 2005년 ]

음반명타이틀곡활동곡/문서가 있는 수록곡
데뷔 싱글
Hug
2004. 01. 14.
HugMy Little Princess (있잖아요...)
싱글 2집
The Way U Are
2004. 06. 23.
The Way U Are
정규 1집
TRI-ANGLE
2004. 10. 11.
믿어요TRI-ANGLE (Feat. BoA & TRAX)
캐롤
The Christmas Gift from 東方神起
2004. 12. 06.
마법의 성 (Magic Castle)
여름 싱글
Hi Ya Ya 여름날
2005. 06. 20.
Hi Ya Ya 여름날
정규 2집
Rising Sun
2005. 09. 12.
Rising Sun (순수)Tonight
One

[ 2006년 - 2008년 ]

음반명타이틀곡활동곡/문서가 있는 수록곡
정규 3집
"O"-正.反.合.
2006. 09. 29.
"O"-正.反.合.

[ 2011년 - 2014년 ]

음반명타이틀곡활동곡/문서가 있는 수록곡
정규 5집
왜 (Keep Your Head Down)
2011. 01. 05.
왜 (Keep Your Head Down)믿기 싫은 이야기 (How Can I)
MAXIMUM
Honey Funny Bunny
정규 5집 리패키지
이것만은 알고 가 (Before U Go)
2011. 03. 14.
이것만은 알고 가 (Before U Go)
정규 6집
Catch Me
2012. 09. 24.
Catch MeI Don't Know
꿈 (Dream)
정규 6집 리패키지
Humanoids
2012. 11. 26.
Humanoids
정규 7집
TENSE
2014. 01. 06.
SomethingTEN (10 YEARS)
정규 7집 리패키지
수리수리 (Spellbound)
2014. 02. 27.
수리수리 (Spellbound)

[ 2015년 - 2018년 ]

음반명타이틀곡활동곡/문서가 있는 수록곡
스페셜 앨범
RISE AS GOD
2015. 07. 20.
샴페인 (Champagne)
Rise As One
스페셜 앨범
TVXQ! WEEK
2017. 09. 25/28.
DROP
여정 (In A Different Life)
정규 8집
New Chapter #1:
The Chance of Love

2018. 03. 28.
운명 (The Chance of Love)평행선 (Love Line)
15주년 스페셜 앨범
New Chapter #2:
The Truth of Love

2018. 12. 26.
Truth

[ 일본 음반 ]
음반명타이틀곡커플링곡
[ 기타 음반 ]
음반명곡명비고
[ 기타 분류 ]
[ 번안 곡 ]

음반명타이틀곡활동곡/문서가 있는 수록곡

[ 아카펠라 ]

음반명타이틀곡활동곡/문서가 있는 수록곡






4.1. 미발표 음원[편집]


  • Big time: 2010 SMTOWN LIVE에서 공개된 최강창민의 솔로곡. 자그마치 댄스곡이다.
  • 이것만은 알고 가 (일본어 Ver.): 2012년 TONE 투어에서 공개되었으나 아직까지 음원으로는 공개되지 않았다.
  • Santa Revolution (한국어 Ver.): 2013년 TIME SLIP 콘서트에서 공개된 유노윤호의 솔로곡, 저작권협회에 등록되어 있는것까지 확인 되었지만 일본어 버전만 U KNOW Y를 통해 공개되었다.
  • Uptown Boys: T1ST0RY 투어의 오프닝 곡.
  • ANDROID (한국어 Ver.): 일본 싱글 곡인 ANDROID의 한국어 버전으로 T1ST0RY 콘서트에서 2절까지 공개되었다.
  • Somebody To Love (한국어 Ver.): T1ST0RY 콘서트에서 처음으로 한국어 버전이 공개되었다.
  • Show Me Your Love (동방신기 Ver.): 2014년 T1ST0RY 콘서트에서 동방신기 버전이 처음 공개되었으며 2005년 발매된 원곡에서 초반과 후반의 랩 가사가 수정되었다.
  • BANG! (한국어 Ver.): 2014년 T1ST0RY 투어에서 공개된 유노윤호의 솔로곡이나 일본 솔로앨범인 <U KNOW Y>에서 일본어 버전만 공개되었고 아직 한국어버전은 공개되지 않았다.
  • Shout Out: 2014년 TREE 투어에서 최초로 공개됐으며 유노윤호의 솔로곡이다.
  • Starlight (너의 자리): 2015년 T1ST0RY &...! 콘서트에서 처음 공개된 곡. 동방신기의 입대 전에 발매한 스페셜 앨범에 수록될 줄 알았으나 아니었고 심지어 정규 8집에도 수록되지 않았다.

5인조 버전:
  • Maximum: JYJ가 탈퇴하기 전에 녹음한 곡으로 2010년 상반기 컴백으로 예정되어 있던 정규 5집의 타이틀 곡이였다는 얘기가 있다. 소송으로 인한 공백기 동한 유노윤호최강창민이 5인조 버전의 녹음본으로 안무 연습을 했다. 하지만 2019년 전 멤버 믹키유천필로폰 투약 사건으로 한국 연예계에서는 사실상 퇴출된 상황이라서 공개 가능성은 없다. #
  • 이별아: 영웅재중이 주연으로 출연한 《천국의 우편배달부》 OST다. 영화에 수록되었으나 소송 시기에 맞물려 발매되지 못하고, 10년 가량이 지난 후 작곡가 미친감성의 유튜브에서 공개되었다. #


5. 뮤직비디오[편집]



파일:동방신기로고2018black.png동방신기 역대 뮤직비디오
||
앨범곡명발매일채널
[ 2004~2010년 ]

[ 2004년 ]

싱글 1집
Hug
01.14.SMTOWN[R]
My Little Princess (있잖아요...)
SMTOWN
싱글 2집
The Way U Are
06.23SMTOWN
SMTOWN 앨범
Drive
06.29SMTOWN[R]
정규 1집
믿어요
10.11SMTOWN
Thanks To
외부채널
TRI-ANGLE
SMTOWN[R]
Whatever They Say
외부채널
인터내셔널 싱글
Hug (International Ver.)
11.24외부채널
캐롤 앨범
Jesus, Joy Of Man's Desiring
12.06외부채널
마법의
SMTOWN

[R] A B C SM엔터테인먼트의 리마스터링 프로젝트로 재공개된 뮤직비디오이다.
[ 2005년 ]

중국 정규 1집
我相信
01.18외부 채널
일본 싱글 1집
Stay With Me Tonight
04.27AVEX
여름 싱글
Hi Ya Ya 여름날
06.20SMTOWN[R]
일본 싱글 2집
Somebody To Love
07.13AVEX
정규 2집
Tonight
09.12SMTOWN
Beautiful Life
SMTOWN
Rising Sun (순수)
SMTOWN[R]
One
SMTOWN
Free Your Mind (Feat. TRAX)
SMTOWN
약속했던 그때에 (Always There...)
SMTOWN
일본 싱글 3집
My Destiny
11.02AVEX
겨울 싱글
Show Me Your Love
12.15SMTOWN

[R] A B

[ 2015년 ]

스페셜 앨범
샴페인 (Champagne)

[윤호]
07.20SMTOWN
Rise As One

[창민]
SMTOWN

[윤호] 유노윤호 솔로[창민] 최강창민 솔로
[ 2017년 ]

SM STATION
DROP

[윤호]
09.25SMTOWN
여정 (In A Different Life)

[창민]
09.28SMTOWN
일본 싱글 44집
Reboot
12.20AVEX
Begin ~Again Version~
AVEX

2023년
일본 싱글 50집
PARALLEL PARALLEL
02.01AVEX
일본 싱글 51집
Lime & Lemon
06.28AVEX
정규 9집12.26


6. 수상[편집]



6.1. 시상식[편집]


날짜시상식수상 부문비고
2004년
12.042004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최우수 뮤직비디오상 (신인그룹 부문)Hug
12.10제15회 서울가요대상신인상
본상
12.292004 SBS 가요대전신인상
본상
12.302004 KBS 가요대상올해의 가수상
12.312004 MBC 10대 가수 가요제10대 가수상
2005년
온라인2005 멜론 뮤직 어워드올해의 아티스트상
올해의 뮤직비디오상Rising Sun
11.272005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최고 인기 뮤직비디오상
모바일 인기상
12.292005 SBS가요대전최고인기상
본상
12.302005 KBS 가요대상올해의 가수상
2006년
09.22제3회 아시아 송 페스티벌공로상
대한민국 대표 가수상
11.23제51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최우수 영화음악상
11.252006 KM 뮤직 페스티벌올해의 아티스트상
그룹상
엠넷닷컴상
모바일 인기상
12.01제16회 서울가요대상대상"O"-正.反.合.
본상
모바일 인기상
12.13제21회 골든디스크어워즈음반 대상"O"-正.反.合.
본상
12.292006 SBS 가요대전대상"O"-正.反.合.
본상
2007년
10.062007 대한민국 연예예술상해외 인기상
11.26제40회 베스트 히트 가요제골드 아티스트상
2008년
10.04제5회 아시아 송 페스티벌대한민국 대표 가수상
11.122008 대한민국 연예예술상최우수 인기가수상
온라인2008 멜론 뮤직 어워드올해의 아티스트상
올해의 뮤직비디오상MIROTIC
11.152008 KM 뮤직 페스티벌올해의 앨범상MIROTIC
해외시청자상주문-MIROTIC
옥션 네티즌 인기상
모바일 인기상
옥션스타일상
11.27제41회 베스트 히트 가요제골드 아티스트상
12.12제16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신세대가요 대상
신세대가요 10대 가수상
남자댄스가수상
12.26KBS 뮤직뱅크 2008 연말결산《K-Chart 통합》 MVP주문-MIROTIC
12.30제23회 골든디스크어워즈음반 대상MIROTIC
본상
인기상
12.30제51회 일본레코드대상우수작품상どうして君を好きになってしまったんだろう?
2009년
02.12제1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본상
모바일 인기상
11.212009 엠넷 아시아 뮤직 어워드베스트 아시아 스타상[27]
11.26제42회 베스트 히트 가요제골드 아티스트상
12.01제52회 일본레코드대상우수작품상Stand by U
12.16제1회 멜론 뮤직 어워드Star상MIROTIC
Mania상
2010년
02.24제24회 일본 골든 디스크 대상베스트 뮤직비디오 (해외 부문)All About 東方神起 season 3
2011년
09.02제38회 한국방송대상가수 부문
12.292011 MBC 방송연예대상K-POP 부문 특별상
12.30제53회 일본레코드대상우수작품상Why? (Keep Your Head Down)
2012년
01.27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베스트 3 앨범
02.22제1회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올해의 가수상 (1분기 앨범 부문)왜 (Keep Your Head Down)
2013년
02.13제2회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올해의 가수상 (4분기 앨범 부문)Catch Me
2014년
02.27제28회 일본 골든 디스크 대상베스트 아시안 아티스트
올해의 앨범 (아시아 부문)TIME
베스트 뮤직비디오 (아시아 부문)TOHOSHINKI LIVE TOUR 2013 〜TIME〜
베스트 3 앨범TIME
올해의 다운로드송Catch Me -If you wanna-
2015년
01.28제4회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올해의 가수상 (1분기 앨범 부문)TENSE
03.02제29회 일본 골든 디스크 대상베스트 아시안 아티스트
올해의 앨범 (아시아 부문)TREE
베스트 뮤직비디오 (아시아 부문)TOHOSHINKI LIVE TOUR 2014 〜TREE〜
베스트 3 앨범TREE
WITH
2020년
05.19제7회 이데일리 문화대상콘서트 부문 최우수상


6.2. 음악방송 1위[편집]


파일:동방신기로고2018black.png통산 음악방송 1위 횟수
||
방송사프로그램명1위 횟수트리플 크라운 횟수
파일:SBS 로고.svg인기가요20회5회
ta-hash-start=w-21c55cb2ff8f7ce34b89f7cc8cf71d9f[[파일:MBC 로고.svg생방송 음악캠프3회-
쇼! 음악중심1회-
파일:엠넷 로고.svg엠 카운트다운16회3회
파일:KBS 2TV 로고.svg뮤직뱅크9회-
합계49회8회

날짜프로그램활동곡비고
2004년
03.28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4.png
Hug

6관왕
04.03파일:dfgffdgdgdff5.png
04.04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4.png
04.10파일:dfgffdgdgdff5.png
04.11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4.png트리플 크라운
04.17파일:dfgffdgdgdff5.png3주 연속
08.05파일:엠넷 로고(1995-2005).svg
The Way U Are

4관왕
08.12
08.19트리플 크라운
09.05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4.png
11.25파일:엠넷 로고(1995-2005).svg
믿어요

3관왕
12.09
12.05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4.png
2005년
01.02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5.png
TRI-ANGLE

1관왕
10.09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5.png
Rising Sun (순수)

4관왕
10.13파일:엠넷 로고(1995-2005).svg
10.16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5.png2주 연속
10.23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5.png트리플 크라운
2006년
10.15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5.png
"O"-正.反.合.

5관왕
10.26파일:엠넷 로고(1995-2005).svg
10.29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5.png
11.05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5.png트리플 크라운
11.09파일:엠넷 로고(1995-2005).svg2주 연속
12.07파일:엠넷 로고(1995-2005).svg
풍선 (Balloons)

1관왕
2008년
10.09파일:엠넷 로고(1995-2005).svg
9관왕
10.12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7.png
10.19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7.png
10.23파일:엠넷 로고(1995-2005).svg
10.26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7.png트리플 크라운
10.30파일:엠넷 로고(1995-2005).svg트리플 크라운
10.31파일:뮤직뱅크 로고 2008.png10월 통합차트
12.26파일:뮤직뱅크 로고 2008.png연말결산 음반차트
연말결산 통합차트
2011년
01.14파일:뮤직뱅크 로고 2008.png
왜 (Keep Your Head Down)

7관왕
01.16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9.png
01.20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0.png
01.21파일:뮤직뱅크 로고 2008.png
01.23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9.png
01.28파일:뮤직뱅크 로고 2008.png3주 연속
01.30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9.png트리플 크라운
03.25파일:뮤직뱅크 로고 2008.png
이것만은 알고 가 (Before U Go)

2관왕
03.27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09.png
2014년
01.16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2.svg
Something

7관왕
01.17파일:뮤직뱅크 로고 2008.png
01.18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2~2015).jpg
01.19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2.jpg
01.23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2.svg
01.30트리플 크라운
02.07파일:뮤직뱅크 로고 2008.png통산 2주


6.3. 기타 수상 및 홍보대사[편집]


날짜시상자시상 부문비고
04.12.09서울 외신기자클럽 송년의 밤올해의 외신 홍보상
05.06.11LA 홍보대사보아와 공동 위촉
07.06.14한국 전자정부 홍보대사
08.12.31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문화체육관광부 표창빅뱅과 공동 수여


7. 활동[편집]



7.1. 국내 활동[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동방신기/국내 활동#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 미디어 활동[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동방신기/미디어 활동#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일본 활동[편집]



파일:toho2oulogo.png
동방신기 일본 투어


[ 펼치기 · 접기 ]

2006
~Heart, Mind and Soul~
2007
~Five in the Black~
2008
~T~
2009
~The Secret Code~
파일:hmstourlogo.png파일:fitbtourlogo.png파일:ttourlogo.jpg파일:tsctourlogo.png
15,000명
첫 투어
53,700명
무도관 입성
224,000명364,000명
도쿄돔 입성
2012
~TONE~
2013
~TIME~
2014
~TREE~
2015
~WITH~
파일:attachment/TOHOSHINKI LIVE TOUR 2012 ~TONE~/tonetour.png파일:attachment/TOHOSHINKI LIVE TOUR 2013 ~TIME~/timetour.png파일:attachment/TOHOSHINKI LIVE TOUR 2014 ~TREE~/treetour.jpg파일:attachment/TOHOSHINKI LIVE TOUR 2015 ~WITH~/withtour.jpg
550,000명850,000명
전국 5대 돔 투어[A]
닛산 스타디움 입성[B]
600,000명750,000명
전국 5대 돔 투어[A]
2016
~TILL~
2017
~TILL2~
2017-2018
~Begin Again~
2018-2019
~TOMORROW~
파일:tohoshinki_TILL_logo.png파일:tohoshinki_TILL2_logo.png파일:beginagaintour.jpg파일:tvxqtomorrowtour.jpg
130,000명
FILM CONCERT[C]
190,000명
FILM CONCERT[C]
1,005,000명
전국 5대 톰 투어[A]
닛산 스타디움 최초 3일 연속 공연[B]
680,000명
2019-2020
~XV~
2023
~CLASSYC~
파일:동방신기xv투어로고.jpg파일:tohoshinki_CLASSYC_logo.png
600,000명
전국 5대 돔 투어[A]
370,000명
[A] A B C D 삿포로, 나고야, 후쿠오카, 오사카, 도쿄[B] A B 2013년 해외 아티스트 최초로 닛산 스타디움에 입성하였으며, 2018년엔 일본 및 해외 아티스트를 통틀어 최초로 3일 연속 공연하였다. 이로써 닛산 스타디움에 두 차례 공연을 갖게 된 최초의 해외 아티스트가 되었다.[C] A B 멤버 유노윤호와 최강창민이 각각 7월과 11월에 입대로 인해 공백기를 가지는 동안 일본 전국 47개 토도부현에서 90회 가량에 걸쳐 과거 라이브 영상을 상영하는 필름 콘서트가 열렸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동방신기/일본 활동#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공연 및 행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동방신기/공연 및 행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팬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시오페아(동방신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편집]



























10.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동방신기/논란 및 사건 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역대 프로필 사진[편집]



파일:동방신기 로고 화이트.svg
역대 공식 단체 사진
파일:Keep Your Head Down 단체 1.png
파일:이것만은 알고 가 (Before U Go) 단체 2.png
파일:동방신기tone컨셉.jpg
왜 (Keep Your Head Down)이것만은 알고 가 (Before U Go)TONE
파일:Catch Me 단체 2.jpg
파일:Humanoids 단체 1.jpg
파일:동방신기time컨셉.jpg
Catch MeHumanoidsTIME
파일:TENSE 단체.jpg
파일:동방신기tree컨셉.png
파일:tohoshinki_WITH_단체.jpg
TENSETREEWITH
파일:RISE AS GOD 단체.jpg
파일:동방신기beginagain컨셉.jpg
파일:동방신기thechanceoflove컨셉.jpg
RISE AS GODFINE COLLECTION 〜Begin Again〜New Chapter #1: The Chance of Love
파일:동방신기투모로우이미지.jpg
파일:TVXQtruth.jpg
파일:동방신기xv프로필.jpg
TOMORROWNew Chapter #2: The Truth of LoveXV
파일:동방신기epitaph티저.jpg
파일:SMCU EXPRESS TVXQ!.jpg
파일:2022 Winter SMTOWN : SMCU PALACE - ID Portrait Image TVXQ 1.jpg
Epitaph2021 Winter SMTOWN : SMCU EXPRESS2022 Winter SMTOWN : SMCU PALACE


[1] 일본 개그맨 진나이 토모노리가 처음 '東方神起'라는 이름을 보고 'ひがしかたかみおき(히가시카타 카미오키)'로 읽었는데 무슨 엔카 가수 이름인 줄 알았다고 한다. '토-호-신키'는 음독이고 '히가시카타카미오키'는 훈독으로 읽은 것이다.[2] 올바른 병음은 아니며, 东方神起를 표준중국어 기준으로 정확한 한어병음으로 표기하면 Dong Fang Shen Qi가 된다.[3] 방송 데뷔를 먼저하고 음반이 후에 나온 케이스로 SBS <보아&브리트니 스페셜> 출연일인 2003년 12월 26일이 공식 데뷔일이다.[4] 이전에 인터내셔널 싱글로 〈Hug (International Ver.)〉를 발매한 적이 있으나, 공식적으로는 〈Stay With Me Tonight〉을 일본 메이저 데뷔 싱글로 친다.[5] 5인조 시절에는 R&B, 아카펠라가 중심이었으나, 2인조로 개편하면서 일렉트로니카가 주류가 되었다.[6] 음반이 나온 날짜는 2004년 1월 14일이나 공식 데뷔일은 2003년 12월 26일이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방송 무대로 먼저 데뷔하고 음원은 나중에 발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수만의 친형이 운영한 스타월드에서 데뷔했던 걸그룹 슈가도 이런 케이스였다. 소속사인 SM 엔터테인먼트에서도 모든 데뷔 행사는 12월 26일에 맞춰 진행하고 있다.[7] 데뷔 당시에는 5인조 그룹이었으나 2010년 3월 24일까지 6년 3개월 간 5인 체제로 활동하였고, 2010년 8월 21일부터 SMTOWN LIVE 투어로 2인조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5인조로서 마지막 스케쥴은 2009년 12월 31일 NHK 홍백가합전이었고 녹음해둔 일본 싱글 시간을 멈춰서가 발매된 날짜가 2010년 3월 24일이다. 탈퇴 멤버 3명의 이름이 공식적으로 프로필에서 삭제된 시점은 SM엔터테인먼트JYJ가 소송을 끝낸 2012년 11월 28일. 후에 밝히기를 첫 무대 당시 2인조로 확정된 상황은 아니었고 내부에서는 멤버 추가 영입 등 여러 방안이 있었다고 한다. 이 공연을 보고 이수만이 둘이서 해도 되겠다는 판단을 내렸고 2010년 11월 23일, SM 엔터테인먼트의 공식 오피셜(일명 분홍 공지)이 올라왔으며 본격적으로 2인조로 활동한다.[8] 원래는 멤버들이 다 같이 허리를 숙이면서 "안녕하세요 동방신기입니다"라고 인사했지만, 동방신기 멤버들이 SUPER JUNIOR, 소녀시대, SHINee의 재치 발랄한 캐치프레이즈가 부러워 2012 TONE 투어에서 제안한 이후로 사용하고 있다.[9] 2015년 12월 19일 기준 한국 5,104,940장, 일본 9,038,579장[10] 라이벌로 여겨졌던 SS501 역시 동방신기에게 수적으로 훨씬 열세였다. 그나마 2세대 중 동방신기에 비빌만한 그룹은 BIGBANG이 유일한데 빅뱅 역시 팬덤 규모와 앨범판매량 등은 전성기 시절 동방신기보다 떨어진다.[11] 2005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최고 인기 뮤직비디오상, 2006 KM 뮤직 페스티벌 올해의 아티스트상, 2006 제16회 서울가요대상 대상, 2006 제21회 골든디스크어워즈 음반 대상, 2006 SBS 가요대전 대상, 2008 KM 뮤직 페스티벌 올해의 앨범상, 2008 제23회 골든디스크어워즈 음반 대상[12] 지상파에서 21회, 케이블에서 28회[13] 공중파 1위가 적은 이유는 동방신기가 한창 활동하던 2000년대 중반 무렵 지상파 방송의 음악 프로그램에서 순위제를 폐지했기 때문이다. 음악중심은 2006년부터, 뮤직뱅크는 2001년~2007년 사이 순위제를 운영하지 않았으며 인기가요는 순위제를 폐지한 대신 매주 한 팀의 가수를 선정해 뮤티즌송을 수상했다.[14] god와 비슷한 수치다. 여담이지만 드림콘서트 역대 최다 입장인원을 기록한 가수는 H.O.T.로, 1999년 드림콘서트 때 무려 10만명의 관객이 입장했다.[15] 드림콘서트가 무료로 운영된 시절에는 이 3층 자리가 당시 가요계 최고의 인기그룹을 의미하는 척도였다. 서태지와 아이들, H.O.T., god도 모두 거쳐갔던 자리다.[16] SM의 일본 진출은 S.E.S. 시절부터 있었지만 S.E.S.는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뒀고, 신화는 이름 정도만 알리는데 성공했다. 일본 진출 성공의 스타트를 끊은 게 보아동방신기였다.[17] 2008년 59회, 2009년 60회, 2011년 62회[18] 일본 메이저 데뷔는 2005년 4월 27일 발매된 싱글 1집 〈Stay With Me Tonight〉이다.[19] 중국 위주의 활동은 슈퍼주니어EXO가 시도하였으나 두 그룹 모두 중국인 멤버의 탈퇴, 한한령 등의 이유로 중화권에서 오랜 시간 활동하지 못한 채 사실상 활동이 끝났고 NCT의 중화권 담당 유닛인 WayV가 고정적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SM에서는 동방신기부터 NCT의 데뷔까지를 생각해보면 매우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제대로 된 중화권 활동을 하게 된 셈.[20] 썰전에서 희철영웅재중유노윤호가 처음에 팀명을 듣고 거의 울상이 되었다고 말했다.[21] 본인이 직접 지은 것이라고 한다.[22] 한자 이름인 '비기'는 가요계의 숨겨진 무기라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23] 하이: 최강창민, 미들하이: 시아준수, 메인: 영웅재중, 미들로우: 유노윤호, 로우: 믹키유천. 2인조로 개편한 이후에는 파트를 구별하지 않는다.[24] 다만 당시 MBC와 KBS에서는 100% 라이브를 원칙으로 했으며 AR조차도 허용되지 않았다.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사례로 2004년 정규 1집 활동 당시 SBS와 케이블 채널에서는 후속곡을 'Tri-Angle'로 활동했던 반면 립싱크가 불가능했던 KBS와 MBC에서는 스페셜 캐롤 앨범 타이틀곡인 '마법의 성'으로 활동한 점과 2집 활동 당시 MBC 쇼 음악중심 출연 클립이 있다.[25] 유노윤호 183cm, 최강창민 185cm[26] 파일:동방신기_일본방송_캡쳐.jpg
옆에 KAT-TUNPerfume이 서 있다.
[27] 수상자명은 동방신기였으나 엠넷과 이미 틀어졌던 SM은 보이컷을 선언해 2인은 불참하였고 대신 소송을 진행중이던 세 명이 시상대에 올랐다.[28] 성격도 정반대다. 리더인 유노윤호는 불같은 성격이고 최강창민은 물같은 성격이다. 이 성격은 어느잡지 인터뷰에서 본인들이 밝힌 적이 있다.[29] 카시오페아 중에서 동방신기가 원래부터 2인조였다고 밝히는 이들도 있다.[30] 반대로 비슷한 연차인 슈퍼주니어는 유튜브 화력이 상당한데, 1억뷰를 달성한 곡만 4곡이며, 5집 'Mr. Simple'은 1억 8,000만뷰를 달성했고, 8집 'Lo Siento', 6집 'Sexy, Free & Single', 7집 'MAMACITA (아야야)'는 조회수가 7,000~9,000만 뷰이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데뷔 연차는 비슷하지만, 슈퍼주니어가 본격적으로 해외 진출을 한 시기가 2009년이고, 그 무렵에 유튜브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동방신기는 그때 소송으로 인해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31] 이것은 제대하고 복귀하는 인터뷰에서 밝혔다.[32] 특히 데뷔 15년차인데도 초심을 잃지 않고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춤연습을 하는 유노윤호의 모습을 보고 놀랐다는 의견이 많다.[33] 한자를 훈독으로 읽었을 때[34] 멤버가 탈퇴하여 두 명이 남은 점까지 같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