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1군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충렬)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충렬부대 문서
충렬부대번 문단을
충렬부대# 부분을
, 조선인민군 육군 11군단에 대한 내용은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11군단
第十一軍團
XI Corps
파일:제11군단 부대마크.svg
창설일1987년 4월 1일
해체일2007년 10월 31일
별칭충렬부대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제2군사령부
규모군단
역할경상도 2개 도와 3개의 광역시를 방어
초대 군단장예) 중장 함덕선(육사 20기)
마지막 군단장예) 대장 황의돈(육사 31기)
위치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1. 개요
2. 상세
3. 편제
3.1. 직할부대
3.2. 예하부대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6.2. 군단가
7. 여담

파일:2006120502489064.jpg
12대 황의돈 군단장의 취임식 장면


1. 개요[편집]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을 근거지로 했던 대한민국 육군 제2군사령부 소속 군단. 별칭은 충렬부대.

1987년 4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해체 전까지 5개의 사단과 1개의 여단을 예하에 두고 있으며, 국방개혁 2020에 따라 2007년 10월 31일 해체되었다.


2. 상세[편집]


1987년 4월 1일에 창설되었다. 같은 날에 창설된 1군 예하 제8군단, 같은 2군 예하 (구)제9군단과 함께 창설되어 2군 예하의 군단으로 존재했었다.

제39보병사단, 제50보병사단, 제53보병사단, (구)제69보병사단, (구)제70보병사단 등 지역방위 및 동원사단을 예속받았다. 해체된 (구)제2군관구사령부, (구)제5군관구사령부의 위수지역을 그대로 물려받았다.[1]

후방지역에 해당하는 제2군(現 제2작전사령부)의 책임지역에 군단을 두는 것은 지휘계통상 불필요하다는 의견이 끊임 없이 제기되었다. 이에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제9군단과 같이 해체되는 것이 결정되었으며 2007년 10월 31일부로, 국방개혁에 따라 제2야전군을 제2작전사령부로 개편하면서 9, 11군단의 부대해체가 이뤄졌다. 11군단 사령부 후적지에는 제39보병사단 예하 제119보병여단이 주둔해 있다.

특이한 사항이 있다면 그동안 육사만 독식해오던 대장자리였으나 ROTC3사 출신 첫 대장이 이 부대 지휘관 출신이라는 점이다.


3. 편제[편집]


2007년 10월 31일 기준

3.1. 직할부대[편집]




3.2. 예하부대[편집]


  • 제39보병사단(충무부대)
  • 제50보병사단(강철부대)
  • 제53보병사단(충렬부대)
  • (구)제70보병사단(충효부대)
  • (구)제205특공여단(백호부대)[2]


4. 과거부대[편집]




5. 출신인물[편집]



5.1. 군단장[편집]


파일:제11군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 초대
함덕선 || 2대
김연각 || 3대
장병용 || 4대
함덕선 || 5대
김진호 ||
|| 6대
박용득 || 7대
노연웅 || 8대
박준근 || 9대
홍갑식 || 10대
박영하 ||
|| 11대
방효복 || 12대
황의돈 ||<-4>→ 부대 해체 ||
||<-5><bgcolor=#009944>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군단장.

역대 제11군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함덕선예) 중장육사 20기군단장
2대김연각예) 대장육사 17기2군사령관
3대장병용예) 중장육사 18기국방부특명검열단장
4대함덕선예) 중장육사 20기군단장
5대김진호예) 대장학군 2기[3][4]합동참모의장, 2군사령관대한민국재향군인회장
6대박용득예) 중장육사 22기육군교육사령관중앙고속 사장
7대노연웅예) 중장학군 5기[5]2군사령부 부사령관중앙고속 사장
8대박준근예) 중장육사 25기육군사관학교장
9대홍갑식예) 중장육사 27기육군참모차장
10대박영하예) 대장3사 1기[6]2군사령관
11대방효복예) 중장육사 30기육군참모차장, 국방대학교 총장국방과학연구소
12대황의돈예) 대장육사 31기육군참모총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5.2. 장교/부사관[편집]



5.3. 병[편집]




6. 기타[편집]




6.1. 근무환경[편집]




6.2. 군단가[편집]


낙동강 굽이치는 신라의 터전
화랑의 얼을 이은 대한의 건아
필승의 신념과 강철같은 투지로
젊음을 불태우는 조국의 방패
아 우리는 천하의 무적 11군단 용사들
겨레의 꿈 조국의 꿈 이루어 가자

7.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2:44:22에 나무위키 제11군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2, 5관구 해체와 11군단 창설까지의 공백기가 좀 길며, 그 동안에 이 사단들은 2군 직할이었다.[2] 2008년 12월 1일부로 부대해체[3] 고려대학교 사학과 60학번[4] 학군사관 출신 2번째 대장. 첫 번째는 박세환 대장으로 학군 1기이자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59학번[5] 건국대학교 생물학과[6] 육군3사관학교 출신 첫 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