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6군단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북한에서 쿠데타 모의 후 발각되었다고 알려진 북한의 제6군단에 대한 내용은 제6군단 쿠데타 모의 사건 문서
제6군단 쿠데타 모의 사건번 문단을
제6군단 쿠데타 모의 사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6군단
第六軍團
VI Corps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중서부전선을 지키는 강한 힘 진군부대
창설일1954년 5월 1일(제6군단)
해체일2022년 11월 30일[1]
상징명칭진군부대(進軍部隊)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지상작전사령부
규모군단
역할경기도 북부 지역 방어
초대 군단장예) 중장 이한림(군사영어 1기)
해체 전 군단장예) 중장 강건작(육사 45기)
위치경기도 포천시 자작동

1. 개요
2. 연혁
3. 편제
3.1. 직할부대
3.2. 예하부대
4. 과거부대
5. 출신 인물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6.2.1. 본점(포천)
6.2.2. 연천점
6.3. 군단가
7. 사건사고
8. 여담

군단사령부령
제1조(설치)
① 육군에 군단을 두며, 그 관할구역의 작전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군단사령부를 둔다.
② 군단의 명칭은 대통령이 정하고, 군단의 예속(隸屬)은 육군참모총장이, 군단의 배속(配屬)은 합동참모의장이 정하며, 군단 관할구역은 직속상관이 정한다.

파일:/image/001/2013/12/13/PYH2013121304500003000_P2_59_20131213134605.jpg
육군 제6군단


1. 개요[편집]


경기도 포천시 자작동을 근거지로 하였던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소속 군단. 별칭은 진군부대. 1954년 5월 1일 창설되었으며, 2022년 10월 1일에 예하 부대들이 제5군단으로 이관되어 잔존군단이 되었다가 2022년 11월 30일을 끝으로 해체되었다.


2. 연혁[편집]


1954년 6월 1일 경기도 포천군에서 창설되었다.

1993년에 기동군단 개편계획이 잡혀 706특공연대[2], 306경비연대 등이 해체되었고 30사단을 1군단에서 받고 5, 73사단은 5군단, 28사단과 65사단을 1군단으로 넘겨 26, 30사단을 예하에 두었으나 외환위기의 여파로 이 계획이 무산되어 2000년 말에 전부 예하 연대들이 재창설되었으며 사단들도 전부 원위치되었다.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제5군단과 합병될 예정이다. 합병에 어려움을 겪었던 8군단과 달리, 5, 6군단은 지리적으로 인접해있을 뿐 아니라 기능도 유사해 큰 어려움 없이 합병되었다.

2022년 10월 1일 0시부로 6군단 직할대 제외 예하 전투부대들이 5군단으로 제6군수지원단은 5군단 지원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예하 사단인 제28보병사단은 차후 해체 예정이며 현 6군단 소속의 제5보병사단과 1군단 소속의 제25보병사단으로 병력이 반반씩 전출될 예정이라고 한다. 제5보병사단과 제5기갑여단이 제5군단으로 전환될 예정이며 제6포병여단은 해체되어 제5포병여단과 화력여단으로 전환될 예정이다.[3]


3. 편제[편집]



3.1. 직할부대[편집]


  • 본부근무대
  • 군사경찰대
  • 제106정보통신단
    • 761 통신대대
    • 762 통신대대
  • 제306경비연대
  • 제146정보대대[4]
  • 제16화생방대대[5]
  • 보충중대[6]
  • 제706특공연대
  • 지원부대


3.2. 예하부대[편집]




4. 과거부대[편집]




5. 출신 인물[편집]



5.1. 군단장[편집]


||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 초대
이한림 || 2대
백인엽 || 3대
강영훈 || 4대
김웅수 || 5대
최홍희 ||
|| 6대
김계원 || 7대
정래혁 || 8대
한신 || 9대
김희덕 || 10대
이세호 ||
|| 11대
박원근 || 12대
이소동 || 13대
김용휴 || 14대
이재전 || 15대
신현수 ||
|| 16대
강영식 || 17대
김홍한 || 18대
안필준 || 19대
박명철 || 20대
나병선 ||
|| 21대
임인조 || 22대
김재창 || 23대
최경근 || 24대
이재관 || 25대
서경석 ||
|| 26대
김판규 || 27대
서종표 || 28대
김충배 || 29대
류우식 || 30대
송기석 ||
|| 31대
정두근 || 32대
이홍기 || 33대
서길원 || 34대
김학주 || 35대
이범수 ||
|| 36대
박종진 || 37대
김성진 || 38대
김성일 || 39대
박양동 || 40대
강건작 ||
||<-5><bgcolor=#004ea2>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군단장.

역대 제6군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이한림예) 중장
2대백인엽예) 중장백선엽의 친동생,
휘하 부군단장이 박정희 준장
3대강영훈예) 중장
4대김웅수예) 중장5.16 쿠데타 항거
5대최홍희예) 중장
6대김계원예) 대장군영 01기
7대정래혁예) 중장군영 01기
8대한신예) 대장육사 02기
9대김희덕예) 중장
10대이세호예) 대장육사 02기
11대박원근예) 중장육사 02기체신부장관
12대이소동예) 중장
13대김용휴예) 중장
14대이재전예) 중장
15대신현수예) 중장
16대강영식예) 중장
17대김홍한예) 대장육종 09기
18대안필준예) 대장육사 12기하나회
19대박명철예) 중장
20대나병선예) 중장
21대임인조예) 중장
22대김재창 예) 대장육사 18기하나회
23대최경근예) 중장
24대이재관예) 대장육사 21기
25대서경석예)중장학군 03기
26대 김판규예) 대장육사 24기
27대서종표예) 대장육사 25기
31대정두근예) 중장3사 07기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32대이홍기예) 대장육사 33기제3야전군사령관
33대서길원예) 중장육사 34기前 제1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
34대김학주예) 중장육사 35기육군항공작전사령관
35대이범수예) 중장학군 18기군단장
36대박종진예) 대장3사 17기제1야전군사령관
37대김성진예) 중장학군 22기국방대학교 총장
38대김성일예) 중장육사 42기국방대학교 총장
39대박양동예) 중장학군 26기[8]육군군수사령관
40대강건작예) 중장육사 45기육군교육사령관[마지막]


5.2. 장교/부사관[편집]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5.3. 병[편집]


제28보병사단 신병교육대를 수료하고 6군단 산하 포병부대로 전입해 K9 자주포병으로 복무했다. 군복무 일화를 주요 콘텐츠로 삼고 있어서 본인 및 함께 군복무한 사람들의 신상 유추를 방지하고자 정확한 출신 부대는 비밀로 하고 있다. 과거 누군가 고누리가 28사단 포병부대에서 복무했다는 유언비어를 나무위키 이곳저곳에 적어놓았는데, 원래부터 나무위키 뇌피셜에 이골이 난 고누리였던지라 생방송 중 그것을 보고 극대노해 나무위키를 작심 비판하기도 했다.


예하부대인 제6공병여단 예하 교량1중대에서 이등병 시절 1992년 MBC 우정의 무대에 출현했었다.


제5보병사단 신병교육대 수료 후 제6군단으로 자대 배치되었다. 상병 복무 중 2022년 11월 30일 제6군단의 해체로 제28보병사단으로 소속 변경.


6. 기타[편집]



6.1. 근무환경[편집]


순찰로 구간의 길이가 길다.


6.2. 진군회관[편집]



6.2.1. 본점(포천)[편집]


진군회관 본점
進軍會館 本店
Jin-gun Hall head office
위치경기도 포천시 중앙로 35번길 2-19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6.2.2. 연천점[편집]


진군회관 전곡점
進軍會館 漣川店
Jin-gun Hall Yeoncheon office

위치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은대성로 50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객실, 식당을 운영하고있다


6.3. 군단가[편집]


1절

조국의 부름받은 진군 용사들

충정의 기백으로 내일을 연다

피 끓는 전우애로 하나가 되어

승리의 깃발을 높이 날린다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2절

한 방울 피땀 속에 승리가 있고

두 방울 피땀 속에 나라가 산다

교육은 피가 되어 혈관을 돌고

훈련은 힘이 되어 지축을 흔든다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3절

대한의 굳센 정기 한 몸에 안고

조국을 수호하는 진군 용사들

진군의 힘찬 함성 크게 외치며

통일의 최선봉에 우뚝 서리라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7. 사건사고[편집]




8.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5:36:45에 나무위키 제6군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 제27보병사단과 해체일이 같다. 예하부대의 지휘관계는 10월 1일부로 전환되었다.[2] 1대대만 존속하여 제6강습대대 개편.[3] 그리고 편제상 직할부대인 부대 상당수가 제5군단 직할부대와 중복되기 때문에 한쪽이 해체되는 식으로 통폐합될 가능성이 크다.[4] 제5보병사단 정보대대로 재창설됨.[5] 영외부대로,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6] 영외부대로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7] 6군단 시절에 사령부 內 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8] 금오공과대학교[마지막] 군단장[9] 前 6포병여단장, 11사단장, 3사교장.[10]제61보병사단장.[11] 수도군단은 애당초 명칭에 숫자가 안 들어가며, 부대 마크에 Λ가 들어간다.[12] 사실 진짜 엄브렐러 마크와 비슷한 것은 미8군 마크이다.파일:제8군 마크.svg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