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팀부

덤프버전 :


아시아의 국가별 수도
[ 펼치기 · 접기 ]

동아시아
ta-hash-start=w-53b6c45e76b70cfd19974fcf77c3592a[[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d9734d3817f40bb704b7cc4984ec39b0[[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파일:도쿄도 문장.svg 도쿄도베이징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평양시파일:타이베이시 휘장.svg 타이베이시파일:울란바토르 문장.png 울란바토르
동남아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자카르타 수도특별구 휘장.png 자카르타 수도특별구역파일:방콕 휘장.svg 방콕파일:마닐라 문장.png 마닐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 로고.svg 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
파일:푸트라자야 연방 직할구 로고.svg 푸트라자야 연방 직할구
파일:싱가포르 국장.svg 싱가포르파일:하노이시 문장.svg 하노이 중앙 직할시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네피도 연방주 심볼.svg 네피도 연방구역파일:프놈펜 문장.png 프놈펜비엔티안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반다르스리브가완시 CI.png 반다르스리브가완 시딜리 시
남아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델리 연방 수도구역.png 뉴델리파일:카불 문장.png 카불파일:다카 로고.png 다카 시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이슬라마바드 깃발.svg 이슬라마바드파일:Kathmandu Flag.png 카트만두 광역시파일: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 logo.png 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말레 로고.svg 말레 시파일:ThromdeLogo.png 팀부
서아시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베이루트-ff.gif 베이루트파일:마나마 로고.png 마나마파일:앙카라_Logo.png 앙카라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바그다드시 휘장.png 바그다드파일:리야드 시기.png 리야드파일:암만시 휘장.png 암만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쿠 시 휘장.png 바쿠도하파일:사나 시기.png 사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예루살렘 휘장.svg 예루살렘
정치

파일:텔아비브.svg 텔아비브
경제
파일:테헤란 인장.png 테헤란파일:예레반 시 휘장.png 예레반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쿠웨이트파일:Seal_of_Tbilisi,_Georgia.svg 트빌리시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니코시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무스카트 logo_black.png 무스카트파일:Emblem_of_Damascus.svg 다마스쿠스파일:아부다비 시기.svg 아부다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Ramallah_Logo.gif 라말라파일:Gerb_Sukhum.png 수후미파일:Coat_of_Arms_of_Tskhinval.png 츠힌발리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레프코샤
중앙아시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슈켄트시 휘장.jpg 타슈켄트파일:누르술탄 시 휘장.png 아스타나파일:Gerb_Bishkek.png 비슈케크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Coat_of_Arms_of_Dushanbe.png 두샨베파일:Ashgabat_(seal).svg 아시가바트
아메리카의 수도 | 아프리카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유럽의 수도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76deg, #ffcc33 50%, #ff4e12 5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부탄|[[파일:부탄 국기.svg|height=40&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부탄 관련 문서}}}}}}
<^|1><height=34><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팀부
ཐིམ་ཕུ[1]
Thimphu
파일:ThromdeLogo.png
로고

국가
파일:부탄 국기.svg

지역팀부 현
면적26.1㎢
시간대UTC+6
인구약 114,000명

1. 개요
2. 상세
3. 같이 보기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부탄의 수도이자 최대도시이다.


2. 상세[편집]


도시 면적 26.1㎢, 인구 약 11만 명으로 한 국가의 최대도시치고는 상당히 작다.

부탄 서부, 무려 해발 2,320m의 고지대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고산기후가 나타난다. 같은 고산도시인 라싸라파스에 비해 해발고도가 낮아 보통은 약 없이도 버틸 수 있긴 하나 혹시 모르니 이 곳을 방문할 기회가 있다면 관련 약을 구비하자.

1960년대 지그메 도르지 왕축 국왕 왕실 칙령으로 푸나카[2]에서 수도를 옮겼다.

이 도시의 관문은 팀부 시내에서 남서쪽으로 약 48km 떨어져 있는 파로 국제공항이며 4시간 거리다. 48km 가는데 왜 4시간이나 걸리냐면 왕복 2차로의 좁은 도로에 터널을 뚫을 수가 없어 굽이굽이 산을 돌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인천공항과의 직항편은 없다.[3]


3. 같이 보기[편집]



4. 둘러보기[편집]


아시아의 국가별 최대도시
[ 펼치기 · 접기 ]

동아시아
ta-hash-start=w-96c400a4b18a8c07772675977b43ce3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941510c72491f8137e7f4a306aefe69b[[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파일:도쿄도 심볼마크.svg 도쿄도상하이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평양시신베이시파일:울란바토르 문장.png 울란바토르
동남아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자카르타 수도특별구 휘장.png 자카르타 수도특별구역파일:방콕 휘장.svg 방콕케손시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 로고.svg 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파일:싱가포르 국장.svg 싱가포르호찌민시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양곤파일:프놈펜 문장.png 프놈펜비엔티안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반다르스리브가완시 CI.png 반다르스리브가완 시딜리 시
남아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뭄바이파일:카불 문장.png 카불파일:다카 로고.png 다카 시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카라치파일:Kathmandu Flag.png 카트만두 광역시콜롬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말레 로고.svg 말레 시파일:ThromdeLogo.png 팀부
서아시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베이루트-ff.gif 베이루트파일:마나마 로고.png 마나마이스탄불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바그다드시 휘장.png 바그다드파일:리야드 시기.png 리야드파일:암만시 휘장.png 암만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쿠 시 휘장.png 바쿠도하파일:사나 시기.png 사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텔아비브.svg 텔아비브파일:테헤란 인장.png 테헤란파일:예레반 시 휘장.png 예레반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쿠웨이트파일:Seal_of_Tbilisi,_Georgia.svg 트빌리시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니코시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무스카트 logo_black.png 무스카트파일:Emblem_of_Damascus.svg 다마스쿠스두바이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가자 지구파일:Gerb_Sukhum.png 수후미츠힌발리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레프코샤
중앙아시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슈켄트시 휘장.jpg 타슈켄트알마티파일:Gerb_Bishkek.png 비슈케크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Coat_of_Arms_of_Dushanbe.png 두샨베파일:Ashgabat_(seal).svg 아시가바트
아메리카의 최대도시 | 아프리카의 최대도시 | 오세아니아의 최대도시 | 유럽의 최대도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6:06:48에 나무위키 팀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종카어[2] 때문에 푸니카는 지금도 현대화가 덜 되어 우리나라의 경주처럼 전통도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3] 부탄 법률로는 오직 부탄 국적 항공사인 로얄 부탄 항공, 드루크 항공만 입국이 가능하다. 사실 파로 국제공항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착륙 난이도가 워낙 어렵다보니 사고가 날까봐 애초에 외국 항공사들에겐 이곳에 입항할 자격을 좀처럼 내주지 않는다. 때문에 부탄의 조종사들은 의무적으로 파로 공항 착륙에 대한 시뮬레이션 및 착륙교육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