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릉 최씨

덤프버전 :


한국의 성씨
[ 펼치기 · 접기 ]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펼치기 · 접기 ]

사로 6촌신라 6부성씨시조
알천 양산촌급량부이씨알평
돌산 고허촌사량부최씨소벌도리
취산 진지촌본피부정씨지백호
무산 대수촌점량부손씨구례마
금산 가리촌한기부배씨지타
명활산 고야촌습비부설씨호진
삼국사기 기준.#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파일:강릉 최씨의 종문.jpg
江陵 崔氏
강릉 최씨
||
1. 개요
2. 분포
3. 집성촌
3.1. 강원
4. 그 외
5. 북한
6. 인물



1. 개요[편집]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강릉 최씨는 시조를 전주계(全州系), 경주계(慶州系), 강화계(江華系)로 달리 하는 세 계통이 있다.

  • 전주계(全州系) : 최흔봉(崔欣奉)을 시조로 한다.
  • 경주계(慶州系) : 최필달(崔必達)을 시조로 한다.
  • 강화계(江華系) : 최문한(崔文漢)을 시조로 한다.

강릉 최씨는 세 계통을 다 합하여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2명을 배출했다. 이는 전주, 해주, 경주 최씨 다음으로 많은 숫자다.

강릉 최씨는 최씨 중 인구 수로 4번째 자리를 차지한다.[1]


2. 분포[편집]


씨 본관 중에서는 4번째로 인구가 많다. 아래 집성촌 문단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전반적으로 강릉을 비롯한 동해안 쪽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그렇다보니 강원도 관내에서, 그 중에서도 강릉이 위치한 영동지방은 최씨 중 가장 인구 수가 많은 경주 최씨만큼 강릉 최씨를 흔하게 볼 수 있다. 일례로 강원도 정계에 출마하는 최씨의 거의 대부분은 강릉 최씨일 정도이다.

강릉 최씨의 인구는 1985년에 30,940가구 132,300명, 2000년에 44,704가구 140,854명, 2015년에 148,716명으로 조사되었다.


3. 집성촌[편집]



3.1. 강원[편집]


  • 강원도 강릉시 내곡동·노암동·두산동[2]·박월동·병산동·송정동·월호평동·운산동·유산동[3]·유천동·장현동·청량동·초당동[4]·포남동·홍제동
  •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교항리[5]·장덕리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상시동리·언별리·하시동리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제비리
  •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석교리[6]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산북리·위촌리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송림리·행정리
  •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주수리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대대리
  •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
  •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죽정리
  • 강원도 동해시 송정동[7]·이도동[* 독립유공자 최춘희가 이 마을 출신이다.최주원)
  • 강원도 삼척시 남양동·도경동·등봉동·사직동[8]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무사리·하거로리
  •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조산리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
  •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서희리
  •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신월리
  • 강원도 정선군 남면 광덕리
  •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낙천리·반천리·송계리·임계리
  • 강원도 정선군 화암면 몰운리·북동리·석곡리·화암리[9]
  • 강원도 춘천시 동면 감정리·상걸리
  • 강원도 춘천시 신동면 정족리[10]
  •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삽교리·영랑리
  •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압곡리
  •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오산리


4. 그 외[편집]


  •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
  •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무릉리·문화리
  •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복탄리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소황리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소야리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신평리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리[11]
  • 경상남도 합천군 덕곡면 포두리[12]


5. 북한[편집]


  • 강원도 고성군 고성면 감월리
  • 강원도 고성군 신북면 계월리
  • 황해도 연백군 해월면 운산리
  • 평안남도 용강군 신녕면 광암동·소강동
  • 평안북도 의주군 수진면 일원
  • 평안북도 의주군 옥상면 하경동
  • 평안북도 후창군 후창면 장흥동
  • 함경남도 단천군 남두일면 운송리
  • 함경남도 단천군 하다면 달전리
  • 함경남도 문천군 도초면 주교리[13]
  • 함경북도 경성군 용성면 송향동·수북동
  • 함경북도 경성군 주북면 용중동
  • 함경북도 명천군 동면 삼호동·호남동
  • 함경북도 성진군 학남면 이대동


6. 인물[편집]



6.1. 고려[편집]


  • 최흔봉 - 고려 태조의 부마. 전주계의 시조.
  • 최필달 - 고려의 개국공신. 경주계의 시조.
  • 최문한 - 고려 충숙왕의 부마. 강화계의 시조.
  • 최유 - 고려 초기의 문신. 인종 대에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다.
  • 최수황 - 고려 후기의 관인. 충렬왕 대에 좌부승지를 지냈다.


6.2. 조선[편집]


  • 최유련 -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개국원종공신에 봉해졌다.
  • 최이 - 조선 초기의 호조판서.
  • 최치운 - 세종 대의 명신.
  • 최수성 - 최지운의 손자, 당대의 기재절필.
  • 최응현 - 조선 중기의 형조판서.
  • 최연 - 조선 중기의 병조판서.
  • 최응천 - 인조 대의 진주목사.
  • 최세건 - 성종 대의 이조판서.
  • 최자점 - 세조 대의 이조참판.


6.3. 대한민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6:12:38에 나무위키 강릉 최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주, 전주, 해주, 강릉, 탐진 위 5개의 가문이 최씨의 대본이다.[2] 최용근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3] 독립유공자 최선근이 이 마을 출신이다.[4] 독립유공자 최돈옥·최영방·최이집·최진규가 이 마을 출신이다.[5] 최헌길 전 경기도지사가 이 마을 출신이다.[6] 최욱철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7] 최연희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8]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9] 최태규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10] 강원도지사 최문순이 이 마을 출신이다.[11] 독립유공자 최중모·최황순·최효대가 이 마을 출신이다.[12] 독립유공자 최석호가 이 마을 출신이다.[13] 독립유공자 최경하가 이 마을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