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블로우파이프 지대공미사일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실전 및 기타
4. 둘러보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lowpipe_missile_2.jpg
사진은 캐나다군.


프로젝트 리얼리티: 포클랜드로 재현한 영상.


1. 개요[편집]


Blowpipe
영국의 맨패즈. 탈레스 방공이 개발하였으며, 영국에서는 재블린으로 대체되기까지 1975년부터 10년간 사용되었다.


2. 상세[편집]


MCLOS[1] 방식으로, 사수가 엄지 조이스틱으로 목표를 조준하며 저공저속 비행하는 목표물의 경우 자동조준을 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당시 1세대 휴대용 맨패즈의 빈약한 감지 능력에 비하면 수동 유도 방식이라 플레어 등에 교란되지 않는 등 성능이 괜찮았다. 문제는 마하 단위로 빠르게 날아다니는 제트전투기를 맞추기에는 사수의 숙련도에 따라 성능이 갈렸다. 대신 헬리콥터처럼 저속 비행하는 기체 상대로는 매우 효과적이었다.


3. 실전 및 기타[편집]


배수관(Drainpipe)으로 꿩을 맞추려고 시도해보게.

- 포클랜드 전쟁 당시 영국 해병대 준장 줄리안 톰슨, 이 무기를 사용하고 비교하며

포클랜드 전쟁 당시에는 영국과 아르헨티나 양측이 모두 사용했는데, 사수가 빠르게 포복 비행해오는 목표물을 발견하면 20초 동안 조준을 한 뒤, 발사 준비를 했다. 영국측은 95발을 발사해서 9발을 맞췄는데, 그나마 맞춘 것들은 저속 비행하는 항공기체나 헬리콥터들이었다....만 이후 엄밀히 평가해본 결과 제트 훈련기 딱 한 대 잡은 게 고작이었다. 일단 산술적으로 보면 명중률이 형편없었지만, 10발 쏴서 값비싼 전투기나 헬기를 한 대 잡는다면 가성비면에서 매우 압도적이었다. 또한 저 떨어지는 명중률도 쏘는 입장에서야 낮다고 여기지만 맞는 입장에선 명중률 10%짜리 블로우파이프가 날아오는지 아닌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적기에 대한 위협 효과도 무시하기는 어려웠다. 어차피 당시의 다른 MANPADS 체계의 성능이 거기서 거기기도 했다.

1986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무자헤딘측으로 FIM-43 레드아이와 함께 제공되기도 했지만 성능은 그닥이었는지 스팅어로 교체되었다.

이후 개량된 재블린으로 대체되었으며, 영국군에서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플레임즈 오브 워의 냉전 배경인 '팀 양키'에서는 영국군이 이 무기로 대지 공격을 가한다. MCLOS 방식이라 탄두를 맘대로 조종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한 듯. 성능은 장갑차를 가드불능으로 폭파시키고 탱크도 측면을 잡으면 터뜨릴 수 있는 등 본업을 내팽겨치고 대차량용 MAW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대공 성능도 그럭저럭 쓸만한 편이다.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5:02:51에 나무위키 블로우파이프 지대공미사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수동 시선 유도 방식(Manual command to line of s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