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인선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수도권 전철 노선에 대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수인선 문서
수도권 전철 수인선번 문단을
수도권 전철 수인선# 부분을
, 과거 협궤로 운영하던 시절의 수인선에 대한 내용은 수인선(협궤) 문서
수인선(협궤)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수인선(협궤)#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오이도~한대앞 구간 수도권 전철 4호선 운영노선 관련 각주 표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오이도~한대앞 구간 수도권 전철 4호선 운영노선 관련 각주 표기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파일:KORAIL_White_로고.svg
수인선
水仁線 / Suin Line
파일:수인선 노선도.svg
소유자파일:대한민국정부상징_좌우.svg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자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노선번호30205
노선명경부선 수인선 (京釜線 水仁線)
종류지선철도, 광역철도
영업거리52.3㎞
궤간1,435㎜
역수27
기점수원역
종점인천역
급전방식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방식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수원~고색)
ATS-S2(고색~인천)
선로최고속도110㎞/h
선로 구성복선
개업일1937년 8월 5일
2012년 6월 30일 오이도~송도(재개업)
2016년 2월 27일 송도~인천(재개업)
2020년 9월 12일 수원~오이도(재개업)
운영노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4호선 (한대앞~오이도)

1. 개요
2. 역사
3. 미래
4. 화물철도 및 일반열차 운행 및 세류삼각선 설치 무산
6. 역 목록
7. 폐역
8. 기타



1. 개요[편집]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역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1937년에 개통되어 1990년대에 폐선된 구 협궤철도 수인선을 복선화 및 표준궤로 개량한 노선이며 경부선지선철도 중 가장 길다. 경부선과는 안산선을 통해 간접 연결되어 있다. 수인선은 이후 화성고속연결선을 통해 경부고속선과 연결될 뿐, 이후로도 경부선과 직접 연결될 계획이 없다. 원래는 고색역-세류역을 잇는 삼각선을 통해 경부선과 수인선을 직결하려 하였으나 수원시청고색동, 오목천동 주민들의 님비로 인해 삼각선이 무산되었기 때문이다.

해당 노선에 운용되는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A],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A]이다.


2. 역사[편집]



2.1. 수인선 협궤철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인선(협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수도권 전철 수인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수인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구간을 포함하는 직결 운행에 대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문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번 문단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연혁[편집]


연혁
일자설명비고
1937-08-05수원~인천항 구간 개통
1949-07-20야목역 영업 재개무배치간이역
1955-07-01수인남인천 역명 변경
1958-11-08소래포구역 역사 착공
1958-12-30소래포구역 역사 준공
어천역 역사 복구
1964-07-27야목역 배치간이역 승격 및 소급화물취급 지정[무배치]
1965-01-05용현역 개통보통역
1965-05-01달월역 개통무배치간이역
1966-09-01사리역 개통무배치간이역
1967-06-05논현역 영업 재개임시승강장
1967-07-01달월역, 고잔역, 사리역 을종승차권대매소 지정
1969-04-10고잔역 배치간이역 승격[무배치]
1969-08-01고색역 무배치간이역 격하[배치]
1972-07-20야목역 무배치간이역 격하[배치]
1973-01-01고잔역 무배치간이역 격하[배치]
1973-07-14남인천~송도 간 운행 중지
남인천역, 용현역 폐역
1974-03-11고잔역 소급화물취급 중지
1974-06-01논현역 폐역
1974-08-15고색역 폐역[1]
1975-10-02어천역 역사 신축 준공
1976-07-27남동역, 일리역 화물취급 중지
1977-05-16남동역, 소래역, 야목역, 어천역 수소화물취급 중지
1977-09-01송도역, 소래역, 군자역, 일리역 화물취급 중지
1977-10-24남동역, 군자역, 일리역 배치간이역 격하[보통]
1981-01-01군자역 무배치간이역 격하[배치]
1982-09-01소래역, 어천역 배치간이역 격하
남동역, 일리역 무배치간이역 격하
[보통]
[배치]
1983-08-01어천역 무배치간이역 격하[배치]
1983-10-01소래역 을종승차권대매소 지정
1985-10-15남동역 역사 철거
1988-10-25중앙역 개통
원곡안산, 일리한대앞 역명 변경
보통역
1992-03-02고잔역 운전간이역 변경[무배치]
1992-07-20송도~소래 구간 운행중지
소래역 보통역 승격
송도역 을종승차권대매소 격하

[배치]
1994-09-01소래~한대앞 구간 운행중지
송도역, 남동역을 포함한 해당 구간 폐역
1996-01-01수인선 협궤열차 운행중지
표준궤 개궤 및 복선전철화 사업 개시
2012-06-30오이도~송도 간 복선전철화 완료 및 운행 재개
2014-12-27달월역 개업
2015-09-04수원~한대앞 간 열차거리표 삭제
송도~인천 간 복선전철화 영업거리표 고시
2016-02-27송도~인천 간 복선전철화 완료 및 운행 재개
2020-06-01오이도~수원 구간 철도거리표 연장
2020-09-12수원~한대앞 간 복선전철화 완료 및 운행 개시
전 구간 표준궤 개궤 및 복선전철화 사업 완료
  • 수원~한대앞 구간은 원래 2014년에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2019년 12월로 연기, 2020년 8월로 또 연기되었다가 시운전 규정이 기존보다 까다로워지면서 동년 9월 12일로 또 연기하여 최종 개통하였다.


3. 미래[편집]



3.1. 인천발 KTX[편집]


2020년 현재 인구가 300만 명에 근접한 인천광역시에서는 제대로 KTX를 이용할 수가 없었다. 수색직결선이 건설되어 한때 인천공항으로 가는 인천국제공항선 KTX가 운행된 적이 있었으나, 정차역이 인천의 주요 지역과는 멀리 떨어진 인천공항2터미널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검암역 뿐인데다 운행 횟수도 적고, 서울역이나 용산역을 거쳐 가는 형태이기 때문에 소요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제외하면 그나마 가까운 게 광명역이지만 마찬가지로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타는 방법 외에는 연계교통이 부실하여 접근성이 낮은 편이고 이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해 줄 수 있는 경강선 월곶-판교구간은 착공도 못한 상태이고, 신안산선은 착공 중이지만 인천 3호선은 계획도 아직 못한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천 남부에서도 고속철도 이용이 가능한 노선을 확충하자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어 왔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수인선을 이용한 인천발 KTX를 공약으로 내세웠다.[2]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성시 매송면에 수인선과 경부고속선 간의 연결선인 화성고속연결선[3]을 건설하여 인천발 KTX를 운행시키려는 계획안이 나오게 되었고, 이 안이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포함되었다. 2015년 기준으로 국토교통부의 연구용역에서 타당성(B/C)값이 1.29가 나와 긍정적으로 추진되는 중이다.[B] 순조롭게 추진된다면, 인천발 KTX를 이용하여 대전까지는 1시간 7분, 부산까지는 2시간 47분, 목포까지는 2시간 23분 만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인천발 KTX 출발 역으로는 송도역이 선정되었으며, 안산 시내 정차역으로는 초지역이 선정되었다. 즉 계획대로라면 송도역과 초지역에 정차한 뒤 화성고속연결선을 이용하여 경부고속선으로 진입하게 된다.[B] 공사가 완공되면 수인선은 인천과 인접 도시들을 연결해주는 노선에서 인천과 지방의 대도시들을 이어주게 되는 노선으로도 변모하게 되어 더 큰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다.

결국 타당성 조사를 마친 후 인천발 KTX가 확정되었다.[4] 출발 역은 예정대로 송도역이며 초지역어천역에 정차한 후 경부고속선에 진입하는 방식이다.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에 수인선과 경부고속선 간의 연결선을 지어서 KTX를 운행할 예정이다.[5]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타당성 용역을 발주한 상태이다.[6]
파일:/image/009/2015/03/01/20150302_1425205889..jpg_99_20150301220424.jpg
이 계획에 대한 내용은 화성고속연결선 항목을 참고하라. 운행 중지된 노선이 20년 가까이 지나 부활하면서 수도권 전철뿐만 아니라 KTX까지 들어올 수 있게 된 것은 기존의 경부고속철도가 대도시인 인천과 수원을 빗겨간 까닭도 있고, 마침 수인선의 경로가 인천과 수원을 잇다 보니 두 권역의 이해관계가 잘 맞아떨어진 까닭도 크다. 수원은 수원역을 출발, 혹은 경유하여 평택고속연결선으로 수서평택고속선에 진입하는 수원발 KTX사업이 별도로 추진 중이고, 특히 동수원 일대는 SRT 동탄역이 있다 보니, 인천발 KTX 사업에는 관심이 많이 떨어진 상태이다. 다만 오목천동, 호매실동 등 서수원 일대는 어천역과 수원역 중간에 위치하다 보니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 열차가 있는 역에서 KTX를 이용하면 되어서 약간이나마 수혜를 입는 지역에 포함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2. 제2공항철도[편집]


인천국제공항철도 화물터미널역에서 분기해 해저터널을 거쳐 이 노선의 숭의역까지 연결해서 지방에서 인천국제공항까지 편리하게 연계할 계획이 있다. 이후 장기적으로는 송도역에서 종착하는 KTX도 이곳까지 연장해 인천국제공항발 KTX도 부활시킬 예정이다.


4. 화물철도 및 일반열차 운행 및 세류삼각선 설치 무산[편집]


오이도역 즈음에서 송도 신항을 연결하는 송도신항철도가 분기될 예정이고, 중장기적으로는 인천 북항까지 화물철도가 신설되어 연결되는 등 화물철도로서의 역할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런데 세류~고색 간 삼각선이 취소되어 화물 운송 기능이 저하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기능을 서해선 전철에 분담시킨다고 한다. 서해선은 지금 공사 중이다. 또, 서해선과 경부선을 연계하는 평택선은 이미 1단계가 개통되었고, 나머지 구간도 공사 중이다. 이로 인해 수원시님비를 저질렀다고 철도 동호인 사이에서 비판받고 있다. 그런데 이 삼각선 옆에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와 맞먹는 제10전투비행단이 있어서 과연 삼각선이 생겼을지는 미지수이다. 물론 제10전투비행단의 이전도 심심하면 나오는 화제이기에 비행단이 이전하고 나서 어찌 할 수 있을지는 모르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균관대역상록수역 사이, 즉 수인로를 따라가는 경로로 연결 선로를 만들어 안산선을 통해 화물과 일반여객철도 수송을 해보자는 제안이 자주 나온다. 그런데 실제로 현재 안산선에는 화물열차가 간혹 다니고 있으며 일반여객열차는 아니지만 단체관광열차라는 이름하에 새마을호 열차가 드물게 들어온다. 자세한 내용은 새마을호안산선 문서에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7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ARS[편집]


역명코드한글한자로마자비고
0003파일:SBLine_icon.svg 수 원水 原Suwon고속[7]
정차[8]
파일:SBLine_icon.svg 고 색古 索Gosaek
파일:SBLine_icon.svg 오목천梧木川Omokcheon
파일:SBLine_icon.svg 어 천漁 川Eocheon
파일:SBLine_icon.svg 야 목野 牧Yamok
파일:SBLine_icon.svg 사 리四 里Sari
0854파일:SBLine_icon.svg 한대앞漢大앞Hanyang Univ. at Ansan
0855파일:SBLine_icon.svg 중 앙中 央Jungang
0856파일:SBLine_icon.svg 고 잔古 棧Gojan
0857파일:SBLine_icon.svg 초 지草 芝Choji
0858파일:SBLine_icon.svg 안 산安 山Ansan
0888파일:SBLine_icon.svg 신길온천新吉溫泉Singil oncheon
0889파일:SBLine_icon.svg 정 왕正 往Jeongwang
0890파일:SBLine_icon.svg 오이도烏耳島Oido
파일:SBLine_icon.svg 달 월達 月Darwol
0743파일:SBLine_icon.svg 월 곶月 串Wolgot
0739파일:SBLine_icon.svg 소래포구蘇來浦口Soraepogu
0742파일:SBLine_icon.svg 인천논현仁川論峴Incheon Nonhyeon
파일:SBLine_icon.svg 호구포虎口浦Hogupo
0747파일:SBLine_icon.svg 남동인더스파크南洞産業團地Namdong Induspark
0741파일:SBLine_icon.svg 원인재源仁齋Woninjae
0746파일:SBLine_icon.svg 연 수延 壽Yeonsu
0740파일:SBLine_icon.svg 송 도松 島Songdo
파일:SBLine_icon.svg 인하대仁荷大Inha Univ.
파일:SBLine_icon.svg 숭 의崇 義Sungui
파일:SBLine_icon.svg 신 포新 浦Sinpo
0819파일:SBLine_icon.svg 인 천仁 川Incheon


6. 역 목록[편집]


일러두기
[ 펼치기 · 접기 ]

여객, 화물 취급
KKTX 필수정차kKTX 선택정차
RSRT 필수정차rSRT 선택정차
IITX-청춘 필수정차iITX-청춘 선택정차
SITX-새마을/ITX-마음/새마을호 필수정차sITX-새마을/ITX-마음/새마을호 선택정차
M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m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C통근열차 정차B바다열차 정차
X동해산타열차 정차VV-train 정차
NS-train 정차DDMZ-train 정차
AA-train 정차GG-train 정차
T광역철도 급행 정차t광역철도 정차
H화물취급여객/화물 미취급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신호소



※ 관할 지역본부
  ¶ 수도권광역본부: 전 구간
  • 수원~인천 구간 일체는 영업거리표 상으로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2020년 6월 1일자 병합되었음.
  • 2020년 6월 1일 기준[9]
역명운행계통등급접속 노선소재지
연결환승
0.0파일:SBLine_icon.svg 수 원水 原T파일:SBLine_icon.svg 분당선파일:Seoulmetro1_icon.svg 경부선수원시 팔달구경기도
2.7파일:SBLine_icon.svg 고 색古 索T수원시 권선구
4.3파일:SBLine_icon.svg 오목천梧木川t
9.4파일:SBLine_icon.svg 어 천漁 川t화성고속연결선화성시
12.0파일:SBLine_icon.svg 야 목野 牧t
16.7파일:SBLine_icon.svg 사 리四 里t안산시 상록구
[10]18.9파일:SBLine_icon.svg 한대앞漢大앞t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안산선
20.5파일:SBLine_icon.svg 중 앙中 央t파일:SinansanLine_icon.svg 신안산선안산시 단원구
21.9파일:SBLine_icon.svg 고 잔古 棧t
23.4파일:SBLine_icon.svg 초 지草 芝t파일:SeohaeLine_icon.svg파일:SinansanLine_icon.svg 서해선
25.2파일:SBLine_icon.svg 안 산安 山t안산연결선
27.4파일:SBLine_icon.svg 신길온천新吉溫泉t
30.3파일:SBLine_icon.svg 정 왕正 往t시흥시
[11]31.7파일:SBLine_icon.svg 오이도烏耳島T파일:Seoulmetro4_icon.svg 안산선
시흥기지선
33.8파일:SBLine_icon.svg 달 월達 月t
35.3파일:SBLine_icon.svg 월 곶月 串t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강선
36.6파일:SBLine_icon.svg 소래포구蘇來浦口T남동구인천광역시
37.6파일:SBLine_icon.svg 인천논현仁川論峴T
38.9파일:SBLine_icon.svg 호구포虎口浦t
40.2파일:SBLine_icon.svg 남동인더스파크南洞産業團地t
41.2파일:SBLine_icon.svg 원인재源仁齋T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1호선연수구
42.1파일:SBLine_icon.svg 연 수延 壽T
44.8파일:SBLine_icon.svg 송 도松 島t
46.1파일:SBLine_icon.svg 학 익鶴 翼t미추홀구
47.2파일:SBLine_icon.svg 인하대仁荷大T
49.0파일:SBLine_icon.svg 숭 의崇 義t
50.5파일:SBLine_icon.svg 신 포新 浦t중구
51.6파일:SBLine_icon.svg 인 천仁 川T파일:Seoulmetro1_icon.svg 경인선
52.3(종점)


6.1. 광역전철[편집]



6.1.1. 수도권 전철[편집]


  • 수원 ↔ 인천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역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수인선 모든 구간에서 광역전철이 운행한다.


7. 폐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인선(협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기타[편집]




계획 중인 경기순환철도 노선 중 하나이다.
[A] A B 한대앞역 ~ 오이도역 구간 한정[무배치] A B C 종전 무배치간이역[배치] A B C D E F G 종전 배치간이역[1] 수도권 전철 개통일[보통] A B 종전 보통역[2] 「유정복 당선인 "인천발 KTX 공약 반드시 지키겠다"」, 중부일보, 2014-06-05[3] 구상 당시에는 '어천삼각선'이라 불렸다.[B] A B 「인천발 KTX 2020년 개통 청신호…경제타당성 확보」, 연합뉴스, 2015-08-04[4] 「'인천서 KTX 타고 광주·부산 가요' 인천발 KTX 확정」, 연합뉴스, 2016-07-10[5] 「인천시 “인천발 KTX, 수인선 연계 추진하면 2020년 개통”」, 뉴스1, 2015-04-13[6] 「국토부, 인천발KTX 타당성 용역 발주, 하반기까지 검토해 사업 결정키로」, 경기일보, 2015-03-01[7] 경부선 한정[8] 경부선 한정[9]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414호[10] 안산선(금정 기점 13.2 ㎞) 공용 구간 기점[11] 안산선(금정 기점 26.0 ㎞) 공용 구간 종점